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한국 민간단체들, 유엔에 국군포로·납북자 송환 촉구 서한


지난 2007년 5월 한국 파주 임진각역에서 북한에 한국전 국군포로와 납북자 송환을 요구하는 시위가 열렸다. (자료사진)
지난 2007년 5월 한국 파주 임진각역에서 북한에 한국전 국군포로와 납북자 송환을 요구하는 시위가 열렸다. (자료사진)

한국 민간단체들이 한국전 정전협정 68주년을 맞아 전후 국군포로와 민간인 납북자 송환을 북한에 촉구할 것을 요구하는 서한을 유엔에 보냈습니다. 현재 한국 정부가 확인한 전후 납북 억류자는 총 516명입니다. 이조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의 전환기정의워킹그룹(TJWG)과 북한인권시민연합은 27일 한국전쟁 정전협정 68주년을 맞아 전후 국군포로와 민간인 납북자 송환을 북한에 촉구할 것을 요구하는 서한을 유엔 강제실종 실무그룹에 보냈다고 밝혔습니다.

전환기정의워킹그룹은 26일 이같이 전하며, 단일 어선 납북 규모로는 최대인 1975년 천왕호 납북 사건과 1969년 KAL기 납북 사건, 1970년 해군 I-2호정 납북 사건 등을 예로 들며 북한의 납북 당사자 송환을 촉구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현재 한국 정부가 확인한 한국 국적의 납북 억류자는 총 516명이며, 여기에는 2010년 이후 납북된 최소 7명은 포함돼 있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이 단체는 한국 통일부 자료를 인용해 1953년 한국전쟁 정전 이후 북한에 납북된 것으로 알려진 한국인이 최소한 3천835명이며, 이 가운데 3천 310명이 송환됐고 9명은 탈북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최소한 516명은 한국에 있는 가족들을 만나거나 연락도 하지 못한채 북한에 억류돼 있다”며 “이들의 생사와 소재도 알려지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단체는 “1953년의 정전협정은 한반도에서 수백만 명의 사망과 무자비한 파괴를 초래한 적대행위를 종식시켰지만 심지어 오늘날까지도 평화를 가져오지는 못했다”고 강조했습니다.

VOA 뉴스 이조은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