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탈북민의 세상보기] 북한 (전) 대위 출신 탈북민 정문화 씨


[탈북민의 세상보기] 북한 (전) 대위 출신 탈북민 정문화 씨
please wait

No media source currently available

0:00 0:10:03 0:00

북한에서 오랜 시간 군인 생활을 하다 3번의 탈북 끝에 한국에 정착한 한 탈북민이 있습니다. 북한의 한 부대에서 대위로 근무한 탈북민 정문화 씨인데요. 탈북민들의 다양한 삶의 이야기를 전해드리는 ‘탈북민의 세상 보기’, 오늘은 ‘북한 (전) 대위 출신 정문화 씨’의 얘기 전해 드립니다. 서울에서 동예원 기자입니다.

북한에서 오랜 시간 군인 생활을 하다 3번의 탈북 끝에 한국에 정착한 한 탈북민이 있습니다. 북한의 한 부대에서 대위로 근무한 탈북민 정문화 씨인데요. 탈북민들의 다양한 삶의 이야기를 전해드리는 ‘탈북민의 세상 보기’, 오늘은 ‘북한 (전) 대위 출신 정문화 씨’의 얘기 전해 드립니다. 서울에서 동예원 기자입니다.

[녹취: 정문화 씨] “첫 탈북에 중국으로 팔려 가는 줄 몰랐어요. 나를 도와주는 사람들을 따라가는 거로 생각했지. 이 사람들한테 ‘나를 인신매매로 팔아주세요.’ 하고 가는 줄도 몰랐어요. 인권이라는 말을 몰랐기 때문에요.”

탈북민 정문화 씨가 첫 탈북에 관한 이야기를 꺼냅니다. 최근 정문화 씨는 남북통합문화센터에서 열린 ‘남북더보기’ 행사에 참여했는데요. 북한에서 근무했던 군 생활과 한국에서의 정착 생활을 남북한 출신 주민들에게 전했습니다. 먼저 행사에 관한 소개부터 들어보죠. 경희대학교 행정학과 김태영 교수입니다.

[녹취: 김태영 교수] “올해에도 몇 개 프로그램을 진행할 텐데 그 첫 주제가 여군 편입니다. 그래서 북한군 여군 대위, 남한 여군 대위 두 분을 모시고 군 생활에 관한 거 특별히 여군 생활에 관한 공통점, 차이점에 관해서 이야기를 나누고 질문받는 프로그램입니다. 우리가 통상적으로 군인 하면 다 똑같다고 생각하는데, 북한군과 남한군은 생활도 다르고 사고하는 방식도 다르고 처우도 많이 다르고 특히 여군의 경우에는 그 차이가 좀 더 심한 것 같아요.”

그래서 ‘남북더보기’ 행사를 통해 직업군별 서로 비슷한 점과 문화 차이를 알아갈 수 있었는데요. 북한 출신 여군으로 참여한 정문화 씨가 함께한 계기부터 들어봤습니다.

[녹취: 정문화 씨] “북에서 살 때는 인권에 관해서 잘 몰랐고 내가 받는 수모랑 이게 인권 침해라는 걸 전혀 몰랐기 때문에 그런가 보다, 하고 살았는데 대한민국에 와서 10년 차로 살면서 보니까 우리에게도 고귀한 인권이 다 있고 지켜야 할 권리도 있고 그런데 그거를 나처럼 모르고 지낸 사람들이 아직도 있을 거잖아요. 너무 가슴이 아파서 나도 더 배울 겸, 또 인권 침해가 더 이상 없길 바라면서 제 말 한마디, 한마디가 북한에 대해서 연구하시는 분들이나 통일 쪽으로 지향하시는 분들이 연구해서 나 같은 사람들이 더 이상 생기지 않게 빨리 통일의 길을 열어주길 바라는 의미에서 나오게 됐습니다.”

북한에서는 8년 정도 군 생활을 했다고 합니다. 어떤 마음으로 입대했을까요?

[녹취: 정문화 씨] “90년대에는 무조건 조국을 통일하겠다는 구호가 의무적으로 도시 곳곳에 붙어 있어요. 그래서 우리 어릴 때 교육받기는 무조건 조국을 통일하자, 이런 구호를 많이 들었고 그때 당시는 혈기 넘치는 젊은 나이 때니까, 들뜬 김에 군대에 나갔던 것 같고 정작 군대에 가서 무조건 군 복무에 충실해야 하는 것만큼 군부대 탈영이라든가 이런 거 하는 경우에는 나뿐만 아니라 가족들한테까지 영향이 미치니까 군 복무 기간에는 충실하게 했던 것 같아요.”

