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국경없는기자회, 한국과 국제사회 대북방송 지원해야


‘북한: 검열의 한계 Frontiers of Censorship’ 보고서 표지

북한 정부의 정보 검열에도 불구하고 해외 대북 방송과 민간단체들의 노력으로 북한에서 외부 정보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고 국제 언론감시 단체가 밝혔습니다. 이 단체는 7년 만에 다시 발표한 북한의 언론환경 보고서에서 한국 정부가 민간 대북방송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김영권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프랑스 파리에 본부를 둔 국제언론감시 단체 ‘국경없는 기자회’가 10일 북한의 언론 환경을 조사한 새 보고서 ‘북한: 검열의 한계 Frontiers of Censorship’를 발표했습니다.

이 단체는 지난 7월 서울에서 다양한 조사를 실시한 결과 북한 정부의 정보 검열과 언론 통제는 7년 전 조사 결과와 같았다고 밝혔습니다. 북한 관영 언론은 김정일 선전선동의 나팔수 역할을 계속하고 있고 보도 내용과 형식에도 변화가 없다는 겁니다.

이 단체는 지난 2004년 보고서에서 북한의 전체주의 독재권력을 위해 일하는 언론인들을 소개하며 북한의 열악한 언론환경에 큰 우려를 나타냈었습니다.

‘국경없는 기자회’는 그러나 14쪽에 달하는 이번 보고서에서 외국의 대북방송과 정보 유입 활동을 통해 북한 내 정보 확산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보고서를 작성한 벤자민 이스마엘 아시아-태평양 지역 책임자는 10일 ‘미국의 소리’ 방송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북한은 더 이상 외부와 단절된 나라가 아니라고 지적했습니다.

한국에서 활동하는 민간 대북 방송들의 북한 내 정보 접근력이 높아지고 있고, 민간단체들의 DVD 와 USB 유입 활동은 더욱 활기를 띠고 있다는 겁니다.

이 단체는 북한 정부가 이런 비사회주의 바람을 막기 위해 북.중 국경지역의 밀무역 감시를 강화하고 장마당을 자주 단속하고 있지만 이를 차단할 여력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 당국의 검열에 한계가 나타나고 있다는 겁니다.

이 단체는 이런 배경을 볼 때 북한의 변화와 점진적 개방은 정권이 아닌 주민들이 주도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이스마엘 씨는 그러나 최근 북한의 3대 세습 강행으로 언론 자유가 더 탄압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북.중 국경지역의 집중 단속과 폭풍 군단 운용을 김정은이 직접 지시했다는 일부 보도는 김정은이 후계 체제 구축을 위해 언론과 표현의 자유를 더 한층 탄압할 가능성이 있음을 암시한다는 겁니다.

‘국경없는 기자회’는 그러나 이런 탄압에도 불구하고 북한 내 정보 유입활동은 계속 확산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그러면서 이런 활동을 돕기 위해 국제사회와 한국 정부가 대북 민간 단체들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권고했습니다.

이스마엘 아시아.태평양 담당 책임자는 특히 북한에서 외국 방송을 듣는 주민들의 숫자가 계속 늘고 있다며 한국 정부는 자유북한방송 등 민간 대북방송들에 대한 재정 지원과 중파(AM)방송 송출 시설을 제공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