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신기욱 교수, “노무현 정부 계기로 한-미 동맹 성숙해져”


과거 미국과 한국의 동맹관계가 삐걱댄 것은 양국이 서로를 보는 시각차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어제 워싱턴의 한국문화원, 코러스 하우스에서 열린 스탠포드대학 신기욱 아시아태평양 연구소장의 발표를 최원기기자가 취재했습니다.

한국의 노무현 대통령 정부 시절 미-한 동맹이 불협화음을 낸 배경에는 양국의 구조적인 변화와 언론의 시각차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미 서부 스탠포드대학의 신기욱 아시아태평양연구소장은 어제(13일) 워싱턴 시내 한국문화원, 코러스 하우스에서 열린 강연에서 미-한 동맹 관계가 지난 10년 간 근본적으로 변했다고 말했습니다.

무엇보다 한국은 민주화를 이뤘습니다. 그 결과 한국 사회에서 보수파와 진보파가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습니다.

또 미국도 변했습니다. 미국과 소련 간의 냉전이 끝났으며 미국은 지난 2001년 9.11테러 이후 테러와의 전쟁을 겪고 있습니다.

신기욱 소장은 한국과 미국의 언론 보도를 통해 미-한 동맹의 변화를 분석했습니다. 신 소장은 지난 1992년부터 2003년까지 한국과 미국의 언론 보도를 분석한 결과 양국 간에는3가지 인식차가 존재한다고 말했습니다.

신기욱 소장에 따르면 미국은 기본적으로 미-한 동맹을 외교정책의 맥락에서 보고 있습니다. 또 워싱턴포스트나 뉴욕 타임스 신문 같은 미국의 언론은 한국의 경제와 북한 핵 문제에 1차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반면 한국은 미-한 동맹관계를 외교정책 보다 훨씬 큰 맥락에서 보고 있습니다. 한국은 미-한 동맹을 국가 정체성 차원에서 보고 있다는 것입니다. 또 한국 언론을 미국에 비해 미-한 동맹과 안보 그리고 북한 문제를 중시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신기욱 소장은 이 같은 시각차가 존재하는 것은 미국과 한국 간의 구조적인 불균형과 함께 양국 언론의 불균형에서 비롯된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 언론은 미국의 움직임에 큰 관심을 갖고 보도하지만, 미국 언론은 한국보다 영국, 러시아, 이스라엘 등에 보다 큰 관심을 보인다는 것입니다.

특히 신기욱 소장은 과거 노무현 정부 시절 미-한 동맹이 삐걱댄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양국 관계가 한층 성숙화되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습니다.

“어려운 시기가 있었지만 한-미 관계가 좋아지는 밑거름이 된 측면이 있다. 분명히 노무현 정부 초기에는 어려웠지만 결과적으로는 성숙된 한-미 관계로 간 측면이 있다.”

신기욱 소장은 한-미 동맹관계를 낙관했습니다. 미국의 오바마 행정부와 한국의 이명박 정부가 과거의 잘못을 거울 삼아 정책 협조를 긴밀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양국 관계 전망이 밝다는 것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