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전문가들 "북한 우주 전용 발사체 개발 가능성...제3국 조력자 제재해야"


한국 합동참모본부는 31일 오전 8시 5분쯤 어청도 서방 200여km 해상에서 북한이 주장하는 우주발사체 일부로 추정되는 물체를 식별해 인양했다며 사진을 공개했다.
한국 합동참모본부는 31일 오전 8시 5분쯤 어청도 서방 200여km 해상에서 북한이 주장하는 우주발사체 일부로 추정되는 물체를 식별해 인양했다며 사진을 공개했다.

미국의 전문가들은 북한이 이번에 쏜 우주 발사체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개량형이 아니라 위성 전용 발사체일 가능성을 제기하며 신형 설계는 실패 위험이 더 높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이 공언한 2차 발사 시기에 대해서는 짧게는 며칠 길게는 몇 달까지 전망이 엇갈렸습니다. 조은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반 밴 디펜 전 국무부 국제안보∙비확산 수석부차관보는 31일 북한 위성 발사 실패와 관련해 북한이 기존과 다른 새로운 형태의 발사체를 쏘아 올렸을 가능성을 거론했습니다.

북한이 신형 발사체를 발사하면서 이전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때보다 실패 위험이 더 높았다는 겁니다.

반 밴 디펜 전 국무부 국제안보비확산 담당 수석부차관보가 31일 VOA 조은정 기자와 화상으로 인터뷰했다.
반 밴 디펜 전 국무부 국제안보비확산 담당 수석부차관보가 31일 VOA 조은정 기자와 화상으로 인터뷰했다.

밴 디펜 전 수석부차관보는 31일 VOA와 영상인터뷰에서 어떤 종료의 미사일이든 실패할 가능성이 있지만 신형 설계는 더욱 그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북한이 연료의 불안정성을 언급한 것에 주목하며 북한이 ICBM과 별도로 위성 발사만을 위한 발사체를 개발하고 있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이 “2단 연료의 불안정성을 암시하며 우주 발사체에 새로운 측면이 있다고 주장한 것은 ICBM 용이 아닌 새로운 연료를 사용했음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녹취: 밴 디펜 전 수석부차관보] “All of which goes to the idea that they may be developing a space launch vehicle specifically for that purpose rather than trying to dual purpose an ICBM are trying to use a space launch vehicle as a stalking horse for an ICBM. which, you know, they shouldn't have to do any more since they're openly testing ICBMs now, and so I think that's an interesting, interesting thing as well.”

밴 디펜 전 수석부차관보는 “이 모든 것은 그들이 우주 발사 목적을 위해 특별히 우주 발사체를 개발하는 것일 수 있다는 생각으로 이어진다”고 말했습니다.

다른 전문가들도 신형 발사체를 발사할 때 실패 위험이 높다고 지적했습니다.

마사오 달그렌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미사일 방어프로젝트 연구원. 사진 = CSIS 제공.
마사오 달그렌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미사일 방어프로젝트 연구원. 사진 = CSIS 제공.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미사일 방어프로젝트의 마사오 달그렌 연구원은 31일 VOA에 “발사체 자체의 문제로 인해 궤도가 변경돼 조기에 추락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달그렌 연구원] “It seems that, you know, an issue with the rocket itself caused a change in the rockets trajectory that led to it crashing early… North Korean press release talked about them testing a new engine type. And so it's fair to say that there's probably some teething issues associated with the new design and new technology.”

“북한이 새로운 엔진을 실험하고 있다고 언급했는데, 새로운 설계와 기술과 관련된 몇 가지 초기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조너선 맥도웰 박사, 하버드-스미소니언 천체물리학센터 연구원이 31일 VOA 조은정 기자와 화상으로 인터뷰했다.
조너선 맥도웰 박사, 하버드-스미소니언 천체물리학센터 연구원이 31일 VOA 조은정 기자와 화상으로 인터뷰했다.

