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문재인 대통령 “한미 동맹은 피로 맺어져, 트럼프 대통령과 굳게 손잡고 갈 것”


문재인 한국 대통령이 28일 방미 첫 일정으로 버지니아주 콴티코 미 해병대 국립박물관에 있는 '장진호 전투 기념비'를 방문해 연설하고 있다.
문재인 한국 대통령이 28일 방미 첫 일정으로 버지니아주 콴티코 미 해병대 국립박물관에 있는 '장진호 전투 기념비'를 방문해 연설하고 있다.

미-한 정상회담을 위해 28일 워싱턴에 도착한 문재인 한국 대통령이 한-미 동맹의 중요성을 크게 강조했습니다. 전쟁의 포화 속에서 피로 맺어진 사이라며 트럼프 대통령과 굳게 손잡고 가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영권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녹취: 두 나라 국가 소리]

문재인 대통령이 워싱턴 일정에서 첫 공식 방문지로 찾은 곳은 미 해병대의 심장부인 콴티코의 국립해병대박물관 옆 한국전쟁 장진호 전투 기념비.

문 대통령은 엄숙한 표정으로 헌화한 뒤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 첫 해외순방의 첫 일정을 이 곳에서 시작하게 돼 더욱 뜻이 깊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문재인 대통령] “67년 전인 1950년 미 해병들은 알지도 못하는 나라, 만난 적도 없는 사람들을 위해 숭고한 희생을 치렀습니다. 그들이 한국전쟁에서 치렀던 가장 영웅적인 전투가 장진호 전투였습니다. 장진호 용사들의 놀라운 투혼 덕분에 10만여 명의 피난민들을 구출한 흥남철수 작전도 성공할 수 있었습니다.”

문재인 한국 대통령 부부가 28일 장진호 전투 기념비에 헌화한 뒤 묵념하고 있다
문재인 한국 대통령 부부가 28일 장진호 전투 기념비에 헌화한 뒤 묵념하고 있다

장진호 전투는 1950년 겨울 미 해병대 1사단 등 유엔군이 숫적으로 8배나 되는 중공군의 포위와 엄청난 강추위를 뚫고 퇴각에 성공하며 치른 전투입니다. 특히 퇴각한 해병대 등 미군이 흥남에서 철수하며 북한의 피난민 10만여 명을 남쪽으로 구출한 흥남철수 작전은 전시 최대의 인도주의 작전 가운데 하나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문 대통령은 당시 흥남을 탈출한 피란민 중에 부모님도 있었다며, 미군의 도움이 없었다면 자신의 삶도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문재인 대통령] “크리스마스의 기적! 인류 역사상 최대의 인도주의 작전이었습니다. 2년 후 저는 빅토리아호가 내려준 거제도에서 태어났습니다. 장진호의 용사들이 없었다면, 그리고 흥남철수 작전의 성공이 없었다면 제 삶은 시작되지 못했을 것이고 오늘의 저도 없었을 것입니다.”

문 대통령은 그러면서 한-미 동맹은 피로 맺어진 위대한 동맹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문재인 대통령] “한-미 동맹은 그렇게 전쟁의 포화 속에서 피로 맺어졌습니다. 몇 장의 종이 위에 서명으로 맺어진 약속이 아닙니다. 또한 한-미 동맹은 저의 삶이 그런 것처럼 양국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삶과 강하게 연결돼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는 한-미 동맹의 미래를 의심하지 않습니다. 한-미 동맹은 더 위대하고 더 강한 동맹으로 발전할 것입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여러 번 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트럼프 대통령과 굳게 손잡고 한반도의 평화를 만들겠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문재인 대통령] “트럼프 대통령과 굳게 손잡고 가겠습니다. 위대한 한-미 동맹의 토대 위에서 북 핵 폐기와 한반도의 평화, 나아가 동북아의 평화를 함께 만들어 가겠습니다”

이날 기념식에는 로버트 넬러 미 해병대사령관과 장진호 전투 참전용사들, 흥남철수 작전 관계자와 가족들이 참석했습니다.

넬러 사령관은 축사에서 문 대통령이 가족과 미 해병대의 인연을 소중하게 여겨 감사하다며, 미군과 대한민국 국군이 함께 싸운 유산은 오늘까지 이어지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넬러 사령관] “That legacy leaves on today as we gather here to reaffirm and strength…”

문 대통령은 이날 넬러 사령관, 참전용사와 함께 기념비 앞에 산사나무를 심었습니다. 문 대통령은 별칭이 ‘윈터킹(winter king)’인 산사나무를 통해 장진호 전투를 영원히 기억하고 동맹도 풍성하게 성장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VOA 뉴스 김영권입니다.

