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VOA 뉴스] 북한 벌써 ‘춘궁기’…‘곡물값’ 급등


[VOA 뉴스] 북한 벌써 ‘춘궁기’…‘곡물값’ 급등
please wait

No media source currently available

0:00 0:03:51 0:00

북한이 지난해 농사가 풍작이라고 선전했지만 춘궁기 들어 곡물가 급등을 막지 못하는 양상입니다. 러시아와의 협력도 군사부문이 우선이고 식량 등 민생부문은 후순위로 밀려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김시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이상도)

북한이 지난해 농사가 풍작이라고 선전했지만 춘궁기 들어 곡물가 급등을 막지 못하는 양상입니다. 러시아와의 협력도 군사부문이 우선이고 식량 등 민생부문은 후순위로 밀려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김시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이상도)


일본의 북한 전문매체 ‘아시아프레스’에 따르면 지난 3일 현재 북한 내 쌀과 옥수수 강냉이 시장 가격은 kg당 각각 7천200원과 3천300원 수준입니다.

지난해 말 쌀은 5천 원, 옥수수는 2천 원 선이었던 가격이 춘궁기 들어 급등한 것인데, 기록적인 흉년을 기록했던 2022년 작황의 직접 영향을 받았던 지난해 5월 초와 비교해도 쌀값은 1천 원 정도 더 비싸졌습니다.

북한은 지난해 추수기에 풍수해 등 별다른 자연재해 없이 큰 풍작을 기록했다고 대대적으로 선전한 바 있습니다.

북한 농업전문가인 조충희 굿파머스 연구소장은 과거 4월쯤 시작했던 춘궁기가 2월로 당겨지는 양상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조충희 / 굿파머스 연구소장
“2022년의 농사 작황보다 작년엔 그래도 괜찮았다고 얘기했음에도 불구하고 식량 가격이 계속 올라가고. 심지어 지역 양정부에서 운영하는 식량판매소도 가격이 이전엔 시장 가격하고 700~800원 차이를 두고 움직였는데 지금은 100원도 차이가 안 나거든요.”

한국의 북한전문매체인 ‘데일리NK’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기준 쌀 가격이 평양과 신의주는 각각 5천500원과 5천600원 그리고 국경 도시인 혜산은 6천300원으로 벼 추수가 본격화되기 전인 지난해 9월 이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 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김혁 박사는 북한의 지난해 수확이 양호했는데도 곡물가격이 오른 것은 북한 당국이 농민들의 부분적인 곡물 처분권을 빼앗고 국가 주도의 유통 시스템으로 회귀하는 정책을 펴면서 장마당 거래가 위축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김혁 / 한국 농어촌연구원 선임연구원

“시장에는 곡물을 판매할 수 없도록 판매 금지를 시킨 상황이고요. 그다음에 작년에 농사가 잘됐습니다. 그 곡물의 수매 계획분을 기본적으로 다 거둬들였지만 그 이상으로 농장원들이 갖고 있는 잉여곡물에 대해서 외부로 유출을 못 하게끔 통제를 하고 있기 때문이거든요.”

북한은 식량난 완화를 위해 외부로부터 곡물을 들여와야 하지만 중국이나 러시아와의 대규모 거래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특히 지난해 9월 북러 정상회담 이후 북한이 전쟁 중인 러시아에 포탄과 무기를 제공하고 그 대가로 러시아의 풍부한 밀을 받을 가능성이 제기됐지만 군사분야에 협력의 우선순위를 빼앗기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조한범 /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러시아와 북한 간에 거래가 이뤄지는 것 같고요. 군수 지원을 주고받는 게 민생 경제용이 아니고 국방 분야나 김정은 정권 차원의 전략 물자일 가능성이 높아요. 그러니까 러북 밀착에도 불구하고 식량 가격이나 장마당의 생필품 가격이 안정화가 안 되거든요.”

김 위원장이 지난해 9월 러시아를 방문할 당시 북한은 러시아 측으로부터 식량 무상 원조 제안을 받았지만 상황이 어려워지면 의지하겠지만 지금은 괜찮다고 거절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북한은 대신 최근 러시아로부터 밀 종자를 도입해 여러 곳에 파종을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나 한국 정부 산하 국책연구기관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최장호 통일국제협력팀장은 북러 간 기후와 토양, 재배 방식 차이로 종자 도입이 실효를 거두는 데 시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VOA뉴스 김시영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