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뉴스풍경] 한인 학자, 북한 주민 웃기는 코미디 필름 책 출간


조지 워싱턴대학 임마누엘 김 교수가 출판한 책의 표지 일부.
조지 워싱턴대학 임마누엘 김 교수가 출판한 책의 표지 일부.

매주 금요일 북한 관련 화제성 소식을 전해 드리는 ‘뉴스 풍경’입니다. 미국 학생들에게 북한문학을 가르치는 한국계 미국인 학자가 북한의 코미디 영화를 소개하는 책을 펴냈습니다. 장양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please wait

No media source currently available

0:00 0:11:04 0:00

지난해 4월, 워싱턴의 미 의회도서관에서 ‘나는 간첩을 염탐한다: 북한 코미디 영화의 불안과 익살’ 이란 제목의 강연이 열렸습니다.

소냐 리 미 의회도서관 한국관 수석사서의 기획으로 이뤄진 이 행사에서 리 사서는 청중에게 이런 말을 건냅니다.

[녹취: 소냐 리] “It’s a Sunny day but it’s raining. Something like that. So to me this was one..”

“만약에 햇살 쨍쨍한 날인데 동시에 비가 내린다면, 좀 이상합니다. 제게는 이런 일 중 하나였습니다.”

독재국가 북한에서 사는 주민들이 코미디 영화를 보며 웃는다는 말이 의아했고, 정말 그런지 궁금했다는 설명입니다.

리 사서는 자신과 같은 궁금증을 많은 사람들이 갖고 있을 것으로 생각해 행사를 기획했다고 말했습니다.

조지 워싱턴대학 임마누엘 김 교수는 2008년과 2015년 두 차례 북한을 방문해 북한의 백남룡 작가와 면담하고, 그의 대표작인 1988년작 소설 ‘벗’의 영문 번역본을 올 4월 출간했습니다.

김 교수의 의회도서관 강연은 최근 출간한 책 내용의 일부로, 북한 주민들을 웃게 하는 코미디에 대한 내용입니다.

김 교수가 북한 코디미 영화를 연구한 배경은 북한 코미디 영화 연구가 지금까지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녹취: 임마누엘 김]”‘꽃파는 처녀’ ‘피바다’ 등등 뭐 그렇게 되게 로맨틱한 영화들을 많이 다루거든요. 이런 게 다 ‘선전적이다, 역사를 찍는 거다. 식민지 시대를 그리고 6.25 전쟁을 그리고 또 당과 리더들을 잘 묘사하는 영화들이 있다’고 그렇게 결론을 내요. 그런데 그게 완벽한 그림이 아니죠. 왜냐하면 그 외에도 코미디 영화들이 얼마나 많은데 이게 사실은 굉장히 많아요. 왜 코미디 영화는 항상 뭐랄까 변두리로 떨어지나 그게 항상 의문이었어요.”

무엇보다 북한의 코미디 자체에 대한 분석과 함께 코미디 영화를 통해 북한 주민들이 웃는 이유와 관점은 무엇인지, 또 그들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했습니다.

지난 6월 출간된 김 교수의 책 ‘웃는 북한 사람들: 북한 코미디 영화들의 문화.’

140여쪽 분량의 이 책은 총 5장으로 구성됐고, 각 장마다 김 교수가 꼽은 북한의 코미디 영화 즉, 경희극과 북한 주민의 반응을 주 내용으로 다뤘습니다.

첫 장 ‘코미디언 코미디’에서는 다큐멘터리 영화가 아님에도 북한 코미디언들이 자신의 이름으로 등장하는 독특한 형식의 영화 ‘보람찬 생활’을 소개했습니다.

김 교수는 영화를 언급할 때 ‘배우 송강호의 기생충’으로 묘사하는 것처럼 북한 주민들도 영화를 인식할 때 배우를 먼저 떠올린다고 말합니다.

두 번째 장은 간첩을 소재로 한 코디미 영화인데, 누구를 봐도 의심부터 하고 보는 북한의 문화를 풍자한 내용이 주민들에게 웃음을 준다는 내용입니다.

김 교수는 북한에서는 1970년대부터 1980년대가 코미디 영화(경희극)의 황금기로 볼 수 있다며, 1970년대 영화 ‘우리집 문제’를 세 번째 장에서 다뤘습니다.

‘우리집 문제’에 대해 김 교수는 50대 이상 북한 사람이라면 100% 알 수 있는 대표적인 코디미 영화라고 설명했습니다.

`우리집 문제’는 북한의 희극배우 고 김세영 씨가 주연으로 등장하며 우체국장과 아내의 이야기를 소재로 다루는데 꾀병을 부리며 남편을 마음대로 주무르는 부부의 일상과 부부가 간부로서 비판 받는 내용을 담았습니다.

김 교수는 이 영화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좋아하지 않았으며 김 위원장의 지시에 따라 교육적인 내용이 강조됐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영화가 출시됐을때 다른 선전영화와 다르게 부패한 간부에 대한 처벌을 강하게 담지 않은 내용도 특이하다고 설명합니다.

[녹취:임마누엘 김]“우편국장이 회개를 하고 미안하다고 하고 다시 새 사람으로 살려고 노력을 하죠. 영화 끝에 그런데 우리집 문제는 그렇게 끝나지 잖아요.그냥 끝나버려 비판하고 그냥 끝나버려요. 더 중요한 인물은 아내에요. 아내가 인민반 회의에서 비판을 받았는데 보통 다른 영화들 같은 경우에는 와이프도 회개하고 미안하다고 그러고 그 다음에 자기 삶을 바꾸려는 그런 노력이 보여야 되거든요. 근데 영화에서는 그런 것을 안 보여줘요.”

