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북한 유조선 활동 재개 조짐…석탄 항구에서도 움직임 관측


북한 남포의 해상 유류하역시설을 촬영한 플래닛 랩스의 26일자 위성사진. 70m 길이의 유조선이 보인다. 자료=Planet Labs
북한 남포의 해상 유류하역시설을 촬영한 플래닛 랩스의 26일자 위성사진. 70m 길이의 유조선이 보인다. 자료=Planet Labs

한동안 운항이 관측되지 않았던 북한의 유조선들이 최근 남포 유류하역 항구를 드나들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북한의 석탄 항구에서도 활동 재개로 보이는 움직임이 확인됐습니다. 함지하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지난 26일 북한 남포 앞바다의 한 지점을 촬영한 플래닛 랩스(Planet Labs)의 위성사진에 약 70m 길이의 선박 한 척이 포착됐습니다.

이 선박이 자리한 곳은 육지로부터 약 150~200m 떨어진 바다 한 가운데로, 과거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패널은 이곳에 해상 유류하역시설이 있다고 지적한 바 있습니다.

따라서 유조선으로 추정되는 이 선박은 이곳에서 유류를 하역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가 시작된 지난해 중순까지만 해도 해상 유류하역시설에서 많은 유조선들이 포착됐지만, 이후 급감하기 시작해 최근까지 이곳에 머무는 선박은 찾아보기 힘들었습니다.

실제로 올해 초부터 6월 초까지 위성사진을 통해 이 시설에서 포착된 유조선은 단 한 척도 없었습니다.

그러나 7월과 8월에 이 시설에 정박하는 유조선이 조금씩 포착되기 시작했고, 9월에는 28일까지 총 4척의 선박이 머물다가 떠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이달 1일에 발견된 유조선은 길이가 100m로, 코로나 사태 이전에 종종 목격되던 대형 유조선과 크기가 비슷했습니다.

북한 남포의 해상 유류하역시설을 촬영한 플래닛 랩스의 1일자 위성사진에 100m 길이의 유조선이 포착됐다. 자료=Planet Labs.
북한 남포의 해상 유류하역시설을 촬영한 플래닛 랩스의 1일자 위성사진에 100m 길이의 유조선이 포착됐다. 자료=Planet Labs.

해상 유류하역시설에서 포착되는 유조선들의 숫자가 늘어나면서 북한이 선박을 통한 유류 반입 활동을 재개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옵니다.

최근 공해상에서 유엔의 대북제재를 위반한 선박들이 다시 포착되기 시작한 것과 맞물려 이런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

앞서 영국 국방부는 지난 26일 동중국해에서 대북제재 위반 선박들의 증거를 확보해 유엔 집행조정실에 영상과 사진 증거를 제공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현재 유엔 안보리는 북한의 유류 반입에 상한선을 정한 상태로, 과거 북한은 이를 회피하기 위해 동중국해를 포함한 공해상에서 다른 유조선으로부터 유류를 환적받곤 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 사태 이후 남포의 해상 유류하역시설을 드나드는 유조선이 급감하면서 공해상에서 포착되는 유조선의 숫자도 덩달아 크게 줄었었습니다.

이런 가운데 북한 선박들의 석탄 관련 활동도 최근 재개 조짐을 보이고 있어 주목됩니다.

북한 남포의 석탄 취급 항구는 불과 몇 개월까지만 해도 운영이 되지 않는 듯 회색 바닥을 드러냈고, 항구에 입항하는 선박도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이달 들어 최소 4척의 선박이 3~4일씩 정박한 뒤 떠난 것으로 나타났고, 이중 일부의 적재함에선 석탄으로 보이는 검정색 물체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 남포 인근의 또 다른 석탄 항구인 송림항에도 이달 들어서만 5척의 선박이 드나든 것으로 확인돼, 지난해 8월 이후 끊겼던 선박들의 입출항 활동이 다시 시작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유엔 안보리는 지난 2017년 북한의 핵과 미사일 실험 등에 대응해 채택한 대북 결의를 통해 석탄을 포함한 북한의 모든 광물의 수출을 금지한 바 있습니다.

따라서 만약 이들 선박들이 석탄을 싣고 다른 나라로 향한다면 이는 대북제재 위반입니다.

VOA 뉴스 함지하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