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중국 내 북한 파견 인력, 국경 봉쇄 장기화로 일탈 증가…북중 협력 단속 강화


지난 4월 중국 단둥의 상점들.
지난 4월 중국 단둥의 상점들.

중국 주재 북한 대사와 중국 공안부장의 최근 회동은 중국 내에서 일탈 행위가 증가한 북한 파견 인력을 관리하고 향후 탈북 증가를 막으려는 복합적 목적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탈북 지원단체들은 북한과 중국이 협력해 북한 주민들의 탈출을 원천봉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김영권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외무성과 중국 ‘신화통신’은 최근 리용남 중국 주재 북한 대사와 자오커즈 공안부장이 30일 베이징에서 만나 양국 협력과 북중 접경지역 안정 관리에 관해 논의했다고 전했습니다.

북한 대사가 170만 명에 달하는 중국 공안(경찰)을 지휘하면서 국내 치안과 반정부 활동, 탈북민 등 불법 체류자 단속 등 막강한 권한을 가진 중국 공안부장을 만난 데는 복합적 이유가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중국 랴오닝성의 한 소식통은 1일 VOA에, 코로나 여파와 북한의 국경 봉쇄 장기화로 탈북 행렬이 거의 끊긴 상태에서 북한과 중국이 접경 지역 안정을 논의했다는 발표는 북한 주민들의 탈출 방지보다 중국에 파견된 북한 인력 단속에 중점을 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국경 봉쇄가 20개월째 접어들면서 북한의 가족 품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중국 내 북한 파견 일군들의 불만과 피로감이 상당히 늘어 일탈 행위가 증가하자 북한 당국이 중국 공안에 체포와 수감 등 협력을 요청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중국 내 북한 식당과 파견 업체 지배인 출신으로 미국에서 탈북민 구출 단체 ‘무궁화구조대’를 설립한 허강일 대표도 3일 VOA에, 탈북 후 꾸준히 연락하는 중국 내 북한 지인들과의 최근 통화에서 북한이 파견 일군들의 관리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고 말했습니다.

코로나 발생 전 단기 출장으로 나온 수백 명의 성원들은 돈이 떨어져 거의 외교 공관에 구걸하는 수준이고, 최소 수만 명에 달하는 파견 노동자들은 고향의 가족들과 소통조차 못한 채

집단생활에 대한 피로감이 쌓여 일탈 행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는 겁니다.

[녹취: 허강일 대표] “북한의 통제가 심하니까 사람들이 불만이 많은 겁니다. 가족 소식도 모르지, 돈도 못 부치지, 편지도 안 된다고 하지, 이런 걸 보면서 북한 정권에 실망하는 거죠. 다른 나라는 아무리 코로나 발생해도 다 이동하고 할 것은 하는데 왜 북한만은 자국 사람들도 못 들어오게 이렇게 하는가...”

허 대표는 이런 이유 때문에 동북 3성 지역에 정보기술(IT) 일군으로 파견된 북한의 젊은 인력 중 최소한 10여 명이 탈북했고, 선양의 북한영사관에는 탈북 중 체포된 사람들 중 적어도 7명이 머물고 있다는 소식도 들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국경 봉쇄 장기화로 보위부 파견 일군들은 과거처럼 일탈 행동을 한 파견 일군들을 북한으로 송환할 수 없어 관리에 애를 먹고 있다며, 이 때문에 중국 공안 당국의 협조가 절실한 상황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녹취: 허강일 대표] “옛날에는 말을 안 듣는 아이들은 다 소환시켰습니다. 잡아가던지. 그런데 이제 보위부의 정책이 바뀌었어요. 잡아갈 수 없어요. 왜? 북한에서 안 받으니까. 그렇다고 보위부에서 잡아가면 자기네가 먹여 살려야 하는데 얼마나 시끄러워요. 그러니까 지금은 다독인대요. 조국에 불만 품지 말아라! 조금만 참아라 하면서. 그래서 북한이 더욱 중국에 부탁하는 겁니다.”

탈북 지원단체 관계자들은 북-중 접경 지역 상황에 대해 엇갈린 반응을 보였습니다.

코로나 시작 전까지 최근 몇 년 동안 가장 많은 탈북민의 한국 입국을 지원한 것으로 알려진 T 선교회 책임자는 1일 VOA에, 중국 공안이 최근 결혼 또는 유흥 업소에서 일하는 “탈북 자매들을 자세히 조사하고 있다”며 어떤 변화가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습니다.

공안 당국은 중국 남성과 결혼해 사는 북한 여성들에 대해서 대개 눈을 감아 줬는데, 최근 갑자기 조사를 시작해 어떤 의도인지 여성들이 긴장하고 있다는 겁니다.

