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서해위성발사장 기존 발사대서 분주한 움직임 …2차 발사 연관성 주목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의 새 발사대에서 로켓이 발사되는 장면.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의 새 발사대에서 로켓이 발사되는 장면.

북한이 최근 빠른 속도로 신설한 발사대에서 우주발사체를 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하지만 발사가 실패로 끝난 뒤 기존 발사대 주변으로 트럭과 버스 등 20여 대의 차량이 집결했는데, 새로운 발사 준비 정황인지 주목됩니다. 함지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의 발사체 발사 약 4시간 후의 위성사진에는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 발사패드의 분주한 모습이 보입니다.

서해위성발사장의 기존 로켓 발사대, 즉 갠트리타워 앞에 모여든 약 24대의 차량이 지난달 31일 오전 10시 39분에 촬영된 ‘플래닛 랩스’의 고화질 위성사진에 포착된 것입니다.

차량 24대 중 10여 대는 버스 형태의 차량이고 8~9대는 승합차 혹은 승용차로 식별됐습니다.

또 나머지 4~5대는 대형 트럭인데, 전날인 30일 포착된 17.5m짜리 트럭도 갠트리타워 반대 방향을 향한 채 서 있습니다.

지난 몇 년간 서해위성발사장에 이처럼 많은 차량이 집결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북한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의 기존 발사패드를 촬영한 31일 자 위성사진. 발사패드 위로 많은 차량이 보인다. 전날 개방됐던 갠트리타워의 개폐형 패널은 다시 닫혔다. Planet Labs PBC via AP.
북한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의 기존 발사패드를 촬영한 31일 자 위성사진. 발사패드 위로 많은 차량이 보인다. 전날 개방됐던 갠트리타워의 개폐형 패널은 다시 닫혔다. Planet Labs PBC via AP.

앞서 일부 위성사진 분석 전문가들은 북한이 액체 연료를 사용한 로켓을 발사했을 것이라는 추정에 근거해 이곳, 즉 서해위성발사장의 기존 시설에서 발사가 이뤄졌을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또한 기존 발사패드에서 포착된 차량 역시 발사 후 정리 작업을 위해 동원됐을 것이라는 해석도 나왔습니다.

그러나 북한 관영 매체가 한반도 시각 1일 발사체 발사 당시 상황이 담긴 사진을 공개하면서 상황이 바뀌었습니다.

이번 발사가 기존 발사대가 아닌 최근 빠른 속도로 건설된 새 발사패드에서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기존 발사패드에서 포착된 차량 20여 대 역시 정리 작업이 아닌 다른 임무를 위해 집결했을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무엇보다 북한이 발사 실패를 확인하며 ‘가급적으로 빠른 기간 내에 제2차 발사를 단행할 것’이라고 한 발언과의 연관성도 주목됩니다.

실제 발사가 이뤄지지 않은 곳에 갑작스럽게 많은 차량과 인원이 동원되면서 2차 발사를 위한 작업일 수 있다는 추론이 제기되는 것입니다.

이런 가운데 이날 위성사진에선 전날까지 개방 상태였던 갠트리타워의 하얀색 패널이 닫힌 모습이 포착됐습니다.

발사 전날인 30일(왼쪽)과 다음 날인 31일 비교. 1. 발사대 아랫부분 2. 개폐형 패널이 타워 양 옆으로 열린 모습 3. 닫힌 패널 4. 전날까지 패널이 있던 위치. 자료=제임스마틴 비확산센터 / Planet Labs
발사 전날인 30일(왼쪽)과 다음 날인 31일 비교. 1. 발사대 아랫부분 2. 개폐형 패널이 타워 양 옆으로 열린 모습 3. 닫힌 패널 4. 전날까지 패널이 있던 위치. 자료=제임스마틴 비확산센터 / Planet Labs

앞서 VOA는 북한의 발사 하루 전날인 30일 자 위성사진을 분석해 갠트리타워의 북쪽 면에 자리한 하얀색 패널이 크게 개방되면서 각각 동쪽과 서쪽 면에 붙었다고 보도했습니다.

갠트리타워는 북쪽에 로켓이 자리하는 발사대가 위치하는데, 이곳은 평소에 하얀색 개폐형 패널에 의해 가려져 있다가 발사가 임박한 시점 패널이 열리면서 외부에 모습을 드러냅니다.

그런데 30일 개방된 것으로 관측됐던 패널이 31일엔 다시 닫힌 것입니다.

패널이 닫히면서 30일 일부 모습을 드러냈던 발사대 아랫부분도 다시 가려졌습니다. 오렌지색의 발사대 아랫부분은 로켓이 올라서고, 실제 발사 시 로켓이 뿜어내는 화염을 견디는 역할을 합니다.

로켓을 최종 장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이동식 조립 건물은 갠트리타워 바로 옆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로 약 30m, 세로 20m인 이 조립 건물은 조립이 완료된 로켓을 수직으로 세워 발사대에 장착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바닥에 깔린 선로로 동쪽의 주처리 건물과 서쪽의 갠트리타워를 오갈 수 있는데, 지난달 29일 갠트리타워 쪽으로 이동한 후 계속해서 같은 위치에 남아있습니다.

북한이 최근 빠른 속도로 건립한 새 발사장의 31일 모습. 하얀색 지붕의 이동식 조립 건물이 북쪽으로 60m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자료=Planet Labs
북한이 최근 빠른 속도로 건립한 새 발사장의 31일 모습. 하얀색 지붕의 이동식 조립 건물이 북쪽으로 60m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자료=Planet Labs

한편 북한이 실제 발사에 이용한 새 발사패드에선 특이 사항이 포착되지 않았습니다.

지난 31일 오전 10시 29분 촬영된 위성사진에는 하얀색 이동식 조립 건물이 전날과 마찬가지로 북쪽에 붙어 있는 모습이 보입니다.

새 발사장의 하얀색 이동식 조립 건물은 가로 50m, 세로 30m의 직사각형 형태로, 바닥에 깔린 선로를 이용해 남쪽과 북쪽을 오갈 수 있습니다.

북쪽에는 발사대 혹은 발사시설이 자리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북한은 25~29일 어느 시점 이동식 조립 건물을 이동시켜 이 지점을 덮었었습니다.

그런데 발사 약 4시간 후에도 이 이동식 조립 건물은 이 지점, 즉 북쪽에 남아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입니다.

이에 따라 북한이 로켓을 쏠 당시엔 조립 건물을 남쪽으로 옮겼다가 발사 직후 다시 북쪽의 발사 지점 쪽으로 되돌려 놓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VOA 뉴스 함지하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