하버드-스미소니언 천체물리학센터의 조너선 맥도웰 박사도 31일 VOA에 “새로운 발사체의 첫 발사가 실패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또 북한이 연료 결함을 언급한 데 대해서는 추력을 높이기 위해 연료 성분 조성비를 조정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습니다.

맥도웰 박사는 북한이 지금까지 우주 발사체에 액체연료로 비대칭디메틸히드라진(UDMH)과 산화제로 적연질산을 쓰곤 했다며, 이 조합은 불안정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녹취: 맥도웰 박사] “It is, as I say unstable and it's very toxic. So they are tricky propellants to work with. And they've used it in their Hwasong rockets some mix of this but it sounds like maybe they use a slightly new mix that they're not used to. To get that extra bit of performance right. The reason that change is you want more oomph through the same engine.”

맥도웰 박사는 “불안정하고 독성이 매우 강해서 작업하기 까다로운 추진체인데, 북한은 이를 화성형 미사일들에 사용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성능을 높이기 위해 익숙하지 않은 약간 새로운 조성비를 쓴 것 같다”며 “같은 엔진을 사용하면서도 더 많은 추력을 내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북한은 31일 오전 6시 29분께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남쪽으로 우주발사체를 발사했지만 발사체는 백령도 서쪽 먼바다 상공을 통과한 뒤 어청도 서방 200여km 해상에 낙하했습니다.

북한은 정찰위성 발사가 실패했음을 공식 인정하며 1단 분리 후 2단 발동기의 점화 비정상으로 추진력을 상실하면서 서해에 추락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사용된 연료도 불안정했다고 덧붙였습니다.

한국 국가정보원은 이번 실패와 관련해 무리한 경로 변경으로 기술적 문제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맥도웰 박사는 북한의 지리적 위치 때문에 위성 발사 시 경로 변경의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녹취: 맥도웰 박사] “That is an extra problem that North Korea has when it's launching satellites, most spacefaring countries have a big stretch of ocean next to them that they can launch over. North Korea doesn't and so it can't just launch to orbit in a straight line if it wants to avoid flying over other countries and so it has to make these sharp turns where we call dogleg maneuvers to at various points in the launch.”

맥도웰 박사는 “북한은 위성을 발사할 때 추가적인 문제를 겪는다"며 “대부분의 우주 항해 국가들은 곁에 발사할 수 있는 넓은 바다가 있지만 북한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다른 나라 상공을 비행하지 않으려면 발사 시 여러 지점에서 ‘도그렉’ 기동이라고 불리는 급회전을 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맥도웰 박사는 자료 부족으로 실제 ‘도그렉’ 문제가 발생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한국 정부는 그렇게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한국 합동참모본부가 31일 오전 8시 5분쯤 어청도 서방 200여km 해상에서 북한 우주발사체 일부로 추정되는 물체를 식별해 인양했다며 공개한 사진. 물체 상단에 붉은 색으로 '점검문-13(기구조립)'이라고 써 있다.
한국 합동참모본부가 31일 오전 8시 5분쯤 어청도 서방 200여km 해상에서 북한 우주발사체 일부로 추정되는 물체를 식별해 인양했다며 공개한 사진. 물체 상단에 붉은 색으로 '점검문-13(기구조립)'이라고 써 있다.

“발사체 잔해, 많은 정보 담아”

한국군이 우주발사체 일부를 해양에서 인양한데 대해 달그렌 연구원은 북한의 위성 역량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녹취: 달그렌 연구원] “There’s a lot to learn in terms of their machine tooling for producing these rockets. How the rocket is put together, the diameter, their rocket, the fuel system potentially. There's a lot there that aids in assessment of North Korea's space and missile industrial base.”

