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블링컨 장관 연이어 북한 인권 거론...전문가들 "트럼프 행정부 때와는 다를 것"


미·일 안보협의위원회(2+2) 회담을 위해 16일 일본 도쿄를 방문한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미·일 안보협의위원회(2+2) 회담을 위해 16일 일본 도쿄를 방문한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이 일본 방문 중에 북한의 인권 문제를 거론했습니다. 블링컨 장관의 연이은 북한 인권 발언은 인권을 외교의 중심에 놓겠다는 바이든 행정부의 방침을 반영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김영교 기자가 보도합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16일 일본 도쿄에서 미·일 안보협의위원회(2+2) 회담이 끝난 뒤 열린 기자회견에서 북한의 핵과 미사일 뿐 아니라 인권 문제도 언급했습니다.

[녹취: 블링컨 장관] “We have a shared determination to deal with the challenge posed by North Korea, particularly when it comes to its nuclear missile programs, as well, of course, as its abuse of human rights.”

미국과 일본은 북한이 제기하는 도전에 대처하겠다는 공동의 결의를 갖고 있으며, 특히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 뿐 아니라 북한의 인권 침해에 관해서도 그렇다는 겁니다.

블링컨 장관은 특히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문제를 거론하며, 이와 관련해 일본 정부와 매우 강력한 유대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블링컨 장관] “ And we stand in very strong solidarity with Japan when it comes to the abductees. Earlier today, I received a letter from the families. It was very powerful and very moving to read, and that too is very much present in our minds as we think about the challenge posed by North Korea.”

블링컨 장관은 이날 오전에 일본인 납북자 가족들의 서한을 받았다며, 내용이 매우 강력하고 감동적이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납북자 문제 역시 북한이 제기하는 도전 가운데 하나로 염두에 두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지난 10일 블링컨 장관은 2017년 이후 공석으로 남아 있는 국무부 북한인권특사의 필요성을 인정했습니다.

[녹취: 영 김 의원] “We will have someone that will be nominated and appointed to fill this position as quickly as possible too.”

[녹취: 블링컨 장관] “I feel strongly about it and agree with you.”

블링컨 장관은 하원 외교위원회 청문회에서 북한인권특사 임명이 북한 인권 증진에 핵심적이라며 공석을 메을 특사를 가능한 한 빨리 지명해 임명할 것이냐는 영 김 공화당 의원의 질문에 “강력히 동의한다”고 말한 겁니다.

영 김 미국 공화당 하원의원이 지난 10일 외교위원회 청문회에서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에게 질문하고 있다.
영 김 미국 공화당 하원의원이 지난 10일 외교위원회 청문회에서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에게 질문하고 있다.

앞서 국무부 대변인실 관계자는 VOA에 북한인권특사 직책을 직접 거론하면서 4년 만에 처음으로 재임명 가능성을 내비친 바 있습니다.

블링컨 장관은 미국이 3년 만에 복귀한 유엔 인권이사회에서도 북한의 인권 침해에 대한 관여 의지를 밝혔습니다.

[녹취: 블링컨 장관] “We encourage the council to support resolutions at this session, addressing issues of concern around the world, including ongoing human rights violations in Syria and North Korea.”

제네바에서 열린 제46차 유엔 인권이사회 고위급 회기 화상 연설에서 북한인권 결의안을 지지해 줄 것을 촉구한 겁니다.

미국은 이번 유엔 인권이사회에 제출된 북한인권 결의안 초안 공동 제안국으로 3년 만에 참여했습니다.

미국은 또 이번 인권이사회에서 악화되고 있는 북한의 인권 상황에 대한 깊은 우려를 거듭 표시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블링컨 장관의 연이은 북한 인권 관련 발언은 인권을 외교의 중심에 놓겠다는 바이든 행정부의 지침을 반영한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로버타 코헨 전 국무부 인권 담당 부차관보는 16일 VOA에 바이든 행정부가 북한 인권을 다루는 방식은 이전 트럼프 행정부 때와는 다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코헨 전 부차관보] “The Trump administration walked out of the Human Rights Council with the UN. The Biden administration is going to go back into the council… It will undertake multinational efforts. They want to work with other democracies, on many issues but to promote human rights in North Korea as well.”

바이든 행정부는 트럼프 행정부가 탈퇴한 유엔 인권이사회에 복귀했다는 겁니다.

코헨 전 부차관보는 특히 트럼프 행정부는 비핵화 협상이 시작되자 인권 문제를 포기했다며, 하지만 바이든 행정부는 인권이 북한과의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바이든 행정부가 북한 인권 증진을 포함한 많은 사안들에 대해 다른 민주주의 국가와 협력하는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로버트 킹 전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는 바이든 행정부가 인권을 국가들이 약속하는 원칙과 가치로서 본다고 말했습니다.

또 북한도 주민들을 인간적으로 대하고 그들의 권리를 인정하는 의무를 다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킹 전 특사] “The Biden administration see human rights as a principle as a value as a commitment that countries have made, and that North Korea has an obligation to treat citizens humanely and to recognize their rights.”

킹 전 특사는 바이든 행정부가 북한과 대화를 시작하게 되면, 오바마 행정부 때처럼 핵 등 안보 문제를 다루면서도 인권을 개선하려는 노력을 동시에 진행하면서 두 사안에 균형을 맞추려고 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VOA 뉴스 김영교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