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김정은, 공포정치 계승’


김정일에서 김정은으로의 권력 세습 이후에도 북한 정권의 주민 통제와 공포정치는 계속되고 있다고 서방 세계와 러시아의 주요 언론들이 보도했습니다. 이들 매체들은 특히 탈북자들이 탄압의 표적이 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김영권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미국의 ‘로스앤젤레스타임스’ 신문은 북한에 새 지도자가 권좌에 올랐지만 주민들의 탈북에 대한 단속이 강화되는 등 인권 유린은 계속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정권의 후계자인 김정은이 탈북자는 무조건 사살하라는 명령을 내렸다는 겁니다.

북한 당국은 주민들의 탈북이 김정은의 권력을 흔들 수 있다는 두려움 때문에 강력한 단속을 펼치고 있다고 이 신문은 전했습니다.

러시아의 영자신문인 ‘RT’는 김정은이 꼼꼼할지 모르지만 겉으로 보이는 것처럼 인정이 많은 것 같지는 않다며, 한국 언론과 소식통들에 따르면 김정은은 탈북자들에 대한 사살을 명령하는 등 주민 탄압을 계속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앞서 일본의 ‘산케이’ 신문은 소식통을 인용해 김정은이 아버지의 사망 이후 탈북자를 절대 놓치지 말라며 발포와 사살을 허가했다고 전했습니다.

이 신문은 김정은이 이미 후계자로 공식 발표된 2010년부터 ‘폭풍군단’으로 알려진 조선인민군 내무군을 통해 보안 기관들에 대한 감독과 통제를 강화해 왔다고 전했습니다.

프랑스의 ‘르 피가로’ 신문은 김정은이 탈북 문제를 정치적 도전으로 보고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 신문은 한국 매체들을 인용해 두만강 유역에 지뢰가 설치되고 탈북자들이 국경수비대에 사살되는 사태가 발생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영국의 ‘텔레그레프’ 신문 역시 탈북자들과 중국의 손전화기를 사용하는 국경지역 주민들에 대한 단속이 강화됐다고 전했습니다.

‘텔레그레프’는 특히 북한 뿐아니라 중국 당국도 탈북자 단속을 강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중국이 새 북한 정권과의 유대를 강화하기 위해 최대 5만 명으로 추산되는 자국 내 탈북자들을 체포해 강제북송할 우려가 있다는 겁니다.

이런 가운데 호주의 ‘시드니 모닝 헤럴드’ 신문은 7일 북-중 국경 지역의 분위기가 평상시보다 훨씬 조용하다고 전했습니다.

이 신문은 두만강 현지 취재를 통해 대북 지원물품 전달은 통관에서 지연되고 있고 관광객들에 대한 중국 당국의 통제도 엄격해졌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탈북자들이 자주 이용하는 통로마다 중국 공안들이 검문소를 설치하고 도시로 들어가는 차량들을 검문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런 분위기는 모두 북한 지도자의 교체에 따른 후속 조치란 겁니다.

이 신문은 김정일 사망 이후 관리들이 상부의 눈치를 보며 몸을 사리고 있기 때문에 국경 지역도 더 경직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습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