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국무부, '핵보유 인정시 협상' 북한 주장 거부…"핵계획 뒤로 돌려야"


미국 워싱턴의 국무부 건물.
미국 워싱턴의 국무부 건물.

북한이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받으면 미국과 협상하겠다는 의사를 러시아를 통해 밝혔는데요. 미국 국무부는 핵 프로그램을 뒤로 돌릴 준비를 하고 대화에 나오라며 북한의 주장을 일축했습니다. 북한의 도발을 거듭 미국 탓으로 돌리는 러시아의 태도에도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백성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국무부는 “북한이 핵 프로그램을 현 수준에서 중지시키는 것으론 충분치 않다”는 입장을 거듭 분명히 했습니다.

[녹취: 캐티나 애덤스 대변인] “It is not enough for the DPRK to stop its program where it is today.”

캐티나 애덤스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대변인은 3일 ‘VOA’와의 전화통화에서, 북한이 미국으로부터 핵보유국으로 인정받아야만 협상에 나가겠다고 밝혔다는 비탈리 파쉰 러시아 하원 의원의 발언에 대한 논평 요청에 이같이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현 시점에선 북한이 신뢰할 만한 비핵화 대화에 대한 의지나 관심이 있다는 신호를 전혀 볼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캐티나 애덤스 대변인] “We do not see any signs that North Korea is willing or interested to engage in credible talks on denuclearization at this stage.”

북한을 방문하고 돌아온 러시아 하원 의원 대표단이 전한 북한의 대화 복귀 조건을 단호히 거부한 겁니다.

앞서 러시아 하원 의원 대표단의 일원으로 방북했던 비탈리 파쉰 하원의원은 1일 ‘인테르팍스’ 통신에 북한은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받아야 미국과의 협상 테이블에 앉을 것이라고 밝혔다고 전했습니다.

애덤스 대변인은 이에 대해 “북한은 핵무기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이를 뒤로 돌릴 계획을 갖고 대화 테이블로 나올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며,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하지 않겠다는 미국 정부의 일관된 기조를 확인했습니다.

[녹취: 캐티나 애덤스 대변인] “North Korea must be prepared to come to the table ready to chart a course to ‘cease and rollback’ its nuclear weapons program.”

러시아 대표단은 미국과 국제사회의 제재 하에서 북한이 100년은 더 살 수 있다는 김영남 상임위원장의 말도 소개하며 제재가 북한을 겁주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애덤스 대변인은 러시아가 이처럼 연일 북한의 주장에 힘을 실어주고 있는데 대해서도 비판적 입장을 밝혔습니다.

특히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지난 1일 로마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전쟁이 난다면 북한 정권은 완전히 파괴될 것이라고 말한 니키 헤일리 유엔 주재 미국 대사의 발언을 “피에 굶주린 장광설”이라고 규정한데 대해, 대북 압박 캠페인에 대한 러시아의 소극적 태도를 상기시켰습니다.

[녹취: 캐티나 애덤스 대변인] “The vast majority of DPRK laborers remaining outside of North Korea are in either China or Russia.”

북한 이외 나라 가운데 북한 노동자의 압도적 대다수가 남아있는 곳은 중국 혹은 러시아라는 지적입니다.

애덤스 대변인은 가장 최근 채택된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에 따라 북한 노동자에 대한 신규 비자 발급이 금지됐으며, 쿠웨이트, 카타르, 몰타를 포함한 여러 나라들이 관련 조치를 취했다고 소개했습니다. 그러면서 유럽연합 국가 중 유일하게 폴란드만 상당한 숫자의 북한 노동자를 여전히 국내에 두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러시아가 미국의 대북 정책에 대해 비난 수위를 높이는 것과 관련해, 국제사회가 북한의 최근 도발들을 규탄하는데 거의 일치된 목소리를 내고 있다고 반박했습니다. 모든 유엔 안보리 이사국들은 물론 주요 20개국(G20)이 일제히 북한의 핵과 미사일 시험을 규탄했다는 겁니다.

또 유럽연합, 호주, 한국, 일본, 라트비아 등 일부 국가들은 유엔의 대북 제재도 충분치 않다고 인식해 추가적인 독자 제재 조치를 취했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파키스탄 정부가 자국 기업들에게 미국의 대북 제재 명단에 오른 기업들과 거래를 금지할 것을 공식 통지했다는 새로운 사실을 알렸습니다.

[녹취: 캐티나 애덤스 대변인] “Pakistan issued an official government notice prohibiting its companies from engaging with US sanctioned entities.”

한편 애덤스 대변인은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이 지난달 28일 촉구한 대북 “해상보안 강화 조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해 달라는 ‘VOA’의 질문에, 미국은 이미 포괄적인 성격의 대북 압박 캠페인을 강화하기 위해 모든 가용한 옵션을 계속 찾고 있다는 선에서 말을 아꼈습니다.

이어 미국은 불법적인 핵과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위한 북한 정권의 자금 조성과 재원 확보를 어렵게 만들기 위해 계속해서 다자적, 독자적 행동을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VOA 뉴스 백성원 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