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청와대 박선규 대변인은 6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방중과 관련해 한-중 관계에 갈등이나 균열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박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과거에도 중국 정부는 사전에 (김정일 위원장의 방문을) 통보한 적이 없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박 대변인은 이어 “지난 달 30일 열린 한-중 정상회담 때 한국 정부의 입장을 중국 측에 충분히 전달했으며, 현재도 긴밀하게 양국 간 협의가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박 대변인은 또 천안함 사건이 해결되기 이전에 6자회담은 없다는 게 한국 정부의 확고한 방침이고, 미국도 이 같은 입장을 밝혔으며 미-한 간에 이견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한국 정부 고위 당국자도 5일 기자들과 만나 “중국이 사전에 통보해주면 좋겠지만 북-중 간에는 오랜 관행이 있지 않느냐”며 “한국에 미리 알리지 않은 것을 한-중 간 갈등으로 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습니다.
앞서 한국 정부는 김 위원장 방중 이후인 3일과 4일, 중국 정부가 김 위원장의 방중 계획을 사전에 통보하지 않은 데 대해 불편한 심기를 우회적으로 전달했습니다.
한국 정부의 이 같은 입장 변화는 천안함 문제에서 중국 정부의 협조가 필수적인 만큼, 중국과 갈등이 있는 것처럼 비쳐지는 것은 이롭지 않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됩니다.
한국 정부 당국자는 “천안함 문제 해결을 위해 국제 공조가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에서 중국과의 갈등은 한국 정부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천안함 사고와 북한의 6자회담 복귀에 대한 한국의 입장을 중국 측에 충분히 설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천안함 조사 결과가 나오는 대로 중국을 비롯한 관련국들에 결과를 설명하고 중국 정부가 미국과 한국의 대응 조치에 협조해줄 것을 요청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외교통상부 김영선 대변인은 6일 정례브리핑에서 ‘천안함 사건의 엄중함에 대해 중국을 비롯한 관련국 모두가 공통인식을 갖고 있다”며 “중국 정부도 한국 정부의 입장을 잘 이해하고 적절히 대응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천안함 침몰 사건의 엄중함에 대해서 모든 관련국들이 인식을 같이 하고 있고 또한 이런 엄중한 사건에 대한 원인 규명이 객관적이고, 과학적이고 그리고 투명하게 이루어져야 된다, 그리고 가능한 한 조속한 시기에 이루어져야 한다는 데에 대해서 이의를 갖고 있는 국가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의 조사 결과에 따라서 필요한 협력이나 공조가 필요할 경우에 중국과의 그런 협력 분위기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을 합니다. “
한국 정부는 특히 오는 15일부터 이틀간 서울에서 열리는 한-중-일 외교장관 회의와 한-중 외교장관 회담을 중국을 설득하는 장으로 활용한다는 방침입니다.
한국의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이번 회의 기간 중국 양제츠 외교부장과 일본 오카다 가쓰야 외상과 각각 별도의 회담을 갖고 천안함 사건과 6자회담 추진 방향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예정입니다.
김영선 대변인은 “이번 회의에서 한반도 관련 정세도 자연스럽게 논의될 것”이라며 “양자회담을 통해서도 충분한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미국의 소리 김은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