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뉴스 풍경] 미국 내 탈북민들, 바이든 행정부에 기대와 우려...인권 문제 더 큰 관심 당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일 워싱턴 연방의사당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부인 질 바이든 여사와 가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취임선서를 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일 워싱턴 연방의사당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부인 질 바이든 여사와 가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취임선서를 했다.

미국에 거주하는 탈북민들은 각자 종사하는 분야에 따라 바이든 새 행정부에 다양한 기대와 희망을 밝혔습니다. 북한 인권 문제에 더욱 관심을 기울여달라는 점에서는 목소리가 일치했습니다. 장양희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please wait

No media source currently available

0:00 0:09:38 0:00

지난 2007년 미국에 난민 자격으로 입국한 30대 남성은 지난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표를 던졌습니다.

북한에서 누리지 못했던 경제적 여유와 대북정책에 대한 기대감에 따른 선택이었습니다.

전문직에 종사하는 이 남성은 당시 자신의 결정은 미국 주류 언론에 영향 받지 않았다며, 탈북민이라는 정체성이 이유라고 VOA에 말했습니다.

이 남성은 바이든 행정부가 양분된 미국사회를 하나로 이끌어 갈 지도력을 보여줄 것을 당부하면서, “극단적인 보수나 제한 없는 진보 둘 다 국민화합에 바람직하지 않으며, 진보라는 명목 아래 전통적이고 선한 가치관들을 무작정 바꾸는 것도 조심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이 경제력과 국방력뿐 아니라 이념과 가치로 본보기를 보이면서 세계를 인도하는 강국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바이든 행정부가 힘을 써주기를 바랬습니다.

북한 노동당39호실 고위 관리였던 아버지와 함께 탈북해 정착한 이현승 씨는 민주당이 백악관과 연방 상하원을 모두 장악했지만 바이든 대통령이 다른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여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이 씨는 이를 위해 언론이 올바른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이현승] “너무 좌편향되거나 우편향되지 말고 진실을 이야기해서 사람들이 똑바로 본인들이 판단하고 인식할 수 있도록 올바른 방송을 해주고, 저는 미국의 수정헌법 1 조에도 있듯이, 트럼프 대통령이 잘했다라고 말하기 보다는, 트럼프 대통령을 제지하는 빅 테크에 대해서도 개인의 자유를 침해했다고 생각합니다. 미디어가 그럴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저는 의심이 되고요. 물론 미디어도 보편적으로 자신들의 어젠다가 있지만, 특히 빅 테크가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기 시작하면 공산정권이나 다를 바가 없습니다.”

저스틴 서 씨는 자신이 뽑은 사람이 대통령이 돼 기쁘다며, 기대가 크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인종 차별 문제를 해결하고 교육 분야 지원을 늘려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녹취: 저스틴 서] “특별히 교육부에 돈을 지급해줬으면 좋겠어요. 저는 사실 지금도 학교에 가고 싶어요. 그런데 사실상 안되고 일자리만 찾는데…”

50대 남성인 존 김 씨는 목사로서 우려가 매우 깊다고 말했습니다. 민주당 대통령과 민주당이 장악한 연방 의회가 급진적인 정책을 펼치면 자녀들에게 미래는 없다는 주장입니다.

[녹취: 존 김] “물론 그 분한테 기대하는 것은 없습니다만, 미래가 안 보입니다. 그 분한테.. 새해 첫 날부터 하원에서 아버지와 어머니 아들 딸 이름 다 없애고 그런다죠. 가스산업도 없앤다는데.. 민주당이 아이들의 미래를 다 꺾어 놨습니다. 동성연애 차별금지법, 과연 우리 아이들한테 장래 미래가 있을 일을 하시겠는지. 그 분들의 정책이..”

미 하원은 최근 ‘성포괄적'(gender-inclusive) 용어를 사용하고, ‘아버지 어머니 아들 딸’ 같은 성별을 반영한 용어를 없애는 방안이 포함된 117차 의회 규칙안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대명사와 가족관계를 성중립적으로 변경해 모든 성 정체성을 존중하겠다”는 목적입니다.

