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우크라이나, 유럽행 가스관 한곳 중단...WHO "중국 '제로 코로나' 지속 불가"


우크라이나 서부 볼로베츠의 가스 공장 근무자가 시설을 정비하고 있다. (자료사진)
우크라이나 서부 볼로베츠의 가스 공장 근무자가 시설을 정비하고 있다. (자료사진)

세계 여러 나라의 주요 소식을 전해 드리는 ‘지구촌 오늘’입니다.

진행자) 오늘은 어떤 소식들이 있습니까?

기자) 우크라이나가 유럽으로 가는 가스관 한 곳의 운영을 중단했습니다. 유럽 주요 국가들의 가스 공급에 차질이 예상됩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중국의 이른바 ‘제로 코로나’정책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멕시코에서 일주일도 채 안 돼 2명의 여기자가 또 살해됐다는 소식, 이어서 전해드리겠습니다.

진행자) 지구촌 오늘 첫 소식입니다. 우크라이나가 유럽으로 가는 가스관의 운영을 중단했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우크라이나가 11일부로 동부 주요 교전 지역인 루한시크주를 거쳐 유럽으로 향하는 가스관의 운영을 중단했습니다. ‘우크라이나 가스 수송 운영사(GTSOU)’는 전날(10일) 성명을 내고 루한시크주 노보프스코우 가스 압축 시설을 가동할 수 없어 ‘소크라니우카’ 가스관을 통한 가스 공급을 11일부터 중단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진행자) GTSOU 측이 노보프스코우 압축 시설을 가동할 수 없는 이유도 말했습니까?

기자) 네. GTSOU 측은 러시아군의 기술적 방해로 노보프스코우 압축 시설에 대한 운영과 기술 통제를 제대로 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회사는 또 러시아군이 기술적 처리와 운영 방식 등에 개입함으로써, 우크라이나 전체 가스관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진행자)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산 가스 수출의 주요 경로죠?

기자) 그렇습니다. 우크라이나는 그동안 2개의 가스관을 통해 러시아산 가스를 유럽으로 보내왔습니다. 그렇게 해서 받는 통과세는 우크라이나 경제에 숨통을 틔어 줬는데요. 하지만 이를 둘러싸고 러시아와 갈등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이는 러시아가 독일과 직접 연결하는 두 번째 해저 가스관 ‘노르트스트림2’를 건설하게 된 배경의 하나기도 합니다.

진행자) 노보프스코우 시설이 처리해온 물량이 많습니까?

기자) 그동안 하루 약 3천620만㎥의 가스를 처리해왔습니다. 이는 우크라이나가 유럽 수송용으로 처리하는 전체 가스 물량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진행자) 그럼 당장 유럽의 가스 공급에 차질이 빚어지겠군요?

기자) 네. 하지만 GTSOU 측은 소크라니우카 가스관을 통해 공급하던 물량을 ‘수드자 가스관’을 통해 일시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수드자 가스관은 우크라이나군이 통제하고 있는 북부 수미주를 거쳐 가는 가스관인데요. 하루 약 7천700만㎥의 가스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진행자) 러시아 측은 이에 대해 뭐라고 말하고 있습니까?

기자) 러시아 국영 에너지 기업 ‘가즈프롬’은 소크라니우카를 거쳐 가던 가스를 수드자 가스관으로 보내는 건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가즈프롬은 또 GTSOU가 주장하는 대로 기존에 해오던 방식에 걸림돌이 있거나 불가항력적 상황이 생겼다는 증거도 확인하지 못했다고 일축했습니다.

진행자) 미국 정부는 이런 상황에 대해 어떤 반응을 보였습니까?

기자) 네.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은 국제 사회가 러시아산 에너지에 대한 의존도를 가능한 빨리 줄여야 한다는 교훈을 얻는 것에 있어 바뀌는 건 없다고 말했습니다. 미국 정부는 줄곧 유럽 등 다른 나라에 러시아산 에너지 의존도를 줄여야 한다고 촉구해왔습니다.

진행자) 미국 의회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이 요청한 우크라이나 추가 지원 예산은 처리됐습니까?

기자) 네. 미 하원이 10일 우크라이나에 대한 400억 달러 규모의 추가 지원 법안을 표결에 부쳐 찬성 368표 대 반대 57표, 초당적 지지로 통과시켰습니다.

진행자) 당초 바이든 대통령이 요청한 액수보다 규모가 커졌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우크라이나 지원을 위해 330억 달러를 요청했는데요. 70억 달러를 증액한 겁니다. 법안에는 우크라이나 무장과 훈련을 위해 60억 달러, 우크라이나 경제 지원 88억 달러,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으로 감소한 미국의 무기 비축분 보충을 위한 예산으로 87억 달러를 책정했고요. 그 밖에 미국 내 우크라이나 난민들을 위한 주거와 교육 등을 위한 지원, 우크라이나 동맹국 지원 등을 위한 예산도 배정했습니다.

진행자) 상원의 움직임은 어떻습니까?