두리하나선교회의 천기원 목사도 이날 VOA에, 공안 요원이 지난주 한 업소에서 일하는 탈북 여성에게 “천기원 목사를 아느냐”고 질문하고 조사했다며, 여성들을 체포하지 않으면서 이런 조사를 하는 상황이 잘 이해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천기원 목사] “공안이 천기원이 아느냐고 직접 물어보기도 하니까 단속은 하긴 합니다. 그런데 이해가 안 가는 게 지금 탈북해 (한국에) 올 수도 없고 탈북자가 움직일 수도 없고, 북한에서 국경도 봉쇄한 상태에서 왜 철조망을 높이고 단속을 심하게 하고 서로 회담을 하며 단속을 하는지 여러 가지 연결을 해 봐도 잘 이해가 안 됩니다.”

한국의 ‘연합뉴스’는 앞서 북한 대사와 중국 공안부장의 회동 뒤 지린성의 북한 접경 지역인 바이산 공안국이 1일 불법 외국인 입국 단속을 강화하는 조치를 발표했다며, 신고자에게 제공하는 1~2천 위안의 포상금도 포함됐다고 전했습니다.

하지만 한국 갈렙선교회의 김성은 목사는 3일 VOA에, 중국 공안 당국은 국경 지역의 보안과 북한에 대한 협력, 공안 요원들의 기강 확립 차원에서 이런 조치를 정기적으로 해 왔다며 “그리 새삼스럽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김성은 목사] “사실 이런 것들이 새삼스럽다거나 포고령이 새삼스러운 게 아닙니다. 1월 되면 범죄와의 전쟁 선포, 또 조금 있으면 명절이죠? 또 날씨 쌀쌀해지기 시작하면 탈북자 이동할 거고. 이런 조치는 5년 전 10년 전에도 계속 있었던 거죠. 포상금 액수도 처음에 200 위안, 500 위안, 도문(투먼)같은 곳에는 2천 위안씩 줬어요.”

김 목사는 “다만 공안 당국의 최근 움직임은 탈북을 막으려는 북한 지도부의 조치에 박자를 맞춰주며, 오랜 중단 끝에 탈북민 구출을 재개하려는 지원단체와 중개인들에 대한 경고 메시지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최근 중국 내 소식통으로부터 입수한 동영상을 보면 북한 당국은 접경 지역의 참호를 50~100m 길이로 길게 파 감시를 강화하고 철책을 더 확대했으며, 중국은 탈북민들의 라오스행 주요 경로인 남부 J 지역 산야에 철조망 작업을 하고 있다며 모든 탈북 상황이 악화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중국 내 대북 소식통과 정기적으로 소통하는 정광일 ‘노체인’ 대표도 연변 지역의 경우 탈북민 신고 포상금은 오래전부터 4천 위안이라며, 이번 단속이 새 조치로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북한 당국이 접경 지역에 제방까지 쌓고 지뢰까지 매설해 지난 6월 북한 군인들이 사고로 크게 다쳤다며, “주민들의 탈출과 코로나 유입을 막으려는 김정은의 시도가 결벽증 수준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정광일 대표] “중국은 이미 오래전에 철책을 다 바꾸고 CCTV를 50m 마다 설치하고, 북한 쪽에서는 제방을 쌓아요. 사람이 내려갔다 올라갈 수 없게. 함경도 지역에는 사람이 지나갈 수 있는 지역에 지뢰를 매설했잖아요. 그다음에 적외선 센서를 깔아놔서 지나가면 울리게.”

이런 상황 악화로 많은 탈북 중개인이 버틸 수 없어 직업을 바꿨고, 북한 탈출 비용은 수만 달러, 중국 내 이동은 과거 2천 달러 정도에서 지금은 평균 1만 달러로 크게 올랐다고 탈북 지원단체들은 말했습니다.

탈북민 출신 중개인 K 씨도 3일 VOA에, 코로나 여파 등으로 오래전부터 다른 일을 하고 있어 북중 접경 지역 상황을 모른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K 씨] “아직 모르겠습니다. 저희 일을 못 한지 꽤 됐습니다. 저도 2년 동안 다른 일 하고 있고요.”

김성은 목사는 이런 악조건에도 불구하고 북한 내 경제 상황 악화로 최근 목숨을 걸고 탈출하는 주민들이 나타나 크게 놀랐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탈북에 성공한 주민 인터뷰와 최근 북중 국경 상황을 촬영한 동영상을 곧 공개할 예정이라며, 그러나 이들을 어떻게 구출할 수 있을지 막막한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김성은 목사] “그전에 한 300만 원이면 충분히 구할 수 있는 것을 코로나 이후 예를 들어 후원금이 반 토막이 났습니다. 그런데 구출 비용이 다섯 배 이상 오르면 도대체 1년에 몇 명이나 구할 수 있을지. 거기다가 위험까지 무릅쓰면서. 물론 한 영혼이 천하보다 귀하다고 하지만, 또 그러기에는 리스크가 큰일들이 눈앞에 보이니까 어쩔 수 없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VOA 뉴스 김영권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