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탈북자들, “중국 강제북송 중단 압박해야”


북한자유주간 행사 현장
북한자유주간 행사 현장

북한자유주간 행사 닷새째를 맞아 오늘 서울에서는 중국 정부의 탈북자 강제북송 문제가 집중적으로 논의됐습니다. 한국 내 탈북자들은 중국 정부가 탈북자를 난민으로 인정하고 강제북송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이들은 또 국제사회가 지속적으로 중국 정부를 압박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서울에서 김은지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한국 내 탈북자들과 대북 인권단체들은 29일 북한자유주간 행사의 일환으로 중국 정부의 탈북자 강제북송 문제를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상하이 주재 한국영사관을 거쳐 한국에 온 한철 씨는 북한전략센터가 주최한 ‘북한인권 간담회’에서 “현재 중국에는 수 십만 명에 달하는 탈북자들이 있으며, 이들은 강제북송 되면 정치범 수용소로 끌려가 죽음을 당한다”며 “중국 정부는 비인도적인 처사인 강제북송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한 씨는 한국 정부의 소극적인 탈북자 입국 정책도 지적했습니다. 한 씨는 “당시 영사관에 있던 수십 명의 탈북자들이 한국으로 조속히 보내달라고 요청했지만 무조건 기다리라는 답변만 했다”며 “1년에서 길게는 2년 동안 기다리던 이들도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한 씨는 또 “한국영사관 직원들이 도와달라며 진입하는 탈북자들을 강제로 끌어내 대기 중이던 중국 공안들이 잡아가는 장면을 두 차례나 목격했다”며 “탈북자를 보호해야 할 한국 정부가 자국민을 문전박대 하는 게 말이 되느냐”며 강하게 비난했습니다.

“쇠창살이 있는 데서 가끔 밖을 내다보면 진입하자고 기회를 노리다가 아쉽게도 중국 공안에 잡혀서 한 명 두 명 잡혀가고 어떨 때는 무리로 잡혀가는 거 저희들이 몇 번 목격했습니다. 정말 끔찍합니다. 어쨌든 공관 사람들이겠죠. 그 분들이 한사코 내다 막습니다. 막아서 바깥으로 내다 버립니다. 막 밀어 버립니다. 그럼 그 사이 네 군데 있던 중국 경찰들이 재깍 와서 잡아갑니다. 잡아가면 예외 없이 강제북송 되고요.”

한 씨는 이어 “언제 북송될 지 몰라 불안에 떨고 있는 탈북자들은 한국 행만이 유일한 희망”이라며 “탈북자들이 하루빨리 한국으로 올 수 있도록 한국 정부가 적극 나서달라”고 요청했습니다.

탈북자들의 한국 행을 돕는 북한정의연대의 정베드로 대표는 “중국 내 탈북자를 보호해야 할 책임이 있는 한국 정부와 유엔난민최고대표사무소(UNHCR)의 미온적인 태도로 중국 내 많은 탈북자들이 강제북송의 위험에 처해있다”고 말했습니다.

정 대표는 이어 “중국 정부는 유엔난민협약의 당사국으로서 조약을 준수할 의무가 있다”며 “망명을 희망하는 탈북자들의 UNHCR 접근도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정 대표는 또 “민간단체와 국제기구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문제 제기를 통해 중국 정부를 압박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이날 토론회에는 강제북송된 탈북자들이 북한에서 겪은 인권 유린 실태도 공개됐습니다.

중국에서 강제북송 된 뒤 23호 관리소로 끌려간 김경주 씨는 “여성들의 경우 관리소 간부들이 한국 가요를 부르라고 시키거나, 잘 부르지 못하면 손과 다리로 시각을 표시하는 이른바 ‘시계기합’을 받기도 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5분 안에 밥을 먹지 못하면 음식을 화장실에 버리거나 허겁지겁 밥을 먹거나 논바닥에 떨어진 배추뿌리를 먹다가 걸려 매를 맞기도 한다”고 말했습니다.

“잘못하면 벌로 여성들은 10시10분이면 팔과 다리를 벌려 시간을 표시하는 벌을 받습니다. 잘못할 경우 손을 쓰지 않고 몽둥이나 구둣발로 때립니다. 무릎 꿇은 상태에서 아침 5시부터 밤 10시까지 밥 먹는 시간을 제외하곤 앉아있습니다. 5분 안에 밥을 못 먹으면 화장실에 다 버립니다.”

2002년 돈을 벌러 중국에 갔다가 강제북송된 박선영 씨는 “통 강냉이 30알이랑 무 몇 조각이 한끼 식사의 전부였다”며 “신발도 없어 죽은 사람이 신던 신발을 훔쳐 신기도 했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2000년 베이징 한국대사관 담장을 넘다 중국 공안에 붙잡힌 김철영 씨는 함경남도 오로교화소로 끌려가 “죽은 염소 창자를 씻기 위해 받은 소금과 된장을 몰래 먹다 몽둥이로 머리를 얻어 맞아 시력을 잃었다”고 증언했습니다

이와 함께 북한에 의해 납치된 8만4천 명의 피해자 이름을 호명하는 행사도 열렸습니다.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 등 5개 대북 인권단체는 "수 십 년 간 부르지 못했던 이름을 기억함으로써 그들의 인권을 반드시 지키겠다는 의미”라며 “호명된 이름이 북한까지 전달돼 가족 품에 다시 돌아올 수 있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다음 달 1일까지 2박3일 간 열리는 이 행사는 외국인 납치자, 국군포로, 한국전쟁 납북자 순으로 호명할 계획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