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외교장관 "북 핵 심층논의 5자회담 열어야"

26일 윤병세 한국 외교부 장관이 서울 종로구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연합뉴스'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한국의 윤병세 외교장관은 지금이 북한 핵 문제 관련 5자가 모여 심층적 협의를 할 적절한 때라고 말했습니다. 북한을 제외한 6자회담 5개 당사국들 간 회담을 언급한 박근혜 한국 대통령의 발언에 이은 것인데요, 윤 장관은 북 핵 문제에 대한 넓은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서울에서 한상미 기자가 보도합니다.

윤병세 한국 외교부 장관은 북한이 4차 핵실험까지 감행한 현 상황에서 이제는 더 넓은 차원의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단순히 북한의 핵 문제만을 가지고 접근하기에는 북 핵 문제를 둘러싼 관련 요인들이 너무 뿌리 깊고 폭넓다는 겁니다.

윤 장관은 26일 한국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실제로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미국 하원이 채택한 대북 제재 강화법안에는 북한인권 문제까지 거론되는 등 차원이 넓어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윤 장관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차원의 대북 제재와 관련해 20개국 가까운 나라가 여러 형태의 압력을 취하고 있으며 추가로 미국과 일본, 유럽연합, 호주 등 여러 나라가 양자제재를 검토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한국 정부 차원의 양자 제재와 관련해서는 앞으로 국제사회와의 협력 차원에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윤 장관은 또 북한을 제외한 6자회담 당사국 간의 5자회담에 대해 북한이 엄중한 도발을 한 지금 시점이 5자가 모여서 북 핵 문제에 대한 심층적 협의를 할 아주 적절한 때라고 말했습니다. 5자회담이 북한의 태도 변화를 불러올 수 있고 또 결과적으로 6자회담 재개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겁니다.

윤 장관의 지난 22일 연두 업무보고 관련 브리핑 내용입니다.

[녹취: 윤병세 한국 외교부 장관] “4차 핵실험이 이루어진 바로 이 엄중한 시점이 그동안에 본격적으로 시동을 걸지 않았던 5자회담을 가동하기 위한 좋은 시점이 아니냐, 이렇게 보고 있고요.”

윤 장관은 중국이 사실상 5자회담을 반대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북한 핵 능력이 고도화되면 중국 동북 3성의 여러 환경 문제는 물론 주변국 안전에도 결코 유리하지 않다면서 그렇기 때문에 북한 핵 문제를 국제사회와 북한 간 구도로 보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의 오는 27일 중국 방문에 대해서는 미 국무장관이 북한의 과거 핵실험 직후 핵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중국에 간 적이 단 한번도 없었다면서, 이번에 케리 장관이 직접 중국에 간다는 것은 그만큼 미국의 의지가 강력하다는 뜻이라고 말했습니다.

윤 장관은 또 북한 핵실험 대응 과정에서 중국이 보인 태도로 한국 정부의 대중국 외교가 실패한 게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특정 문제가 등장할 때마다 한-중 관계의 근본이 흔들린다는 식으로 확대해석할 필요는 없다고 답했습니다.

지난 3년 간의 한-중 관계 발전은 중국에서도 최상의 관계라고 할 수준에 와 있고 그렇기 때문에 서로 솔직한 의견을 교환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윤병세 한국 외교부 장관] “중국 측의 고위 당국자나 아마 여러 인사들한테 물어보시면 여전히 그 쪽에서 반응은 한-중 관계는 역대 최상의 관계이고 앞으로도 그렇게 되기를 바란다는 이야기를 아마 분명히 할 것입니다. 현재 이러한 어려운 과정에서도 북 핵 문제 관련한 또 여러 가지 관련된 문제에 대해서 서울과 북경과 유엔 차원에서 많은 협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윤 장관은 이어 중국에 북한이 ‘전략적 자산’이라는 지적과 관련해 4차 핵실험을 강행한 북한이 전략적으로 큰 자산이라는 시각은 ‘전략적 부채’가 된다는 시각에 비해 상대적으로 점점 줄어들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북한 핵 위협에 대응할 미국의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사드’의 한반도 배치와 관련해서는 한국의 안보와 국익 차원에서 한국 정부의 기본입장에 따라 대응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윤 장관은 아울러 지난 9일 한-러 외교장관 통화 결과에 따라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러시아를 방문해 한-러 외교장관 회담을 갖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서울에서 VOA뉴스 한상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