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미국의 바락 오바마 새 행정부의 대북정책이 수립될 때까지 인내심을 갖고 기다려야 한다고, 웬디 셔먼 전 국무부 대북정책조정관이 말했습니다. 셔먼 전 조정관은 또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매우 위험하고 도발적인 행위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김근삼 기자가 어제 워싱턴에서 열린 대북정책 토론회를 취재했습니다.
워싱턴에 소재한 민간 연구기관인 한미경제연구소에서는 10일,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토론회가 열렸습니다.
클린턴 행정부 시절 국무부 대북정책조정관을 지낸 데 이어 최근 오바마 정권인수위원회에서 외교 팀을 이끌었던 웬디 셔먼 전 조정관은, 북한에 대해 도발 행위를 자제하고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이 수립될 때까지 기다릴 것을 당부했습니다.
셔먼 전 조정관은 북한이 토론회를 지켜본다면 꼭 해주고 싶은 말이 있다면서, 미국은 북한 문제를 잊지 않고 있으며, 북한은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이 수립될 때까지 인내심을 갖고 기다려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셔먼 전 조정관은 이어 현 시점에서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한다면 매우 위험하고 도발적인 행위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에 관해, 셔먼 전 조정관은 한반도 주변국들과의 더욱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셔먼 전 조정관은 전임 조지 부시 행정부 시절 북한은 플루토늄을 추가 생산하고 핵실험까지 실시했으며, 한국, 일본과의 관계에도 어려움이 생겼다면서, 오바마 행정부는 어느 때보다 힘든 상황에 직면해 있다고 말했습니다.
셔먼 전 조정관은 따라서 북 핵 문제를 풀기 위해 한국과 일본, 중국, 러시아와의 긴밀한 협력이 더욱 중요하다면서, 다음 주로 예정된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의 동북아 순방 중 핵 문제 진전을 위한 의견 조율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공화당 소속 에드 로이스 하원의원은, 경제제재 등을 통해 북한의 무기 확산 망을 차단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원 외교위원회 소속인 로이스 의원은 궁극적인 비핵화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북한의 플루토늄 뿐만 아니라, 북한이 핵 개발 자금을 마련하는 불법 활동도 차단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은 마약과 미사일 수출 등 불법 활동을 통해 정권 유지와 핵 개발을 위한 자금을 확보하며, 이런 불법 활동 망은 핵 기술 확산에도 이용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로이스 의원은 이와 관련해 과거 마카오 소재 ‘방코델타아시아’ 은행의 북한 계좌 동결과 같은 금융제재와, 한국의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 PSI 가입 등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