기자) 상원에서도 우크라이나를 지원해야 한다는 데는 특별한 이견이 없는 분위기인데요. 하지만 법안의 세부 내용에 대해서는 반대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미치 매코넬 상원 공화당 대표는 우크라이나 전쟁 승리를 직접적으로 돕는 내용만 담고, 관련 없는 내용은 지워야 한다고 주장했는데요. 법안 내용이 수정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상원에서 언제 표결에 부쳐질지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진행자) 바이든 정부는 조속한 처리를 촉구하고 있죠?

기자) 그렇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달 말 우크라이나 지원을 위한 추가 예산을 요청하면서 “우크라이나를 도울 돈이 다 떨어졌다”고 직접적으로 표현한 바 있습니다. 바이든 행정부는 우크라이나를 위한 군사 지원이 다 고갈되는 5월 말 전까지, 신속한 법안 처리를 희망하고 있습니다.

진행자) 이런 가운데 러시아가 장기전을 준비하고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군요?

기자) 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현재 교착 국면에 빠져 있고, 러시아가 장기전을 준비하고 있다는 미 정보당국의 분석이 나왔습니다. 애브릴 헤인스 미 국가정보국(DNI) 국장은 10일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우크라이나 전쟁 상황을 보고하면서, 언제 이 전쟁이 끝날지 확신할 수 없다면서 “푸틴은 우크라이나 장기전을 준비하고 있고, 돈바스 그 이상의 목표를 성취하길 원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스콧 베리어 미 국방부 국방정보국(DIA) 국장도 이날 청문회에서, 현재 양측 모두 승리하지 않고 있는 일종의 교착상태라고 평가했습니다.

테드로스 아드하놈 게브레예수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이 스위스 제네바에서 기자회견에 앞서 마스크를 벗고 있다. (자료사진)
테드로스 아드하놈 게브레예수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이 스위스 제네바에서 기자회견에 앞서 마스크를 벗고 있다. (자료사진)

진행자) 지구촌 오늘, 이번에는 중국 소식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중국의 강력한 방역 정책에 이의를 제기했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10일, 중국의 이른바 ‘제로 코로나(Zero Covid)’ 정책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공개적으로 지적했습니다. 중국은 현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 도시 봉쇄, 전수 검사, 감염자와 밀접 접촉자 격리 등 초강력 방역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진행자) WHO의 발표 내용, 좀 더 자세히 들어보죠.

기자) 네. 테드로스 아드하놈 게브레예수스 WHO 사무총장은 이날 언론 브리핑에서,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병의 행태와 전문가들이 향후 예상하는 것을 고려할 때, 중국의 불관용 코로나 정책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테드로스 사무총장은 또 이 문제를 중국의 전문가들과 논의해왔다면서, 다른 전략으로 전환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진행자) 중국 정부는 WHO의 지적에 대해 어떤 반응을 보였습니까?

기자) 무책임한 발언이라고 반발했습니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1일 정례 브리핑에서 객관적이고 이성적으로 중국의 방역 정책을 대하길 바란다면서, 사실에 대해 더 많이 알고 무책임한 발언을 하지 않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은 중국에 가장 적합한 방역 정책이며, 어떤 어려움이 있어도 중국 정부와 국민은 코로나와의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진행자) 중국에서는 코로나 방역에 실패하면 사망자가 폭발적으로 나올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중국 상하이 푸단대학교 연구진이 주도한 연구 결과가 10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 메디신’에 실렸는데요. 연구진은 해당 논문에서, 중국 백신 효능과 접종률 등을 고려할 때, 코로나바이러스를 통제하지 않으면 5월에서 7월 사이 코로나 변이 ‘오미크론’이 해일처럼 몰려올 수 있으며 155만 명 이상 목숨을 잃을 수 있다고 추정했습니다.

진행자) 중국의 백신 접종률이 어떻게 되죠?

기자) 3세 이상 중국 인구의 90% 이상이 완전한 백신 접종을 마쳤고, 54%는 부스터샷, 추가 백신도 맞았습니다. 백신 접종률은 상당히 높은 편인데요. 하지만 연구진은 오미크론 변이 확산세가 가라앉지 않으면, 집중치료실(ICU) 부족 등 중국의 의료시스템을 압도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진행자) 위중증 환자들이 몰려들면 병상이 부족해 치료가 힘들고, 결국 사망자 폭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거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또한 연구진은 3월 중순 기준, 60세 이상 가운데 5천200만 명이 2차 이상 접종하지 않은 것을 고려할 때 60세 이상 미접종자가 사망자의 4분의 3을 차지할 것으로 추정했는데요. CGTN 등 중국 언론은 해당 논문 기사를 중국 정부가 ‘제로 코로나 정책’을 하지 않으면 이런 피해가 발생한다는 것으로 강조하고 있습니다.

진행자) 지금 중국은 자국산 백신 접종만 승인하고 있죠?

기자) 그렇습니다. 중국은 화이자나 모더나 등 다른 나라에서 개발한 백신은 승인하지 않고, 자국이 개발한 시노팜, 시노백 백신 접종만 승인하고 있는데요. 메신저 리보핵산 기반의 화이자나 모더나보다는 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진행자) 현재 중국 내 코로나 상황은 어떻습니까?

