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ㆍ지소미아)’ 종료 유예 결정 배경에 대해 일본과 한국이 설전을 벌였습니다.
일본의 아사히 신문은 24일, 아베 신조 총리가 한국 정부의 지소미아 조건부 연장 결정(22일) 직후 “일본은 아무것도 양보하지 않았다”며 “미국이 매우 강해서 한국이 (지소미아 종료를) 포기한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산케이신문은 전날 일본 정부 고위관계자가 "거의 이쪽(일본)의 퍼펙트게임"이라고 말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같은 보도 내용과 일본 정부의 후속 조치 등에 대해, 한국 정부는 강한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윤도한 국민소통수석 등은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가 열리는 부산에서 이날(24일) 브리핑을 통해, “일본 측의 몇 가지 행동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습니다.
정 실장은 “3개 수출규제 품목에 대해 앞으로도 개별 허가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일본 경제산업성이 발표했는데 한일 간 사전 조율과 완전히 다르다”며 “만약 이런 협상이라면 (지소미아 연장) 합의를 할 수 없었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라고 말했습니다.
정 실장은 “앞으로 이런 식의 행동이 반복된다면 한일간의 협상 진전에 큰 어려움이 있게 될 것으로 우려된다”고 덧붙였습니다.
또한 정 실장은 일본에서 ‘한국이 미국의 압력에 굴복한 것’, ‘일본 외교의 승리’, ‘퍼펙트 게임’이라는 이야기가 나오는 데 대해 “사자성어로 ‘견강부회’, 전혀 이치에 맞지 않는 주장을 자기 식으로 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정 실장은 이어 “‘You try me(나를 시험하라)’라는 말을 일본에 하고 싶다”며 “영어로‘ try me’는 어느 한쪽이 터무니없이 주장하면서 상대방을 계속 자극할 경우, 계속 그렇게 하면 내가 어떤 행동 취할지 모른다는 경고성 발언”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지소미아 연장은 모두 조건부이고 잠정적이라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고 말했습니다.
이 같은 상황과 관련, 청와대 관계자는 일본 언론이 전한 아베 총리 발언 내용이 사실이라면 "과연 양심을 갖고 할 수 있는 말인지 되물어 보지 않을 수 없다"고 비난했습니다.
그러면서 "일본 경산성의 부풀린 발표 내용에 대해서는 분명한 사과를 받았다"고 말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미국이 주한미군 철수를 압박해 한국이 지소미아 관련 입장을 양보한 것이라는 일본 매체 보도에 대해서도 "주한미군 문제에 대해서는 분명히 말하는데, 일체 거론이 안 됐다"고 밝혔습니다.
VOA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