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개소...첫 상시 직접 소통 채널


개성공단 안에 마련된 남북 공동연락사무소가 14일 개소식을 갖고 공식 출범했다.
개성공단 안에 마련된 남북 공동연락사무소가 14일 개소식을 갖고 공식 출범했다.

남북한 정상이 4.27 판문점 선언에서 합의한 남북 공동연락사무소가 오늘(14일) 공식 개소식을 갖고 업무를 시작했습니다. 남북 간에 첫 상시 직접 소통 채널이 마련된 것인데요, 한국 정부는 연락사무소가 남북관계 뿐 아니라 미-북 간 비핵화 협의의 진전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이연철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남북 공동연락사무소가 14일 개소식을 갖고 공식 출범했습니다.

개성공단 안에 마련된 남북 연락사무소 청사 앞에서 진행된 이날 개소식에는 남한과 북한에서 각각 50여 명씩 10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조명균 한국 통일부 장관은 개소식 인사말에서, “또 하나의 역사가 시작된다”면서, 연락사무소는 “남과 북이 함께 만든 평화의 상징”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연락사무소는 남북 상시 소통의 창구로서, 남북한이 남북관계 발전과 한반도 평화·번영에 관한 사안들을 24시간 365일 직접 협의할 수 있게 됐다고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조 장관은 남북의 당국자들과 전문가들이 연락사무소에서 철도와 도로, 산림 등 다양한 협력을 논의하고, 10·4 정상 선언 이행 방안과 신경제구상에 대한 공동연구도 추진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조명균 한국 통일부 장관과 리선권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위원장이 14일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개소식에서 악수하고 있다.
조명균 한국 통일부 장관과 리선권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위원장이 14일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개소식에서 악수하고 있다.

북한에서는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위원장이 참석해 기념사를 했습니다.

리 위원장은 연락사무소 개소는 남과 북이 “우리 민족끼리의 자양분으로 거두어들인 알찬 열매”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여기에는 남북관계 발전의 새로운 전환적 국면을 바라는 온 민족의 절절한 염원이 응축돼 있다고 말했습니다.

조 장관과 리 위원장은 개소식이 끝난 뒤 연락사무소의 구성과 운영에 관한 합의서에 최종 서명했고, 이후 연락사무소는 공식 업무를 시작했습니다.

남북한은 합의서에 “역사적인 판문점 선언에 따라 당국 간 협의를 긴밀히 하고 교류와 협력을 원만히 보장하기 위해” 연락사무소를 운영키로 했다고 명시했습니다.

한국 통일부의 이유진 부대변인은 14일 정례브리핑에서, 앞으로 연락사무소가 남북관계 발전, 한반도 군사적 긴장 완화와 평화 정착을 위한 상시적 협의 채널로 정착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녹취: 이유진 부대변인] “24시간 365일 소통을 통해 남북관계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북-미 간 비핵화 협의의 진전에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청와대 김의겸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연락사무소가 마침내 문을 열었다며, “조금 누그러졌다고는 하나 여전히 위태로운 급물살이 흐르는 한반도에서 남북을 잇는 튼실한 다리가 놓인 느낌”이라고 말했습니다.

남북 공동연락사무소는 4층 건물로 과거 남북 교류협력협의 사무소로 사용되던 건물을 개보수한 것입니다.

2층에는 한국 사무실, 4층에 북한 사무실이 있으며, 3층에 회담장이 있습니다.

한국은 천해성 통일부 차관이 겸직 형태로 연락사무소 초대 소장에 임명됐고, 북한은 전종수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부위원장을 초대 소장에 임명했습니다.

두 사람은 개소식 직후 약식 소장 회의를 열고 직원 상견례와 함께 연락사무소 운영 방안에 대해 협의했습니다.

한국은 연락사무소에 상주인력 30명을 파견하고, 북한은 15명에서 20명 정도의 상주인력을 파견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국 통일연구원의 조한범 선임연구위원은 연락사무소 개소가 획기적인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녹취: 조한범 선임연구위원] “남북이 차관급 상시 접촉창구를 개설했다는 것이고요. (한국 측 소장이) 통일부 차관이기 때문에 남북의 모든 협상 실무들을 그 안에서 논의한다는 이야기이고. 또 최고 지도자들하고도 핫라인이 연결돼 있기 때문에 최고 지도자들 사이의 간접적인 채널이라고 볼 수도 있고요.”

조 선임연구위원은 연락사무소가 판문점 선언 이행을 위한 상시적인 실무기구가 될 것이라며, 철도와 도로, 사회문화 교류, 고위급 대화 등이 여기서 논의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그러면서, 연락사무소가 남북한이 각각 평양과 서울에 상주대표부를 설치하는 과정으로 가는 중간 징검다리 역할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아산정책연구원의 신범철 안보통일센터장은 연락사무소가 남북 간의 상시 소통 창구의 역할을 하면서 앞으로 남북관계가 개선되고 비핵화가 진전되면 가능하게 될 인적 교류 등 다양한 남북교류와 협력을 준비한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신 센터장은 현 단계에서는 연락사무소의 역할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녹취: 신범철 센터장] “ 사무소를 만드는 시기라든가 개성공단이라는 장소의 상징성으로 인해서 한-미 간에 우려 요인이 제기됐는데, 그런 것으로 인해서 남북 공동연락사무소가 커다란 역할을 하기는 제한된다, 이렇게 생각합니다.”

신 센터장은 또 대북 제재로 인해 북한에 대한 투자가 어려운 상황 등의 제약조건으로 인해 당분간 연락사무소가 큰 역할을 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서울에서 VOA뉴스 이연철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