그래서 전역할 때까지도 외부 소식을 전혀 알 수 없었다고 합니다.

[녹취: 정문화 씨] “군 복무하면서 정해진 지역을 우리가 수호하는 역할을 하게 됐어요. 일체 사회생활을 알 수 없어요. 모든 통신이 차단돼 있고 신문도 군인 신문만 보여주기 때문에 우리 전투력을, 군인들 사기랑 떨어질까 봐 그런 모든 불필요한 소리가 없어요. 무조건 우리가 강하다. 무조건 우리가 물리쳐야 조국이 통일된다. 이런 생각만으로 그런 교육만 받고 군 복무했었고 전역 되어서 보니까 너무 현실과 달랐어요.”

1990년대 말, 전역하고 북한 사회에 나와보니 북한의 배급제는 붕괴했고요. 고난의 행군으로 정문화 씨의 가족 또한 어려움을 겪게 됐습니다.

[녹취: 정문화 씨] “96년도 그때부터인가, 전역할 당시는 잔돈 1전도 없을 정도로 그랬었고 저는 군 복무 기간에 조선노동당에 입당했으니까 입당한 사람은 무조건 당 생활을 해야 하므로 회사에 무조건 들어가야 해요. 그러니까 먹을 것도 없으면서 출근하는 게 너무 버거웠고, 전역할 당시에 동창들은 이미 탈북하고 추억이 깃든 동네가 고난의 행군이 겹치면서 싹 다 바뀐 거예요. 1년 지나서 너무 살기 힘들고 엄마가 치료비가 없어서 돌아가시고 그때 당시에 친구들이 자기 오늘 중국으로 도망친다고, 너도 가자고 해서 그때 24시간 동안 고민했던 것 같아요. 그래서 3년만 돈 벌고 오자고 해서 떠난 게 첫 탈북이었고…”

하지만 정문화 씨는 몇 개월 뒤 다시 북송됐습니다. 1년 동안 노동 단련대에서 처벌받았고요. 북한 사회에 나온 그녀는 친구들과 장사 일을 하게 됐죠.

[녹취: 정문화 씨] “그로부터 2년이 지나서 도저히 회사 다녀도 안 되고 해서 그때 당시에 한국 드라마인가? CD-R를 파는 거였어요. 중국에서 받아다가 중부 지역에다가 팔면 엄청 돈이 떨어진다고 하니까 친구들하고 그런 일을 했던 것 같아요. 그러니까 물건을 받아주고 나르는 운반 역할하고 이렇게 겨우 살아가는 도중에 어디 앞 선에서 위험에 처했는데 그거를 들키게 되면 엄청난 처벌을 받아야 하고…”

그렇게 그녀는 할 수 없이 두 번째 탈북하게 됩니다. 중국에서는 어르신 집에서 가사 일을 도왔는데요.

[녹취: 정문화 씨] “단둥 쪽에 갔어요. 집 청소해 주고 반찬 같은 거 해주고 살면서 또 그 집 어르신은 북에서 왔다고 불쌍하다고 며칠에 한 번씩 돈을 쥐여주고 하니까 그거를 모으고 도망칠 기회만 보다가 한 7~8개월 되니까 한국 돈 계산하면 한 100(만원) 얼마밖에 안 돼요. 북한에 보내달라고 한 달 졸랐던 것 같아요. 그래서 그 할아버지가 나를 넘겨줘서 국경선까지 다시 나갔죠. 이틀 걸쳐서…”

중국에서 번 돈으로 다시 북한에 돌아가려고 했지만, 그녀는 또 다른 시련에 부딪혔습니다.

