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북한과 중국이 유엔 안보리가 금지한 대형 기계류 제품을 거래한 사실이 공식 무역자료를 통해 확인됐습니다. 두 나라가 최근 뜸했던 금수품 거래를 다시 재개한 것인지 주목됩니다.
국제해사기구(IMO) 회원국들이 사상 첫 북한 미사일 발사 규탄 결의문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북한측 주장을 일축했습니다. 북한에 모든 위성 발사 계획을 철회할 것도 촉구했습니다.
캐나다 해군이 최근 한반도 주변에서 북한의 제재 위반 감시 활동에 다시 참여했습니다. 일본 정부는 이같은 활동이 유엔 안보리 대북 결의의 효과적인 이행을 보장한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북한인권단체가 공산주의 독재정권에 희생된 사람들을 추모하는 미국의 연례 헌화 행사에 참여해 김정은 정권 아래서 핍박받는 북한 주민들을 기억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북한 주민들도 한국인들처럼 자유를 누려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유엔 난민기구가 탈북민 강제북송에 우려를 나타내며 중국이 난민 협약국으로서 보호 의무를 다하길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인권단체들과 전문가들은 이 기구가 중국 내 탈북민 보호에 너무 소극적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미국 국방부의 민간 자문위원들이 타이완해협을 둘러싼 중국의 강압 행위와 관련해 정보당국의 기밀 브리핑을 받습니다. 한국과 일본, 북한 관련 브리핑도 포함돼 있습니다.
미국 국무부가 ‘외교적 경로’를 이용해 북한에 소장을 전달해 달라는 납북 피해자 유족의 요청에 현재로선 마땅한 창구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북한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미국인들이 소장을 평양으로 보낼 방법을 찾지 못하면서 수년 째 소송이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습니다.
북한이 군사 정찰위성 추가 발사를 공언한 가운데 일본 방위성은 파괴 조치 명령이 발령돼 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이 군사정찰위성 발사 실패 이후 비등하는 국제사회의 비판 여론에 예민하게 반응하면서 주민들에겐 이 같은 사실을 쉬쉬하고 있는 양상입니다. 한국 정부는 추가 위성 발사를 예고하고 있는 북한에 대해 미사일 발사로 식량난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비난했습니다.
북한이 군사정찰위성 재발사를 공언한 가운데 미국과 한국의 북 핵 수석대표가 다음주 미국 워싱턴 D.C.에서 만나 대북 공조 방안을 논의합니다.
장호진 한국 외교부 1차관은 9일 서울 외교부 청사로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를 초치해 한국 정부를 겨냥한 강성발언을 한 데 대해 강력 항의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지난달 발견된 북한 주민 시신을 인도하겠다는 의사를 밝히고 북한 측이 이에 대한 입장을 통신선으로 알려달라고 통보했습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