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주요 20개국 G20 정상회의 참석차 한국을 찾은 각국 정상들간 양자회담이 11일 서울에서 잇따라 열렸습니다. 미국과 한국 두 정상은 이날 낮 청와대에서 만났습니다.
두 정상은 회담과 오찬에 이어 공동기자회견을 갖고 북한에대해 비핵화를 향한 진정성 담긴 태도 변화를 또 다시 촉구했습니다. 이명박 한국 대통령입니다.
“우리는 북한이 진정한 핵 포기 의지를 조속히 행동으로 보임으로써 북 핵 문제를 포괄적이고 근본적으로 해결해 나가자는 데 인식을 같이 했습니다.”
두 정상은 또 북한이 핵 문제와 관련해 약속했던 사항들을 지키고 비핵화를 향한 되돌릴 수 없는 방향으로 갈 경우 국제사회의 원조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며, 이는 장기적으로 북한 안보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오바마 대통령은 “북한이 자신의 책임을 다한다면 미국은 한국 등 국제사회와 함께 북한에 경제적 원조를 제공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남북관계와 관련해선 천안함 사태에 대한 북한의 책임 있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두 정상이 입을 모았습니다.
오바마 대통령은 정상회담에 앞서 이날 오전 용산미군기지를 방문해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하고 내부 안정과 국제적인 존경을 받을 수 있는 또 다른 길을 선택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또 미국의 재향군인의 날인 `베테랑스 데이’인 이날 연설에서 한국전쟁은 승리한 전쟁이었다고 말했습니다.
오바마 대통령은 “일부는 한국전쟁의 희생이 ‘무승부를 위한 죽음’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지만 번영과 민주주의, 그리고 희망에 찬 한국인들을 보면 그것은 그 때도 승리였고 지금도 승리”라고 말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또 중국의 후진타오 국가주석과도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후 주석은 이 자리에서 “중국은 남북관계 개선을 일관되게 지지하고 있다”고 강조하면서 “북한 지도자가 중국을 방문했을 때 남북관계 개선이 한반도 평화 안정에 중요하다고 말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 8월 말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중국을 방문했던 당시를 언급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 대통령은 이와 함께 “북한에 중국의 과거 발전 경험을 많이 이야기해주고 있는 것에 대해 감사하다”며 “북한이 중국에 대해 훌륭한 모델이 바로 옆에 있는 이웃이라고 생각하고 따라올 수 있도록 더 노력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한편 G20 서울 정상회의가 이날 저녁 국립박물관에서 환영리셉션과 함께 개막됐습니다. 환영리셉션에 이어 각 나라 정상들은 식사를 하며 회의를 하는 업무만찬을 가졌습니다.
이번 회의에선 2008년 발생한 세계 금융위기의 재발 방지 대책을 마무리하고 동시에 지속적이고 균형 있는 성장을 향한 새로운 국제경제 질서를 구축하는 밑그림을 ‘서울 선언’에 담을지 주목됩니다.
서울에서 미국의 소리 김환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