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과 건강에 문주원입니다.
가임기 여성이라면은 한번쯤은 아이를 자연 분만할지 제왕절개로 나을지 고민해 보셨을 겁니다. 자연 분만과 제왕 절개, 물론 산모의 선택이 아닌 의료적 필요에 의해서 선택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요, 요즘에는 여러 가지 이유를 들어서 자연 분만과 제왕 절개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호하는 임산부들이 늘고 있다고 합니다. 제왕 절개로 태어난 아기가 머리가 좋다든지, 자연 분만을 해야 산모 몸에 좋다 또, 제왕 절개로 태어난 아기가 음식 알레르기를 일으킬 확률이 높다든지, 여러 가지 의학적, 전통적 설들이 많습니다.
한국의 제왕절개 수술 비율은 세계에서 수위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데요, 그래서 최근 한국의 보건 복지부를 비롯해 한 천주교 교구는 자연 분만으로 아기를 낳을 경우 진료비를 일부 지원해 주는 등, 자연 분만을 장려하는 움직임도 일고 있습니다.
생활과 건강 이 시간에는 자연 분만과 제왕절개의 차이점과 올바른 산후 조리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도움 말씀에 한국 천안의 연세 앙주로 산부인과 김시영 원장님입니다.
*******************************
1분 건강 상식
오늘 1분 건강 상식으로는 오늘 주제인 출산에 맞게 임산부에게 좋은 음식과 금해야 할 음식들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임신 초기 3개월 까지는 입덧이 생기고 입맛을 잃기가 쉽습니다. 과일과 야채를 중심으로 조금씩 자주 먹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우유와 요구르트 역시 한잔 이상식 마시는 거 잊지 마시구요.
4개월 부터 6개월까지는 식욕이 왕성해 지는 시기이기 때문에 체중조절에 신경을 쓰면서 철분과 칼슘, 단백질이 많이 든 생선과 붉은 살코기, 생선, 달걀, 콩제품, 우유, 녹황색 채소를 충분히 섭취하셔야 합니다. 임신 6개월 이후에는 태아의 발육이 활발한 시기 이므로 더욱 신경을 써야 하는데요, 단백질과 칼슘을 중심으로 식물성 지방을 섭취하는게 중요하구요, 태아의 뇌 구성에 도움이 되는 콩 단백질을 많이 드셔야 합니다. 끝으로 피해야 될 음식으로는 물론 커피, 초콜릿같이 카페인이 든 음식과 술이 대표적이구요, 전통 한방에서는 알로에와 녹두, 붉은 팥, 복어, 생강, 흰 설탕을 피하라고 권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