‘교육적이면서 웃기고 가벼운 내용의 영화’라는 의미의 경희극인 ‘우리집 문제’는 지난 4월 의회도서관 강연에서도 여러 차례 언급됩니다.

이 작품의 후속작이 10편이 넘을 만큼 큰 인기를 누렸다는 김 교수의 말에 청중은 크게 웃었습니다.

후속작이 “우리집 문제, 우리 옆집 문제, 우리 아랫집 문제, 우리 처가집 문제, 다시 시작된 우리집 문제”라는 제목으로 나왔다며, 북한의 재치와 유머를 읽을 수 있다고 말합니다.

미 서부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 거주하는 평양 요리사 출신 50대 탈북 남성 박명남 씨는 ‘우리집 문제’를 여러 번 돌려볼 만큼 재밌던 영화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녹취:박명남] “실제 생활을 풍자하는 ‘우리집 문제’라고 있어요 대표적인 게, 시리즈로 10여편 넘게 나왔는데, 간부들과 가족들의 부패한 생활을 풍자한 건데 굉장히 웃기고 사람들한테, 또 정치적인 내용이 없으니까 코미디에는. 그러니까 밤낮 정치물만 보다가 사람들이 스트레스를 풀고 웃고 그랬던 기억이 있고요 70-80년대 최고였어요. 김세영 씨라고 6.25때 월북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굉장히 잘했어요.”

김 교수는 `우리집 문제’에 주연으로 등장하는 배우 김세영 씨에 대해 한국의 이주일, 미국의 찰리 채플린과 같았다며 국민 코디미언으로 설명했습니다.

한국의 이주일 씨는 1980년대 큰 인기를 누렸던 코미디언입니다.

1889년 영국에서 태어난 찰리 채플린은 희극배우의 대명사로 미국에서의 활동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습니다.

김 교수는 채플린이 북한에서도 유명했다면서, 그 이유를 들여다 보면 북한 주민이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말합니다.

[녹취: 임마누엘 김] “거지처럼 하고 다니면서 그의 우위에 있는 주인이든지 무슨 지배인이든지 항상 놀리고 망신시키고 그렇게 하잖아요. 북한에서는 그 이유 때문”

영화 속에서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을 바보로 만들고 놀려먹는 등장인물을 북한 주민들이 선호했다는 점은 시사성이 큰데요, 김 교수는 코디미의 본질은 같다고 말합니다.

[녹취: 임마누엘 김] “일단은 코미디라는 장르는 항상 뭐를 비판하거든요. 뭔가를 좀 비꼬으면서 말을 하고 비꼬으면서 놀리고, 그게 코미디의 본질 아니겠어요? 그런 코미디를 보면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서 다를 수가 있는데, 당을 비판하든지 뭐 리더들을 비판하든지 사회를 비판하는 그런 장면들이 많이 나오거든요..”

김 교수는 이 책은 결국 북한 주민이 웃는 부분과 서구인들이 웃는 부분 즉, 웃음코드가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오히려 문화나 세대 차이가 웃음코드의 차이를 만들어 내는 것 같다는 설명입니다. 20대 학생들은 `우리집 문제’를 보고 전혀 웃지 않았지만 미국에서 태어난 한인2세인 자신과 아버지는 많이 웃었다는 겁니다.

그러나 북한의 코미디에서 확연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면서 당과 국가원수에 대한 비판이 전혀 없는 점, 그리고 관객을 웃기려고 말과 행동으로 상대 배우를 직접적으로 비하하지 않는 다는 점입니다.

김 교수는 교육적인 면을 강조하지 않았던 1950년대 이후 코미디가 1970년대 경희극 시대로 바뀌면서 북한 코디미의 소재가 달라지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일본과 미국을 비판하는 내용이 많았지만 지금은 다양한 주제가 들어간다는 겁니다.

그밖에도 김 교수는 이 책에서 북한 주민의 놀이문화로 유원지가 배경이 된 코디미 영화, 남녀 간의 사랑을 주제로 한 ‘사랑과 결혼’도 소개합니다.
이 영화는 서방에서 처럼 영화 속 주인공의 패션 등이 ‘유행’을 만들어내는 점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북한 주민들이 웃고 즐기는 북한 코디미 영화와 그에 대한 영향을 연구한 책, `웃는 북한 사람들: 북한 코미디 영화들의 문화’는 북한 주민의 일상과 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김 교 수는 말합니다.

[녹취: 임마누엘 김]”북한에서도 이렇게 시민들이 그동안 웃고 살았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영화가 재밌었고, 영화배우들이 엄청난 인기를 얻고 끌었기 때문에 그런 우리가 그동안 잘 알지 못하는 문화가 존재하고 있었다. 북한이 좋다, 정치가 지금 올바르게 진행하고 있다. 전혀 그거에 옹호하지는 않아요. 하지만 다들 고달픈 인생을 살아온 것은 물론 고달프고 충격적이지만 반면으로 웃고 산 적도 만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은거죠.”

이 책은 미 의회도서관 한국관의 자료로 보관되는데요, 소냐 리 사서에 따르면 의회도서관이 북한 관련 자료를 모으기 시작한 1950년대 이후 북한의 코미디 영화에 대한 자료는 그동안 없었습니다.

또 최근 몇 년 새 북한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이 늘면서 연구 대상이 북한 주민들의 일상으로까지 확대되고 있습니다.

리 사서는 이런 배경에서 김 교수의 의회도서관 강의는 이전의 다른 강의와 비교할 수 없게 큰 관심을 받았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소냐 리] ”북한 학자들의 이런 연구는 그들이 생각하는 것 보다 무게가 훨씬 큽니다. 그런 점에서 매우 감사하게 여기고 있어요.”

VOA뉴스 장양희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