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DPAA “한국전 무명용사 감식, 최대 프로젝트 부상...652구 대상”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의 국립태평양기념묘지(펀치볼 묘지).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의 국립태평양기념묘지(펀치볼 묘지).

한국전쟁에서 사망한 미군 무명용사들의 신원 확인 작업이 미국 정부의 최대 유해 감식 프로젝트로 떠올랐습니다. 한국전 직후 방부 처리돼 식별이 불가능했던 650여 구의 뼈들을 모두 파내 분석하는 7단계 계획인데, 미 국방 당국은 획기적인 성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백성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한국전 종전 직후 송환돼 미국 땅에 묻힌 무명용사들의 모든 유해가 70년 만에 빛을 보고 있습니다.

신원 확인 불가 판정을 받고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의 국립태평양기념묘지에 잠들어있던 무명용사들이 이름을 되찾을 가능성이 한층 커졌기 때문입니다.

미 국방부 산하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의 제니 진 박사.
미 국방부 산하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의 제니 진 박사.

미 국방부 산하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의 제니 진 박사는 VOA와의 전화통화에서 “2018년 8월 공식 개장 허가가 난 뒤 2단계에 걸쳐 파묘 절차가 진행됐다”며 “어떤 정보도 추출할 수 없었던 무명용사 유해가 모두 감식 가능 대상으로 전환됐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제니 진 박사] “7개 단계로 나눠서 (묘지를) 개장하는데 지금까지 2단계가 끝난 상태입니다. 한꺼번에 다 팔 수 없기 때문에 단계별로 하는데 1단계에 73기 개장, 2단계에 추가로 117기를 개장했습니다.”

일명 ‘펀치볼 국립묘지’에 70년 가까이 묻혀있던 867구 가운데 이미 개장한 200여구를 제외한 652구를 실험실로 옮기는 대작업은 첨단 과학을 적용한 고난도 감식 기법을 확보하면서 기획됐습니다.

[녹취: 제니 진 박사] “저희 DNA 랩(실험실)에서 새로운 DNA 추출법을 개발해보자, 그렇게 해서 5년 이상의 프로젝트를 시작해 그 부분이 성공적으로 기술개발이 됐고요. 그 과정에서 또 저희 랩은 뼈를 보고 흉부 엑스레이 비교법이라는 것을 개발해서 성공적으로 신원확인을 할 수 있게 됐습니다.”

북한과 남북한 접경 지역에서 사망한 미군 유해 867구가 1954년 미국으로 돌아온 뒤 수십 년 동안 ‘무명’으로 분류돼 온 건 DNA 분석법이 개발된 뒤에도 시료를 전혀 채취할 수 없었던 뼈의 특성 때문이었습니다. 송환 당시 일본을 거쳐 하와이까지 긴 항해를 앞둔 시신에 시신방부처리용액(포름알데히드) 처리를 하면서 유기물을 모두 녹여버린 겁니다.

이후 델라웨어주 도버 공군기지에 있는 미군 DNA 감식 연구소는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 정보를 연구하는 전문가를 초빙해 무명용사 유해에서 DNA를 추출하는 데 성공했고, 진 박사가 소속된 하와이 소재 감식소는 빗장뼈로 불리는 유해의 쇄골을 70년 전 엑스레이 기록과 비교해 신원을 확인하는 기술을 확보했습니다.

[녹취: 제니 진 박사] “많은 사람들이 처음엔 믿지 않았어요. 흉부 엑스레이로 누군지 알 수 있다는 것을. 그래서 저희도 그걸 위해서 정말 수만 개의 엑스레이를 가지고 블라인드 테스트를 하는 거죠. 전혀 답을 모르는 사람한테 수천 명씩 보여주면서 이것과 똑같은 사람을 찾는 식으로. 저희도 프로그램을 완전히 개발한 거에요.”

2018년 7월 성사된 북한의 미군 유해 송환 소식에 묻혀 세간의 관심에서 더욱 멀어졌던 무명용사 유해 감식이 뒤늦게 미 국방부의 최대 신원 확인 프로젝트로 떠오른 건 이런 노력 덕분입니다.

[녹취: 제니 진 박사] “모두 600구 넘는 유해들이 다 재개장될 것이거든요. 그동안 북한에서 송환받은 유해들보다 규모가 훨씬 큽니다. 앞으로도 저희 기관의 신원확인을 이끌어나가는 중심이 될 수 있는 큰 프로젝트가 아닌가 그렇게 기대를 걸어봅니다.”

실제로 지금까지 신원이 확인된 한국전 참전 미군 유해 558구 가운데 26%인 144구가 ‘펀치볼 국립묘지’에 묻혔던 무명용사의 유해로 집계된 건 이 같은 추세를 잘 보여줍니다.

70년 만에 이름을 찾게 된 미군 용사의 마지막 여정을 누구보다도 기다리는 사람은 이제 얼마 남지 않은 유족과 이들의 2세, 3세 후손들입니다.

[녹취: 제니 진 박사] “한국전 유족들이 사실 펀치볼 묘지 개장을 위해서 정말 많은 노력을 했습니다. 왜냐하면 유해가 다른 나라에 가서 유해를 가지고 와야 하는 것도 아니고 유해가 현재 미국 땅에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그것을 재개장해서 신원확인을 해 달라, 이런 요청을 오랫동안 해왔고요. 그런 점에서 이제 전체 개장 허가가 떨어지게 된 데 대해서 상당히 반가워하고 있는 거로 알고 있습니다.”

지난 2018년 10월 22일부터 2019년 3월 15일까지 진행된 ‘펀치볼 묘지’ 1차 개장과 2019년 6월 10일부터 올해 2월 24일까지 계속된 2차 개장에 이어 앞으로 5차례의 추가 개장 절차가 남았습니다.

1,2차 단계를 통해 이미 개장된 190구의 유해 외에 462구를 담은 각 금속관을 성조기로 덮은 뒤 예를 갖춰 실험실로 옮기는 오랜 작업입니다.

전체 개장까지 5~7년을 잡고 있지만 유해 감식을 통한 신원 확인까지는 더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진 박사는 내다봤습니다.

[녹취: 제니 진 박사] “가장 큰 문제가 무엇이냐 하면 이분들 유해들이 혼재가 많이 돼 있어요. 그래서 머리와 몸통이 안 맞는다든지, 이런 복잡한 문제들이 많이 있습니다. 네 사람이 섞여 있기도 하고. 그래서 상당히 복잡해요. 시간이 한참 걸릴 겁니다. 한 10년은 잡아야 그래도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거예요.”

무명용사들은 뜻밖에도 DPAA 감식소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묻혀 있었습니다.

한반도로 급파되며 남긴 작은 흔적이 이들의 잃어버린 이름과 가족을 70년 만에 되찾아주고 있습니다.

VOA 뉴스 백성원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