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은 26일 천안함 사태를 북한의 용납할 수 없는 도발로 규정하고, 한국 정부가 밝힌 대응 조치들을 전적으로 지지한다고 밝혔습니다.
클린턴 장관은 “천안함 사태는 용납할 수 없는 북한의 도발”이라며 “이명박 대통령이 제시한 대응 조치들은 적절한 것으로 미국은 이를 전적으로 지지한다”고 말했습니다.
클린턴 장관은 이날 오후 서울 외교통상부 청사에서 한국의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과 가진 공동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밝히고, “국제사회는 이번 사태에 대응할 책임과 의무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클린턴 장관은 “한국이 주도한 천안함 사태의 조사 결과는 과학적이고 객관적이었으며 증거는 압도적인 것으로 부인할 수 없는 것”이었다고 평가했습니다.
클린턴 장관은 특히 “북한의 호전성과 도발 행위에 눈을 감아서는 안 된다”며 “미국은 북한과 북한 지도자들에게 책임을 묻기 위해 추가적 대응 조치들과 권한을 검토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북한에 대해선 “도발 행위와 이웃나라에 대한 호전 행위를 중단하고 비핵화 약속을 이행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클린턴 장관은 이와 함께 “일본과 중국 지도자들과 협의했으며 유엔 안보리를 통한 조치도 함께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혀 유엔 안보리 회부 절차에 착수할 뜻을 분명히 했습니다.
클린턴 장관은 유엔 안보리 회부 등 대응 조치에 대한 중국의입장에 대해서도 언급했습니다.
클린턴 장관은 “중국도 이번 문제의 심각성을 이해하고 있고 한국과 미국의 우려사항에 귀 기울일 준비가 돼 있다고 믿는다”며 “앞으로 중국과 협의하고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클린턴 장관은 또 “이명박 대통령이 천안함 사건의 접근 방향으로 첫 번째 국제사회를 통해 적절히 대응해야 하고, 두번째로는 긴장 고조를 예방하고 더 큰 갈등으로 나가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며 “이는 옳은 접근방법”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천안함 사태와 북한 비핵화 문제의 상관관계에 대해선 두 가지를 병행 추진하는 이른바 투 트랙 방식을 제시했습니다.
클린턴 장관은“천안함 침몰이라는 즉각적 위기에 대한 강하고 계산된 대응책과 함께 좀 더 장기적으로 북한의 방향을 전환하는 대응책도 필요하며, 한반도 비핵화라는 결과를 이끌어내기 위해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유명환 장관도 기자회견에서 천안함 사태에 대한 후속 조치와 관련해 “한-미 두 나라는 한 치의 불일치도 없이 긴밀히 협력해 나가고 있으며 앞으로 북한의 반응 여하에 따라 여러 가지 추가적인 조치가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해 두 나라 간 양자 차원의 대북 압박이 더 강해질 수 있음을 내비쳤습니다.
유 장관은 천안함 사태가 북한의 비핵화 조치의 필요성을 더욱 부각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북한이 6자회담에 돌아오는 것 자체가 목적이 아니고 북한이 진실한 비핵화의 의지를 갖고 6자회담에 돌아와서 비핵화를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며,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이번 천안함 사태가 북한의 비핵화 조치가 더욱 더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는 그런 계기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유 장관은 또“유엔 안보리 회부에 있어서 제일 중요한 것은 객관적인 사실”이라며 “중국과 러시아도 시간이 걸리겠지만 사실은 외면할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은 25일 오후 이명박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어 천안함 사태와 관련해 “한반도 평화와 안전을 보장하면서 북한에 제대로 된 신호를 주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은혜 청와대 대변인에 따르면 메드베데프 대통령은 “이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에서 밝힌 유엔 안보리 회부 문제를 포함한 대북 대응책을 잘 이해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메드베데프 대통령은 이어 “한국 측과 긴밀하게 협력해 나갈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메드베데프 대통령의 이 같은 언급은 한국 정부에 대한 협력 의지를 보이면서도 유엔 안보리 회부 등의 구체적인 대응 방안에 대해선 아직 유보적 입장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됩니다.
서울에서 미국의 소리 김환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