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북한 개성공단 정상화 합의, 미·중과 관계 개선 의도"


14일 개성공단 종합지원센터에서 열린 제7차 개성공단 남북당국실무회담이 타결된 후, 남북한 대표단이 합의서를 교환하고 있다.
14일 개성공단 종합지원센터에서 열린 제7차 개성공단 남북당국실무회담이 타결된 후, 남북한 대표단이 합의서를 교환하고 있다.
북한 관영매체들은 개성공단 정상화 합의 사실을 이례적으로 신속히 보도하면서,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한국 내 전문가들은 북한이 남북관계 개선을 시작으로 미-북 대화, 북-중 관계 개선 등의 물꼬를 트려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서울에서 한상미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은 지난 14일 개성공단 실무회담이 타결된 뒤 개성공단의 정상화를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합의문이 타결된 지 3시간여 만에 신속하게 반응을 보인 것입니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TV' 보도 내용입니다.

[녹취: 조선중앙TV] “이번 회담에서 개성공업지구의 정상화를 위한 합의서가 채택됨으로써 조국해방 68돌을 맞으며 화해와 협력, 통일과 북-남 관계 개선을 바라는 온 겨레에게 기쁨을 안겨주게 됐습니다.”

7차 회담 시작부터 웃으면서 임했던 박철수 북측 수석대표는 타결 후 민족 모두에게 기쁜 소식을 안겨주게 되었다고 소감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험악한 분위기가 조성되기도 했던 지난 여섯 차례 회담과는 달리 북한이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 개성공단 정상화에 합의한 데에는 미국과 중국 등 주변국의 압박이 부담감으로 작용했을 거란 분석이 나옵니다.

한국 내 북한 전문가들은 개성공단 정상화는 북한이 반드시 풀고 넘어가야 할 매듭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김용현 동국대학교 교수입니다.

[녹취: 김용현 동국대학교 북한학과 교수] “미국과 중국과의 대화를 위해서 개성공단 정상화를 추진한다, 그런 입장을 북한은 갖고 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북한이 개성공단 정상화로 먼저 남북관계를 개선한 뒤 미-북, 북-중 관계 개선 등을 통해 국제적 고립에서 벗어나고자 한다는 것입니다.

미국은 미-북 대화 이전에 남북관계 진전을 보이라고 촉구했고 중국 역시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유지 방침을 지지한다고 밝히는 등 북한의 위협적 행보에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해 왔습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역시 지난 5월 최룡해 북한 특사의 방중 당시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을 약속한 상황에서 개성공단 정상화는 북한 입장에서도 큰 숙제였을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녹취: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중국과의 약속을 지킨다는 측면, 북-미 대화 분위기 조성 이런 것이 모두 가미된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여기다 북측 근로자 5만 9천 명이 개성공단에서 일하면서 매년 9천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던 만큼 북측 입장에서는 개성공단 재가동으로 얻을 수 있는 경제적 이익도 정상화에 합의한 요인 중 하나도 풀이됩니다.

서울에서 VOA뉴스 한상미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