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스티븐 보즈워스 전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23일 뉴욕의 민간단체인 아시아 소사이어티 토론회에서 북한 내 권력 이양과 대화 전망 등에 대한 견해를 밝혔습니다.
`AFP통신’ 에 따르면 보즈워스 전 대표는 `북한의 정치적 변화가 대화에 미치는 영향’이란 주제로 열린 이날 토론회에서 김정일 위원장 사후 셋째 아들인 김정은이 권력을 완전히 장악했을 가능성에 대해 의구심을 나타냈습니다.
북한 정권은 흔히 생각하는 것보다 더 집단적인 체제이며, 자신은 정권 지도자들이 아직 검증되지 않은 20대의 젊은 김정은에게 의사결정권을 부여할 것으로 보지 않는다는 주장입니다.
보즈워스 전 대표는 이어 “북한이 집단적 자살 행위를 할 것으로 믿지 않는다”며 “고위 군 장성이나 당 간부들이 김정은에게 김정일 위원장이 가졌던 수준의 권력을 부여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보즈워스 전 대표는 “북한 정권의 지도자들은 왕국의 얼굴로 김정은을 필요로 한다”며 김정은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을 `명목상의 지도자’로 표현했습니다.
보즈워스 전 대표는 또 북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안은 외교 뿐이라면서도 북한이 올해 대화에 나설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한편 보즈워스 전 대표는 북한을 사이비 종교집단에 비유하면서 자신은 늘 북한을 ‘정치단체라기 보다는 종교집단에 가깝다고 생각해 왔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보통의 북한 주민들은 두 살 때부터 주체사상을 공부하고 지도자를 존경하면서 자란다”고 말했습니다.
보즈워스 대표는 이어 북한 주민들이 자신들의 생활과 이웃나라 국민들과의 생활수준 사이에 차이가 있다는 데 대해 더 잘 알고 있다는 증거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보즈워스 전 특별대표는 지난 해 10월 말 사임하기까지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을 관장하면서 북한과의 협상에 여러 차례 참여했던 한반도 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소리 윤국한 입니다.
미국의 스티븐 보즈워스 전 대북정책 특별대표는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이후 북한이 집단지도체제 형태로 운영되고 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보즈워스 전 대표는 또 북한이 올해 외부와의 대화에 나설 가능성이 낮다고 밝혔습니다. 윤국한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