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기획취재 2] 북한 학생과 교사들 외부 세계에 관심


북한 당국이 학생들의 영어교육을 갈수록 중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대학 과정에서 영어를 필수과목으로 지정하는가 하면, 인민학교에서는 영어 수업을 확대했는데요, 저희 `미국의 소리’ 방송은 두 차례에 걸쳐 북한의 영어교육 현황을 살펴보는 기획을 마련했습니다. 오늘은 두 번째 순서로 현지에서 가르친 경험이 있는 외국인들이 전하는 영어교육 실태에 대해 알아봅니다. 조은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평양의 인민대학습당에서 선생님의 목소리에 맞춰 학생들이 영어 문장을 소리 내어 읽고 있습니다.

2006년과 2008년 평양의 중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친 팀 컨즈 씨는 북한의 영어교육은 주로 무턱대고 외우는 암기 학습 형태로 이뤄지고 있었다고 전했습니다.

“Might be saying Sally and Sue went to the shop and repeat that 20, 30, 40 times…”

“샐리와 수가 상점에 갔습니다”와 같이 구태의연한 문장을 30~40번씩 소리 내어 크게 읽는다는 것입니다. 게다가 영어 교과서는 1950년대 표현법으로 보였고, 학생들은 암기하던 문장에서 벗어난 질문을 받으면 크게 당황했다고 컨즈 씨는 말했습니다.

컨즈 씨는 일반 학교가 아닌 수재들을 대상으로 한 평양 금성학원, 금성 제1 중학교에서는 영국 옥스퍼드 출판사의 교재를 바탕으로 교사들이 직접 영어 교재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었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나 이곳에서도 영어 수업은 기본적으로 문장을 여러 번 크게 소리 내어 읽고 암기하는 형태였으며, 문법에 치우친 경향이 보였다고 말했습니다.

영국문화원 소속으로 현재 평양에서 북한 교원들에게 영어를 가르치고 있는 앤드루 카트 씨도 비슷한 평가를 내렸습니다.

카트 씨는 평양에서 ‘미국의 소리’ 방송에 보낸 전자우편에서 “북한 대학에서는 일부 다른 나라들에서보다 영문법을 조금 더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며, “하지만 교원들 대부분은 영어 듣기와 읽기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현재 말하기 교육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지만, 글쓰기는 거의 다뤄지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녹음 테이프를 통해서만 영어를 접하던 학생들은 직접 원어민 교사로부터 받는 수업에 큰 관심과 열의를 보였습니다.

“Sometimes I felt like I was one of the Beatles turning up…”

컨즈 씨는 학생들이 매일 자신을 열렬히 환대해 수업 때면 마치 오랫동안 떨어진 친척이 상봉하는 것과 같았다며,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영어를 배우는 데 목말라했다고 말했습니다.

또 함께 근무하던 북한 교원들은 원어민들이 일상 언어에서 어떤 표현을 쓰는지, 북한 교과서의 어떤 표현이 시대에 뒤떨어졌는지 등에 큰 관심을 보였다고 컨즈 씨는 전했습니다. 이밖에 신용카드는 어떻게 쓰는지, 클럽 샌드위치가 무엇인지, 영국의 록그룹 오아시스의 ‘원더월’의 가사는 무슨 뜻인지 등 교원들이 외부세계에 대해 다양한 질문을 쏟아냈다고 전했습니다.

캐나다 트리니티 웨스턴 대학의 언어학과장을 지내며 2004년부터 비정기적으로 북한을 방문해 영어를 가르친 필 거젠 전 교수도 몇 년 전 학보에서 북한 교원들의 호기심을 언급했습니다.

북한 교원들은 기회 있을 때마다 캐나다 교사들에게 북미에서 실제로 쓰이는 영어 표현법에 대해 물었다는 겁니다. 가령 캐나다에서는 어떤 관용어구를 사용하는지, 또 화장실에 가고 싶을 때는 정말로 ‘자연이 불러요’ 라고 말하는지 등에 대해 질문했다고 거젠 전 교수는 전했습니다.

이밖에 정치, 교육, 종교 등에 대한 다양한 질문을 받았고 이에 대해 캐나다 교사단은 최대한 솔직하게 대답하려고 노력했다고 거젠 교수는 말했습니다.

현재 평양에서 근무하고 있는 앤드루 카트 씨는 영국문화원이 북한에서 사용하는 영어교재를 집필할 때 소재 선택에 주의를 기울인다고 말했습니다. 자신이 일반상식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다른 사람들에게는 생소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문화적 소재를 소개할 때 때때로 시간이 더 많이 걸릴 때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What’s really lacking is basic resources. To learn better at the very basic level, they would need…”

컨즈 씨는 북한에서 영어사전과 시청각 교육자료, 복사기 등 기본적인 물자가 부족한 점이 영어교육에 가장 큰 걸림돌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 학생들의 영어 실력을 향상시키려면 원어민들과의 접촉을 늘리고 그들의 말을 자료를 통해 자주 듣고, 최신 표현법을 담는 쪽으로 교과서를 개정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컨즈 씨는 수재들을 대상으로 하는 평양 금성학원, 금성 제1 중학교의 경우 자료가 부족하고 외부세계와의 접촉이 거의 없는데도 학생들의 영어 수준이 높아 매우 놀랐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고학년생들의 경우 자신이 굳이 쉬운 표현을 쓰지 않아도 영어로 대화가 가능했다고 전했습니다.

북한의 유일한 사립 국제대학인 평양과학기술대학(PUST)에서 교육받는 북한 학생들도 상당한 수준의 영어를 구사한다고 이 대학의 김필주 교수가 밝혔습니다.

김 교수는 평양과학기술대학에서는 학부생은 1년, 대학원 학생은 한 학기 동안 영어만 배운 뒤 영어로 진행되는 전공 수업을 듣는다고 말했습니다.

미국의 소리 방송이 마련한 북한의 영어교육에 대한 특집기획, 오늘 순서를 끝으로 모두 마칩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