기자) 중국 위생보건 당국은 11일, 상하이의 신규 감염자 수가 10일 약 1천490명이라고 밝혔습니다. 현재 상하이는 40일 넘게 봉쇄되고 있는데요. 16일 만에 일일 신규 감염자 수가 1천 명대로 떨어졌습니다. 베이징에서는 10일, 37명의 신규 감염자가 보고됐습니다. 한편 베이징시는 12일부터 자금성 등 시내 주요 관광지를 폐쇄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멕시코 동부 베라쿠르스주에서 피살된 언론인 예세니야 팔코니 씨의 친인척들이 10일 유족을 위로하고 있다.
멕시코 동부 베라쿠르스주에서 피살된 언론인 예세니야 팔코니 씨의 친인척들이 10일 유족을 위로하고 있다.

진행자) 지구촌 오늘 한 가지 소식 더 보겠습니다. 멕시코에서 기자들이 또 살해됐다는 소식이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전 세계에서 언론인들에게 가장 위험한 나라로 꼽히고 있는 멕시코에서 일주일도 채 안 돼 여기자 2명이 또 피살됐습니다. 멕시코 동부 베라크루스주 검찰 당국은 지역 온라인 매체에서 편집인과 기자로 활동하던 언론인 2명이 지난 9일 편의점 주변에서 살해됐다고 밝혔습니다.

진행자) 올해 들어 피살된 멕시코 언론인은 몇 명이나 됩니까?

기자) 이번에 두 명의 여성 언론인이 사망하면서 올해 살해된 언론인은 벌써 11명이나 됩니다. 전쟁 지역이 아닌 곳으로서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언론인이 살해된 것입니다.

진행자) 여기자들을 살해한 용의자는 잡혔습니까?

기자) 아직 추적 중입니다. 베라크루스 주지사는 범죄를 저지른 가해자들을 반드시 찾아낼 것이며, 처벌하지 않고 넘어가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다짐했습니다. 여기자들이 살해된 지역은 주로 불법 이주와 관련된 조직 범죄가 성행하는 곳인데요. 주 검찰은 이들 기자의 피살이 취재 활동과 연루됐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습니다.

진행자) 지난주에도 언론인 1명이 살해됐다고요?

기자) 네. 지난 5일에는 멕시코 북부 시날로아주에서 지역 온라인 뉴스 매체를 운영하는 루이스 엔리케 라미레스 라모스 씨가 살해됐습니다. 시날로아는 마약 밀매 조직의 근거지로 악명높은 곳입니다.

진행자) 라미레스 라모스 씨는 어떻게 살해된 겁니까?

기자) 살해되기 몇 시간 전 자택 근처에서 괴한에 납치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시날로아 검찰 당국은 라미레스 라모스 씨의 시신이 검은 비닐에 싸인 채 흙길에서 발견됐다고 밝혔는데요. 시신의 머리에는 여러 군데 세게 맞은 흔적이 있었다고 합니다. 라미레스 라모스 씨는 올해 들어 9번째로 희생된 언론인이었습니다.

진행자) 언론인들이 잇따라 희생되고 있는데, 멕시코 언론계는 이에 어떤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까?

기자) 애초 멕시코 언론인들은 라미레스 라모스 씨의 사망 소식에 9일 저녁, 멕시코 수도 멕시코시티에서 대규모 집회를 가질 예정이었습니다. 그런데 이날 여성 언론인 2명이 또 사망했다는 소식을 접하자 약 200명의 언론인은 정부의 미흡한 보호 노력과 대처에 격렬히 항의하며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진행자) 언론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죠.

기자) 네. 멕시코의 저명 언론인 하비에르 발데스 씨의 부인 그리셀다 트리아나 씨는 이날 집회에서, 멕시코에서 언론인들이 쉽게 목숨을 잃고 있는 현실을 개탄하고 멕시코에서는 표현의 자유에 역행하는 범죄가 매일 같이 일어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트리아나 씨는 하지만 이를 결코 용인해서는 안 된다면서, 정부 당국에 언론인들이 더 이상 살해되지 않도록 조처를 취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진행자) 하비에르 발데스 씨도 몇 년 전 피살됐죠?

기자) 맞습니다. 지난 2017년 역시 시날로아주에서 괴한의 총격을 받고 사망했습니다. 발데스 씨는 멕시코의 악명높은 마약왕 ‘호아킨 구스만’의 마약 밀매 조직 취재를 전문으로 해왔는데요. 하지만 대낮에 괴한들의 총격을 받고 숨졌습니다.

진행자) 멕시코 정부는 이런 상황을 어떻게 보고 있습니까?

기자)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 대통령은 언론인 살해범은 반드시 처벌할 것이며 결코 무죄 처리하지 않을 거라고 다짐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멕시코에서 언론인 살해 사건은 미결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입니다. 일각에서는 로페스 오브라도르 대통령이 종종 언론인들에 대한 적대적 발언을 하는 것이 언론인 공격을 부추긴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 현재 멕시코 정부는 언론인과 인권 운동가들을 위한 보호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실질적 효과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습니다.

진행자) 지구촌 오늘,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