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특파원 리포트] 한국 외교장관 “포괄적 핵 폐기 로드맵 필요...미-북 유연성 발휘해야”


강경화 한국 외교장관이 3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외신기자 긴담회에 참석했다.
강경화 한국 외교장관이 3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외신기자 긴담회에 참석했다.

강경화 한국 외교장관은 포괄적 핵 폐기 로드맵을 언급하며, 미국과 북한 모두 유연성을 발휘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대북 제재 해제나 완화와 관련해서는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로 가고 있다는 행동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서울에서 이연철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강경화 한국 외교장관은 북한 비핵화 협상과 관련해, 포괄적 핵 폐기에 대한 로드맵이 분명히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강경화 장관] “There has to be a comprehensive picture that starts as the beginning point of those discussion.”

강 장관은 3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외신기자 간담회에서, 논의의 시작점으로서 포괄적인 그림이 있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어 조속한 시일 내에 미국과 북한의 비핵화 협상을 통해 그같은 로드맵이 만들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렇게 하는 것이 국제사회에 편입되고 밝은 미래를 위한 국제사회의 지원이 가속화되도록 만드는 측면에서 북한에게도 장기적으로 이익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강 장관은 비핵화 협상에서 미국과 북한 모두 유연성을 발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강경화 장관] “I think Hanoi clearly demonstrated it very different positions of the two side...”

하노이 미-북 정상회담은 양측의 극명한 입장차를 아주 잘 보여줬으며, 양측이 다시 만나 생산적인 회담을 하기 위해서는 유연성이 필요할 수밖에 없다는 겁니다.

강 장관은 북한이 비핵화 의지가 없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그렇게 보는 것은 상황을 지나치게 단순하게 보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비롯한 북한 당국자들이 완전한 비핵화 의지를 지속적으로 천명했으며, 특히 김 위원장이 하노이 정상회담에 구체적인 조치들을 준비해 왔다는 겁니다.

강 장관은 미국 입장에서는 그 같은 조치들이 충분치 않다고 판단했지만, 김 위원장이 비핵화를 위한 행동을 담은 구체적인 제안을 갖고 왔다는 사실은 실제로 행동을 취할 용의가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강경화 장관은 하노이 미-북 정상회담에서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지만 양측 최고 지도자의 의중은 분명하게 드러났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강경화 장관] “The two leaders remain committed to continuing dialogue...”

트럼프 대통령은 4월 초 문재인 한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김정은 위원장을 다시 만날 용의가 있다고 밝혔고, 김 위원장도 지난달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에서 미국과 계속 대화할 의사가 있음을 시사하는 등 두 지도자가 계속 대화할 의지를 갖고 있다는 겁니다.

강 장관은 이런 상황에서 한국 정부는 북한과의 관여에 대한 모멘텀을 유지하기 위해 모든 외교적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다음주 스티브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한국에 오면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토론할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또한 북한은 아직도 상황을 평가하고 계산 중인 것으로 보인다며 어느 시점이 되면 대화로 복귀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대북 제재와 관련해서는 국제적인 맥락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강경화 장관] “These are not just the US imposed sanctions. These are global sanctions imposed...”

대북 제재는 단순히 미국이 부과하는 게 아니라 유엔 안보리가 부과하는 국제적인 제재라는 겁니다.

강 장관은 제재가 해제되려면 안보리의 결정이나 행동이 요구된다며, 이를 위해서는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로 가고 있다고 국제사회가 확신할 수 있는 행동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대북 제재가 북한의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북한의 가시적이고 구체적이며 실질적인 행동이 필요하다는 겁니다.

강 장관은 북한 인권 문제와 관련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한국 정부도 적극 참여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북한이 유엔의 여러 국제기구들과 적극적으로 대화하도록 계속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비핵화와 평화체제 협상에서 북한 인권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 최우선 사안은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강경화 장관] “그렇지만 비핵화와 평화체제를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북한과의 관여가 더 깊어지고, 북한의 국제사회와의 교류와 개방이 더 확대되면서 북한 주민들의 인권 상황도 훨씬 더 호전되고 언젠가는 이 문제를 본격적으로 논의할 때가 오리라고 생각합니다.”

강 장관은 또, 최근 중국에서 체포돼 강제북송 위기에 처한 탈북민 7명 문제와 관련한 질문에, 이들 탈북민들의 안전을 보호하고 강제로 북한으로 돌아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모든 외교적 역량을 다 동원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서울에서 VOA 뉴스 이연철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