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미 이산가족들, 국무부에 가족상봉 지원 촉구


미국 워싱턴의 국무부 건물 (자료사진)
미국 워싱턴의 국무부 건물 (자료사진)

미국에 사는 이산가족들이 국무부에 이산가족 상봉에 관심을 촉구하는 이메일 보내기 캠페인을 시작했습니다. 미국 내 한인 이산가족 상봉을 미 정부가 지원하도록 하는 법안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영권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내 13개 주 이산가족 단체들이 연대한 재미이산가족전국연대(National Coalition for the Divided Families)가 18일 미 국무부에 이메일 보내기 운동을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단체의 홍보를 담당하고 있는 트레사 이 씨는 이날 ‘VOA’와의 전화통화에서 미 국무부가 이산가족 상봉 노력을 한층 강화해줄 것을 호소하기 위해 이 운동을 시작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트레사] “We have ambassador King, special envoy for…”

국무부의 로버트 킹 북한인권특사와 존 케리 국무장관에게 이산가족 문제가 중요한 국제적사안임을 강조하고 노력을 강화해달라고 호소하기 위해 캠페인을 시작했다는 겁니다.

북한 출신 한인 이산가족 1세의 손녀인 이 씨는 온라인 뉴스레터를 통해 매주마다 이산가족의 사연과 상황을 전달할 것이라며 미국인들의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습니다.

미국 내 한인 이산가족 상봉은 미-북 관계가 장기간 교착상태에 빠지면서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미 공화당 소속 마크 커크 상원의원이 지난 11월 한인들의 이산가족 상봉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제출했지만 채택되지 못했습니다.

재미이산가족상봉추진위원회의 이차희 사무총장은 이와 관련해 ‘VOA’에 커크 의원이 결의안이 아닌 법안을 준비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이차희 총장] “국무성에 이메일 보내는 운동 뿐아니라 커크 의원이 새 법안을 통과시키려하고 도드 의원이 하원에서 뛸 겁니다.”

이 총장은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미 정부의 지원노력과 남북 이산가족 상봉에 미국 내 한인을 포함시키는 내용 등 지난해 결의안 내용이 많이 담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총장은 지난 2011년 로버트 킹 특사가 방북 한 뒤 이산가족 서신 시범교환 등 의견 접근을 이뤘지만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 이후 모두 중단된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총장은 법안과는 별도로 국무부에 서한과 이메일 보내기 운동을 통해 궁극적으로 존 케리 국무장관을 면담하길 원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안의 시급성을 전달하며 마지막 희망을 걸고 싶다는 겁니다.

[녹취: 이차희 총장] “이제는 마지막 단계입니다. 거의 다 돌아가셨어요. 그러니까 빨리 상봉 협상을 시작할 것을 촉구하는 겁니다. 국무부가 행동을 취해줘야 하는 거죠”

이 총장은 지난 2009년 이 단체에 등록한 이산가족이 107명이었지만 지난주에 확인결과 42명으로 감소했다며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여유가 있는 이산가족들은 자비를 들여 북한을 방문해 가족들을 만나고 있지만 그렇지 못한 가족들은 소망을 거의 포기한 상태라고 말했습니다.

지난 11월 미 의회에서 상영된 재미 이산가족 관련 기록영화에는 이런 안타가운 이산가족들의 사연들이 자세히 담겨 있습니다.

[녹취 다큐 영화에 등장한 이산가족 할머니] “돈이 없으니까 포기했죠 돈이 없어서. 돈이 있었다면 포기 안하죠. 어떻게든 찾아보지. 사람을 내세워서라도. 꿈에 한 번 북한에 갔는데 얘들이 없어요. 얘들 어디갔나 했더니 산에 갔대요. 그런데 막 눈이 오는거야 그래서 난 눈길을 막 헤치며 찾다가…(눈물) 꿈을 깼어요”

한편 워싱턴의 한 소식통은 이와 관련해 ‘VOA’에 미-북 관계가 풀리면 한인들의 이산가족 상봉과 미군 유해발굴 사업 등이 우선 순위 가운데 하나로 다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VOA 뉴스 김영권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