서부 로스앤젤레스에서 자영업을 하는 40대 남성 제임스 리 씨는 바이든 정부의 경제와 의료 정책에 대한 염려가 크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세금을 낮췄고 의료보험을 의무화하지 않았기에 경제적 여유가 있었지만, 바이든 행정부는 그렇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입니다.

새로운 행정부에서 미국사회 전반의 변화를 예상하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는 동시에 정책에 대한 구체적인 주문도 나옵니다.

유학생 탈북민으로 미국에서 핵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은 조셉 한 론스타대학 겸임교수는 바이든 행정부의 이민정책에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녹취: 조셉 한] “지난 정권 때는 너무 막았어요. 정말.. 영주권 신청하고 과정이 너무 오래 걸렸어요. 그걸 좀 바꿨으면 좋겠어요. 합법적인 이민은 좀 장려했으면 좋겠어요. 국가에 이익이 되는 사람은 받아야죠. 불법적인 건 막아야죠. 안 그러면 너도 나도 다 들어오잖아요. 그런 게 뚜렷한 룰이 있었으면 좋겠어요. 과학자로서 2-3년 경력은 꽤 큰 것이거든요. 연구에 지장도 있고.”

한 교수는 세계 과학을 선도하는 나라가 미국이라며, 기초과학에 대한 지원과 투자가 늘어나기를 바랬습니다.

워싱턴에서 북한 인권 운동가로 활동했던 20대 대학생 그레이스 조 씨는 바이든 행정부가 탈북민들의 인권에 대해 목소리를 내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녹취: 그레이스 조] “새 대통령님은 북한 인권 활동하는 사람들의 목소리, 또 생존해 온 사람들의 간증이나 목소리에 관심을 가지는 마음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고요. 대학생으로서 또 북한에서 체험하고 온 생존자로서 바라는 것은 북한 출신 사람들이 자유를 찾아 문을 두드리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런 사람들의 목소리를 조금이나마 더 귀를 기울여 들어주시고 자유를 더 주셔서 저 같은 자유로운 대학생이 더 많이 생길 수 있도록 2021년부터 앞으로 몇 년간 더 많이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트럼프 행정부 시절 탈북 난민 입국이 크게 줄어든 점을 지적하며 변화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이현승 씨는 바이든 행정부가 북한 엘리트들의 입국을 이끌어내 그들의 조언을 대북정책에 반영하기를 바랬습니다.

[녹취: 이현승] “특히 바이든 행정부는 북한의 특히 엘리트들을 미국으로 데려오는 복안같은 것을 만들어서, 그 분들이 와서 북한의 실 상황을 미국의 대북정책에 반영하도록, 사람들이 많이 와야 인재도 많고, 좋은 정보도 많이 모이고 하기 때문에.. 그런 정책을 추진해 주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조셉 한 교수도 바이든 행정부가 탈북민들의 조언을 많이 들어 현실적인 대북정책을 펴나가기를 희망했습니다.

미국 내 탈북민들은 특히 북한의 인권 문제를 핵 문제와 함께 다뤄야 한다며, 북한에 대한 강력한 제재와 인권 관련 압박을 주장했습니다. 이현승 씨입니다.

[녹취: 이현승] “핵 문제가 해결됐다고 해서, 완전히 해결된 게 아니거든요. 만약에 협상이 끝난다고 해도. 그래서 저는 인권 문제를 같 해결하고 그걸 토대로, 핵 문제 맞물려 해결해야지 단기적으로 해결해도 인권 문제가 해결 안 되면 근본적으로 북한 문제가 해결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바이든 행정부가 다들 아시다시피 인권에 대해 강조한다고 하기 때문에 기대해 봅니다…”

유타주에 거주하면서 인권단체에서 인턴으로 활동하는 제이크 김 씨는 김정은 정권에 정당성을 주면 안된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제이크 김] “북한의 인권에 초점을 맞추게 되면, 북한 주민들에게 정당성을 부여하는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데, 오직 김정은과 핵에만 집중하게 되면 김정은 정권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거죠.”

미국에는 현재 난민 자격으로 입국해 거주하는 탈북민 220명 외에 약 200명의 탈북민 출신 불법 체류자들이 있는 것으로 탈북민 지원단체들은 추정하고 있습니다.

VOA뉴스 장양희 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