[녹취: 정문화 씨] “북한에 다 도착해서 잠복해 있던 수사대한테 잡혔어요. 봄에 갔던사람이 가을에 다시 이만한 물건 들고 갔어요. 내가 이제, 옷가지 몇 개 연 게… 그걸로 건너서 서니까 그때 당시 경찰들이 군 복무 경력 때문에 나쁜 물을 먹었구나, 경찰서로 끌고 들어간 거죠. 그래서 교도소에서 내가 군복무 기간에 받았던 훈장, 메달, 당증 이걸 다 박탈당해요. 교도소 기간에 난 무조건 살아서 나가야 한다. 탈북해야 하겠구나. 이 사회에서 살아있을 이유가 없어서 진짜 2년 끝내고 바로 탈북했어요.”

그녀의 3번째 탈북. 중국에서 2년을 지냈지만, 신분 없이 살아야 하는 두려움에 결국 2015년 한국에 정착했습니다. 현재는 식당에서 일하고 있는데요.

[녹취: 정문화 씨] “원래는 회사 생활도 해보고 식당 일도 해봤는데, 대리만족을 느낀다고 해야 할까? 북한에서 우리가 마음대로 만지지 못했던 식자재, 식재료들 사람들은 왜 식당을 하느냐? 힘들다고 하는데 저는 의외로 재밌어요. 그래서 늘 식당에서 음식 해서 손님상에 나갈 때마다 기분도 좋고 우리 아버지가 좋아했던 음식도 만들어서 사람들한테 주면, 의외로 손맛이 좋다고 그러니까 더 기분 좋아서 하고 가장 큰 거는 돈 잘 벌잖아요. 여기는 일하는 것만큼 보수가 있고, 이제는 즐길 날만 생각하고 뭘 하면서 놀까? 생각뿐이에요.”

또한 누구보다 어렵게 자유를 찾은 만큼, 탈북민을 위한 봉사 활동도 하고 있습니다.

[녹취: 정문화 씨] “여기 와서는 마음껏 누리고 살아야 할 거 아니에요. 근데 사람들이 그런 걸 못 할 때 내가 해줄 수 있겠구나, 아플 때 어디를 연결해 줄 수 있고, 중국에서 살다 보니까 중국 애들이잖아요. 그러면 한국말을 못 해서 그 학교에 적응이 안 되고 엄마가 애를 붙잡고 같이 울고불고하는 거를 수없이 봐서 이런 거를 다문화하고 연결해 주고 한두 번 해주니까 성취감을 느꼈어요. 내가 발바닥 아프게 조금 뛰어다녔더니 이 사람한테 도움 됐구나! 하는 걸 느끼다 보니까 그게 커져서 지금은 100명 넘어요.”

현장의 관람객들은 북한 출신 여군의 이야기에 귀 기울였고요. 북한의 군 문화를
알아간 뜻깊은 기회가 됐다며 정문화 씨가 이제는 한국에서 더 행복한 삶을 누리길
바란다는 응원의 메시지도 전했습니다.

[녹취: 탈북 여성] “저도 고향이 북한이긴 한데, 군인 생활을 못 해봐서 몰랐는데 북한 군인 생활에 대해서 들었을 때는 군인들이 생리대를 네 것, 내 것 없이 그것도 위생 건강과 관련한 거잖아요. 그렇게 돌려가면서 쓴다는 데 대해서 가슴이 아팠고 저희는 여기서 풍족해서 얼마나 남는 게 많고 버리는 게 많아요. 주고 싶고 그런데 줄 수도 없고 그 안타까운 현실에 대해서 느꼈어요.”

[녹취: 한국 시민] “안타까운 생각, 공감이 가고 김치를 훔친 거 그것도 이해되는 게 제가 1985년도에 입대했어요. 우리도 김치를 얻으러 간 적이 있어요. 마을로, 비참한 거 아니에요. 상황이 열악하면 그렇게 하는 거지, 충분히 이해되고 잘 됐으면 좋겠어요.”

[녹취: 오정석 씨] “예전에 군대 생활했을 때 하고 비교할 수밖에 없었고요. 실제 근무하셨던 (북한 출신) 여성 장교의 얘기를 들으니까요. 한국하고 북한하고의 상황 같은 거를 잘 알 수 있었다, 그 문화 대위분께서 말씀하셨을 때 본인이 그때 당시에는 거기가 최고였고 이렇게 생각했는데, 와서 보니까 다른 것처럼, 저도 그렇게 생각했어요. 어떻게 보면 이런 프로그램이 활성화돼서 저같이 잘 몰랐던 사람들도 많이 알면 더 좋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서울에서 VOA 동예원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