달그렌 연구원은 “발사체 생산의 기계 공작 측면에서 많은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며 “발사체 조립 과정, 발사체의 직경, 연료 체계 등 북한의 우주와 미사일 산업 기반을 평가하는데 도움이 되는 많은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맥도웰 박사는 특히 1단 로켓과 2단 로켓 사이 원통형 연결단이 인양된데 대해 연료나 산화제가 들어 있었던 추진체 탱크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탱크의 직경만 측정해도 발사체의 크기를 가늠할 수 있고 연료의 조성비도 파악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이 공언한 2차 발사 단행 시기와 관련해 맥도웰 박사는 몇 달 후가 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녹취: 맥도웰 박사] “even if they have really good radio data telemetry from the rocket. You know, it's gonna it's hard for me to see them making a physical change if it's just a software change, they can do that quickly. If they actually have to change plumbing in the rocket engine that's going to or electronics that's going to change take longer, and it's gonna take at least a few weeks, but then to test it properly, and to have confidence that it's going to fly successfully. That would take months and so it's a question of whether they cut corners on that

맥도웰 박사는 “북한 발사체의 무선 데이터 원격 측정 능력이 높더라도 무엇이 잘못됐는지를 빨리 알아내려면 며칠이 걸릴 것”이라며 “소프트웨어 변경이라면 금방 할 수 있지만, 발사체 엔진을 고치고 전자 장치를 변경할 경우에는 최소 몇 주가 걸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제대로 시험하고 성공적으로 비행할 수 있다는 확신을 얻으려면 몇 달이 걸린다”고 덧붙였습니다.

반면 북한이 며칠 내로 재발사에 나설 수 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뎀시 연구원] “Unlike ballistic missiles North Korea typically provides advanced warning of its space launch. A launch window of May 31 to June 11 was provided in this case so we cannot exclude another launch within this period. If not, we can expect a further announcement beforehand.”

영국 국제전략연구소(IISS) 조셉 뎀시 연구원은 “이번 발사의 경우 5월 31일부터 6월 11일까지의 발사 기간을 제시했기 때문에 이 기간 내에 또 다른 발사가 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그렇지 않다면 재발사 전에 추가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31일 한국 서울역에 설치된 TV에서 북한이 주장하는 '우주발사체' 발사 관련 뉴스가 나오고 있다.
31일 한국 서울역에 설치된 TV에서 북한이 주장하는 '우주발사체' 발사 관련 뉴스가 나오고 있다.

“제3국 조력자 제재해야”

한편 국제법상 금지된 북한의 위성 발사에 대응해 국제사회가 단호한 조치에 나서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말했습니다.

유엔 안보리는 대북 결의들을 통해 탄도미사일 기술을 사용한 어떤 발사도 금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유엔 안보리의 분열과 중국과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로 인해 안보리에서 효과적인 대북 조치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밴 디펜 전 수석부차관보는 “미국과 동맹들은 계속해서 북한 단체들을 추가로 제재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밴 디펜 전 수석부차관보] “Certainly the US and its allies can continue to sanctions, additional North Korean entities. I personally think it would be useful to start sanctioning additional third-country entities that cooperate with those North Korean entities.”

이어 “북한과 협력하는 제3국 단체들을 추가로 제재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라며 북한을 대리하는 위장기업이나 중개인들을 겨냥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미 해군전쟁대학의 테렌스 로리그 교수.
미 해군전쟁대학의 테렌스 로리그 교수.

해군전쟁대학의 테렌스 로리그 교수도 31일 VOA에 한국, 미국, 일본 등이 북한에 대한 독자 제재를 추가로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중국과 러시아가 거부권을 행사하더라도 유엔 차원의 조치를 강구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녹취:로리그 교수] “It is highly likely that Russia and China are going to veto that but nonetheless, it still raises the issue in that international forum and requires putting North Russia and China on record as opposing these efforts. And pointing out again that a satellite launch is very similar to a ballistic missile test and therefore it needs to be considered as such.”

로리그 교수는 “러시아와 중국이 거부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높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적인 포럼에서 문제를 공식적으로 제기하고, 두 나라가 반대표를 행사하는 것을 기록에 남길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VOA 뉴스 조은정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