진행자) 그럼 현장을 취재한 김영권 기자와 함께 행사 분위기와 문 대통령의 방미 일정에 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문 대통령이 첫 방문지로 장진호 전투 기념비를 선택한 이유가 먼저 궁금합니다.

기자) 한국의 진보 정부에 대한 워싱턴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동맹의 굳건함을 재확인 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두 나라 관리들은 동맹 관계에 흔들림이 없다고 말하고 있지만 북한 문제와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인 사드, 미한 자유무역협정(FTA) 등 여러 사안에 이견이 적지 않습니다. 특히 미국에 보수 정부, 한국에 진보정부가 있었을 때 관계가 삐걱거렸던 전례들이 있었기 때문에 문 대통령이 우선 굳건한 미-한 동맹의 재확인, 신뢰 구축에 초점을 맞추려는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습니다.

진행자) 문 대통령이 방문한 장진호 전투 기념비는 어떤 곳인가요?

기자) 이 기념비는 2015년에 착공돼 지난 5월 완공돼 제막식을 가졌습니다. 특히 한국 정부와 두 나라 참전 용사들의 모금으로 건립돼 미-한 동맹의 새로운 상징물로 떠오르는 곳입니다. 기념비는 높이 2.4미터 높이, 8각 화강암에 유담리와 고토리, 하갈우리 등 지역별 전투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화강암 위에는 자유와 희망을 상징하는 ‘고토리의 별’이 특수철강으로 제작돼 세워져 있습니다.

진행자) 문 대통령의 가족사도 이번 방문으로 새삼 주목을 받는 것 같습니다.

기자) 문 대통령의 부모는 모두 한국전쟁 전에 흥남에 살고 있었습니다. 부친 문용형 씨는 당시 함경남도 명문이던 함흥농고를 졸업한 뒤 흥남시청 농업과장을 지내다 가족을 데리고 피란길일 올랐습니다. 영화 ‘국제시장’으로도 널리 알려진 흥남부두를 떠난 마지막 배인 메러디스 빅토리호에 몸을 실은 1만 4천명의 피난민들 가운데 문 대통령 부모와 가족이 있었습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올해 90세인 어머니가 겪은 일화를 언급했습니다.

[녹취: 문재인 대통령] “지금 90이신 제 어머님의 말씀에 의하면 항해도중 12월 24일 미군들이 뱃속의 피란민들에게 크리스마스 선물이라며 사탕을 하나씩 나눠줬다고 합니다.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 입니다. 비록 사탕 한 알 이지만 그 참혹한 전쟁 통에 그 많은 피란민들에게 크리스마스 선물을 나눠준 그 따뜻한 마음씨가 저는 늘 고마웠습니다”

안호영 주미 한국대사는 이날 행사 뒤 ‘VOA’에 이런 문 대통령의 가족사와 미군의 ‘인류애’가 “한미관계에 좋은 자극제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안호영 대사] “인류애! 인류애가 이렇게 드러나는 전투가 없다고 (제가) 과거 (기공식에서) 얘기했었는데, 오늘 대통령님 말씀을 하시지 않습니까? 메러디스 빅토리호를 통해 탈출한 그런 피란민의 아들이 나다 이렇게 말씀하셨는데 저는 그 것을 듣고 굉장히 감동을 했습니다. 그래서 그 게 한미 관계에 더욱 좋은 자극제가 되고 기초가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진행자) 장진호 전투 참전용사들의 반응은 어떤가요?

기자) 장진호 전투 때 19살 이등병이었던 스티븐 옴스테드 예비역 중장은 ‘VOA’에 “문 대통령은 방문은 생존한 참전용사들은 물론 장진호에서 전사한 전우들에게 크나큰 영광”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옴스테드 전 중장] “The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ere is a great honor to those of us who survive…”

옴스테드 전 중장은 모든 전우들이 매우 행복하고 흥분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전우들의 희생은 오늘의 미-한 동맹과 한국의 발전을 볼 때 매우 가치 있고 위대한 승리였다고 회고했습니다.

진행자) 끝으로 문 대통령의 방미 일정은 앞으로 어떻게 되나요?

기자) 29일 목요일에는 미 의회 지도부와 면담을 하고 정계 핵심 인사들과 비공개로 간담회를 가질 예정입니다. 저녁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주최하는 백악관 환영 만찬이 있습니다. 30일에는 마이크 펜스 부통령과 함께 한국전쟁기념비를 헌화한 뒤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습니다. 이날 저녁에는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연설하고 7월 1일 미국에 살고 있는 한인들과 간담회를 한 뒤 출국할 예정입니다.

진행자) 김영권 기자와 함께 문재인 한국 대통령의 방미 첫날 소식 알아봤습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