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뉴스해설] 미뤄진 미-북 2차 정상회담 영향 받는 김정은 위원장 정상외교


김정은 북한 국무위언장이 지난달 북한 양덕의 건설 현장을 찾아 공사 진행 상황을 살펴보는 모습을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언장이 지난달 북한 양덕의 건설 현장을 찾아 공사 진행 상황을 살펴보는 모습을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2차 정상회담이 내년으로 미뤄지면서 김 위원장의 다른 정상외교 일정도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현재는 연내 서울 답방이 유일하게 남아 있지만, 성사 여부는 불투명합니다. 한반도 현안을 알기 쉽게 설명해 드리는 `뉴스 해설’, 윤국한 기자와 함께 합니다.

진행자) 올해 안에 열릴 것으로 전망됐던 김정은 위원장의 정상외교가 어떤 것들이 있나요?

기자) 트럼프 대통령과의 2차 정상회담이 대표적이었고요, 그밖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평양 방문,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초청에 따른 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 그리고 문재인 한국 대통령과의 평양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서울 답방 등이 있습니다.

진행자) 그런데, 미-북 2차 정상회담이 내년으로 미뤄지면서 다른 일정들도 함께 늦춰지고 있지요?

기자) 네. 우선 시 주석의 방북이 내년으로 넘어갔습니다. 그동안 연내 방북이 유력한 것으로 관측돼 왔지만 시 주석 자신이 내년 방북을 확인했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도 연내 성사 가능성이 줄곧 제기돼 왔지만, 크렘린궁 측은 최근 김 위원장의 연내 러시아 방문 계획이 없다고 발표했습니다.

진행자) 이 두 정상외교 일정이 올해 열리기로 확정됐던 건 아니지 않습니까?

기자) 맞습니다. 아울러, 미-북 2차 정상회담의 시기와 관련이 있는지도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다만, 두 일정과 미-북 비핵화 협상이 상당히 연관성이 있는 점 때문에 이런 관측이 유력하게 나오고 있는 겁니다.

진행자) 북-중, 북-러 정상회담과 미-북 정상회담이 어떤 관계가 있다는 건가요?

기자) 우선 북한의 입장에서 보면, 미국과의 협상 국면에서 오랜 동맹인 중국과 러시아를 후원자로 두는 것이 필요합니다. 특히 협상이 실패로 끝날 경우를 상정하면 더욱 그렇습니다. 하지만, 미국과 적대관계를 청산하고 새로운 관계를 수립하는 건 더욱 중요합니다. 문제는 잘 알려진 대로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과 김 위원장의 대화에 시 주석이나 푸틴 대통령이 개입하는 것을 탐탁하지 않게 여기고 있는 점입니다. 김 위원장이 시 주석의 방북과 자신의 러시아 방문을 트럼프 대통령과의 2차 정상회담 이후로 미뤘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배경입니다.

진행자) 시진핑 주석 역시 트럼프 대통령의 심기를 살펴야 하는 상황이지요?

기자) 시 주석은 현재 미국과의 무역분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따라서, 북한 문제와 관련해 미국과 또 다른 전선을 만드는데 신중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 때문에 미-북 2차 정상회담 이후에 방북 하는 쪽을 택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러시아 방문의 경우, 김 위원장은 미국과의 비핵화 협상에 집중하기 위해 처음부터 내년을 염두에 뒀을 가능성이 큽니다.

진행자) 결국, 올해 안에 가능성이 남은 정상외교 일정은 서울 답방뿐이네요?

기자) 하지만 이마저도 확실치 않습니다. 김 위원장은 지난 9월 문재인 대통령과의 `평양 공동선언’에서, `가까운 시일 내에 서울을 방문하기로’ 했습니다. “가까운 시일 안에 라는 말은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올해 안에’라는 의미”라는 게 문 대통령의 설명이었습니다. 그러나,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의 2차 정상회담이 내년으로 미뤄지면서 성사 여부가 불투명해졌습니다.

진행자) 왜 그런 건가요?

기자) 미-북 협상에 진전이 없는 상황에서는 남북한의 두 정상이 만나도 할 수 있는 게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북한의 비핵화와 미국의 상응 조치가 순조롭게 진행돼야 이를 토대로 남북 간 협력사업들도 진전될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협상이 답보 상태에 빠지면서 미국은 현재 대북 제재 유지에 진력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김 위원장이 서울을 방문하더라도 `빈손 귀국’ 가능성이 큽니다.

진행자) 그래도, 한국 정부는 연내 김 위원장의 서울 방문을 계속 추진하고 있지 않나요?

기자) 한국 정부는 김 위원장의 연내 서울 답방이 `가능하고 필요하다’는 겁니다. 특히 김 위원장이 서울 방문 중 비핵화 의지를 공개리에 좀더 구체적으로 다시 확인할 경우 미-북 협상이 속도를 낼 수 있다는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결국 연내 성사 여부는 김 위원장의 결단에 달려 있는 셈입니다.

한반도 현안을 알기 쉽게 설명해 드리는 `뉴스 해설’ 이었습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