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북한 보건안보 역량, 세계 최하위권”


북한 황해남도 해주의 한 병원에서 영양실조로 입원한 어린이들을 치료하고 있다.
북한 황해남도 해주의 한 병원에서 영양실조로 입원한 어린이들을 치료하고 있다.

북한의 보건안보 역량이 전 세계에서 가장 뒤떨어지며 국제 기준에도 부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미국의 민간 연구단체가 밝혔습니다. 정치, 안보 불안과 열악한 경제 문제 등도 북한의 보건 역량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분석됐습니다. 조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의 보건안보 관련 역량이 전 세계에서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의 민간단체인 ‘핵위협방지구상(NTI)’과 ‘존스 홉킨스 보건안보센터’는 24일, ‘2019 세계 보건안보 지수’ 보고서를 발표하고 북한의 보건안보 역량이 전체 195개국 중 193위에 머물렀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은 중대한 질병의 발생을 예방, 탐지, 대응할 수 있는 각 국의 능력을 평가한 세계보건안보지수에서 17.5점을 기록해 전체 평균 40.2점에 크게 못 미쳤으며 적도 기니, 소말리아에 이은 최하위권을 기록했습니다.

보건 역량을 평가한 세부 항목에서도 평균을 한참 밑돌아 보건 환경이 국제 기준에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북한은 항생제 내성과 동물매개 전염병, 차단 방역, 면역 프로그램 등 질병 사전 예방 관련 항목에서 19점으로 국제 평균 34.8점의 절반을 약간 웃돌았습니다.

특히 차단 방역과 동물매개 전염병, 생물안전도 관련 예방 조치는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제 북한은 최근 한반도에 확산 중인 아프리카돼지열병 ASF 발병과 관련해 지난 5월 30일, 첫 발생 통보 이후 추가 정보를 제출하지 않았고, 주변국과의 방역 공조 활동도 벌이지 않고 있습니다.

질병에 대한 탐지와 보고 체계도 허술한 것으로 조사됐는데, 실시간 감시와 보고, 질병 자료 분석, 역학 조사를 위한 인력과 장비, 시설이 턱없이 부족해 관련 역량이 세계185위에 그쳤습니다.

이처럼 허술한 탐지, 보고 체계는 질병 관리의 핵심인 신속한 대응에도 악영향을 미쳤습니다.

북한은 비상 대비와 대응 계획, 대응 계획 훈련, 경보 체계 인프라 항목에서 모두 0점을 기록해 보건 대응 체계가 전무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다만 의료 시설의 진료 역량 부문에서 34.9점을 기록해 국제 평균인 24.4점을 웃돌았고, 주민들의 의료 시설 접근성 부문 역시 국제 평균과 비슷한 수준으로 평가됐습니다.

이번 보고서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북한의 보건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인 요인에 대한 평가입니다.

보고서는 정치와 안보 불안, 경직된 사회-경제 구조, 사회 기반 시설의 부적합한 사용 등이 북한의 국민 건강과 보건안보 환경을 악화 시키는 요인으로 분석했습니다.

이번 연구를 담당한 존스 홉킨스 대학의 톰 잉글스비 보건안보센터장은 “국가 보건안보는 근본적으로 취약하며, 전 세계 어느 나라도 질병에 대한 대비를 충분히 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미국은 이번 세계보건안보지수에서 83.5점을 기록해 가장 높은 보건 역량을 갖춘 것으로 평가됐으며, 영국과 네덜란드, 호주, 캐나다 등 선진국들이 상위권에 올랐습니다.

한국은 70.2점으로 9위에 올라 동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보건 환경을 구축한 것으로 평가됐으며, 일본은 21위, 중국은 51위를 기록했습니다.

VOA 뉴스 조상진 입니다.

독자 제보: VOA는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기사화를 원하는 내용을 연락처와 함께 Koreanewsdesk@voanews.com 이메일로 보내주시면 뉴스 제작에 적극 반영하겠습니다. 제공하신 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되며, 제보자의 신분은 철저히 보호됩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