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북한 동창리 발사장 새 활동 포착…협상 위한 지렛대 포석”


지난 2012년 4월 북한 동창리 미사일 발사대에 은하-3호 장거리 로켓이 세워져있다.
지난 2012년 4월 북한 동창리 미사일 발사대에 은하-3호 장거리 로켓이 세워져있다.

북한이 서해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에서 엔진시험을 준비하는 것으로 보이는 정황이 포착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전문가들은 미국과의 비핵화 협상에서 존재감을 과시하고 지렛대를 얻으려는 활동일 가능성에 무게를 뒀습니다. 조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CNN’ 방송은 해체된 것으로 알려졌던 북한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에서 엔진을 재가동하려는 것으로 보이는 움직임이 포착됐다고 지난 5일 보도했습니다.

이 방송이 입수한 상업용 위성사진업체 ‘플래닛 랩스’의 5일자 사진에는 동창리 시설 중 발사 시설이 아닌 엔진시험 시설에서 전에 없던 대형 화물용 컨테이너들의 새로운 움직임이 포착됐습니다.

위성사진을 분석한 제프리 루이스 미들버리국제학연구소 동아시아 비확산센터 소장은 `CNN’에, 하루 전 촬영된 사진에는 없었던 대형 화물용 컨테이너가 엔진시험대에서 포착된 것은 위성발사대와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에 동력을 공급하는 데 쓰이는 엔진을 시험하기 위한 준비 작업일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엔진시험은 미사일이나 위성 발사와 같은 수준의 도발 행위는 아니지만 활동 재개 자체로 중대한 변화이며, 더 위협적인 무기 발사를 위한 사전단계일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동창리 발사장은 북한 미사일 시설의 상징적 장소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9월 평양 남북정상회담 당시 영구폐쇄를 약속한 곳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동창리 발사장 해체에 대해 수 차례 언급하면서, 싱가포르 미-북 정상회담 이후 미-북 관계 개선의 성과로 제시해 왔습니다.

그러나 미-북 비핵화 협상 교착 국면에서 북한이 동창리 발사장을 다시 복구하고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습니다.

특히 지난 3월, 북한이 동창리 발사장의 주요 미사일 시설을 재건 중이라는 보도가 이어지자 트럼프 대통령은 “사실이라면 매우 실망할 것”이라며 우려를 나타낸 바 있습니다.

[녹취: 트럼프 대통령] “I would be very disappointed if that were happening. It’s very early report with the ones that put it out. But I would be very, very disappointed in Chairman Kim and I don’t think I will be but we will see what happens. We will take a look. It will ultimately get solved.”

동창리 발사장 내 차량과 장비 움직임은 최근까지도 꾸준히 포착됐습니다.

지난달 1일 ‘프랑스 국립연구원’과 ‘에어버스’의 인공위성이 촬영한 위성사진에는 미사일 발사대 부근에서 차량과 장비로 추정되는 움직임이 포착됐습니다.

서훈 한국 국가정보원장도 같은 달 29일 한국 국회에서 ‘동창리 발사장에서 차량과 장비의 움직임이 늘었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전문가들은 북한의 실제 발사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으면서도, 북한이 비핵화 협상에서 존재감을 과시하고 지렛대를 얻기 위한 ‘보여주기’식 활동일 가능성에 무게를 뒀습니다.

민주주의수호재단의 데이비드 맥스웰 선임연구원은 VOA에, 북한의 움직임은 탄핵 등 국내외 현안에 둘러쌓인 트럼프 대통령과 미국 내 여론을 다시 자신들에게 끌고 오려는 목적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맥스웰 연구원] “Kim Jong Un wants to be the center of attention. And of course, President Trump has been distracted with NATO with Russia…”

맥스웰 선임연구원은 북한이 엔진시험을 통해 실제 동창리에서 발사를 감행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면서, 우주 연구 활동을 가장한 인공위성 발사가 북한이 말한 ‘크리스마스 선물’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존 페퍼 `외교정책 포커스’ 소장은 북한이 동창리 발사장 움직임으로 긴장을 고조시키는 것은 역설적으로 미-북 비핵화 협상 테이블로 복귀하기 위해 무엇이든 할 준비가 돼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녹취: 페퍼 소장] “I think the resumption of intemperate lines, language like dotard, suggests that North Korea is prepared to do whatever it deems necessary to basically get back to the negotiating table…”

북한이 정한 ‘연말 시한’은 미국 입장에서는 반드시 지켜야할 의무가 없기 때문에 애가 타는 쪽은 북한이며, 미국이 연말 시한에 반응하도록 하기 위해 거친 언사와 도발 징후를 계속 내비치는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두 전문가는 모두 김정은 위원장의 내년 신년사가 미-북 협상의 분기점이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VOA 뉴스 조상진 입니다.

독자 제보: VOA는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기사화를 원하는 내용을 연락처와 함께 Koreanewsdesk@voanews.com 이메일로 보내주시면 뉴스 제작에 적극 반영하겠습니다. 제공하신 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되며, 제보자의 신분은 철저히 보호됩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