연결 가능 링크

미사일 전문가들 "초대형 방사포 완성도 의문…다른 화력과 조합할 경우 큰 위협”


북한이 31일 초대형 방사포 연삭 시험사격에 성공했다며 관영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사 장면을 촬영한 사진을 공개했다.
북한이 31일 초대형 방사포 연삭 시험사격에 성공했다며 관영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사 장면을 촬영한 사진을 공개했다.

미사일 전문가들은 북한이 최근 발사한 초대형 방사포의 완성도에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다만, 북한이 최근 잇따라 선보인 무기들을 실전배치해 모두 투사할 경우 한국의 미사일 방어망을 무력화시킬 수 있는 위험이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김동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북한은 관영매체를 통해 지난 31일 쏜 발사체에 대해 “초대형 방사포 연속 시험사격을 성과적으로 진행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지난 8월과 9월 시험에서 각각 17분과 19분의 발사 간격을 3분으로 크게 줄였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독일의 미사일 전문가 마커스 실러 박사는 VOA에, 일반적인 방사포의 연사 속도가 수 초라는 점을 고려할 때 3분이란 간격은 오히려 발사 과정에서 어떤 장애가 발생했는지 의문을 갖게 한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 마커스 실러 박사] “Time interval to three minutes sounds like a lot. I don't really know what the big problem was because you can program the targets in between even before you launch the first missile”

일반적인 방사포라면 첫 발사 전에 이미 두 번째 발사체의 목표를 설정해 수 초 간격으로 연사가 가능하다는 겁니다.

그러면서, 3분이라는 시간 간격은 여전히 성능이 완벽하지 않다는 점을 방증한다고 실러 박사는 밝혔습니다.

브루스 베넷 랜드연구소 선임연구원도 VOA에, 성능이 검증된 일반적인 방사포의 연사 속도는 20~30초 간격임을 고려하면, 완성도에 한참 못미친다고 지적했습니다.

베넷 선임연구원은 이와 관련해 두 가지 가능성이 있다며, 실패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일부러 시간 차를 뒀거나, 발사 버튼을 눌렀지만 오작동으로 발사에 지연이 생겼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 브루스 베넷 선임연구원] In theory, that time should be a matter of 20 or 30 seconds instead of three minutes, but maybe the most confident they felt was it they gave it a little bit more time. Alternatively, they may have pushed the button after 20 or 30 seconds and the missile didn't go and they had to massage it in some way to make it go after three minutes”

베넷 선임연구원은 방사포 발사체의 비행거리와 속도, 고도 등은 일반적인 탄도미사일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며, 한국에 배치된 패트리엇 미사일 방어체계 등으로 충분히 요격이 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베넷 선임연구원은 그러나 북한이 최근 선보인 이스칸데르급 미사일 KN-23등 신형 단거리 미사일과 조합해 발사하는 전략을 상정해 신형 방사포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녹취 : 브루스 베넷 선임연구원] “After I fired the KN-23 then I would fire these 600 millimeter rockets because if the KN-23s the ISKNADER like missiles are carrying a nuclear warhead, they're going to neutralize even more of the missile defenses. And that's going to make it such that missile like this 600 millimeter one that's flying a ballistic trajectory is far more likely to make it to target because there's much of the missile defense left.”

대남 기습 초기에 기존 로켓포 등으로 미사일 방어체계의 레이더에 혼란을 주면서, 비행궤도 수정이 가능해 요격이 어려운 KN-23을 투사해 미사일 방어체계를 무력화시킨 뒤 탄두 용량이 큰 신형 방사포로 남은 방어체계를 타격할 수 있다는 겁니다.

또 북한이 핵탄두 소형화에 성공해 KN-23 탄도미사일에 장착이 가능하게 될 경우, 미사일 방어체계 대부분을 제거하면서 신형 방사포로 나머지 방어체계에 최종적 타격을 가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특히 베넷 박사는 실전 상황에서는 북한의 가용 비대칭 전력의 총력전을 상정해야 한다며 탄도미사일과 신형 방사포뿐 아니라, 또다른 비대칭전력인 북한의 특작부대와 무인기 투사를 통해 미사일 방어체계 레이더 무력화를 동시에 노릴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 브루스 베넷 선임연구원] “They could be sitting two or three kilometers outside of an of an airbase and launch a bunch of those drones into the airbase. Unless the air base has an anti-drone defense. They are going to have a good shot at destroying any missile defense radars that would be at the base”

인근에 침투한 특작부대의 원거리 저격 또는 탐지가 어려운 무인기 공격을 통해 전쟁 초기 미사일 방어체계 레이더 장비 무력화를 노릴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한미연합사령부 작전참모 출신인 데이비드 맥스웰 민주주의 수호재단 선임연구원은 VOA에, 북한이 신형 방사포 시험을 또다시 감행한 배경에는 김정은 위원장이 강한 지도자라는 점을 군부에 강조하기 위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 데이비드 맥스웰 선임연구원] “Missile defense and, and counter fire artillery defense is very, very hard. It's very expensive, and it's very resource intensive. It's much better it's much cheaper to use missiles and rockets than it is to defend against them. So North Korea has an advantage. However, what we have never seen and what we will see in wartime is once they use these, we will destroy them.”

맥스웰 선임연구원은 미-한 연합군이 선제기습을 당해도 북한을 초토화시킬 수 있는 공격 역량이 있다는 점을 지속적으로 북한에 인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VOA뉴스 김동현입니다.

독자 제보: VOA는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기사화를 원하는 내용을 연락처와 함께 Koreanewsdesk@voanews.com 이메일로 보내주시면 뉴스 제작에 적극 반영하겠습니다. 제공하신 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되며, 제보자의 신분은 철저히 보호됩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