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는 북한이 원할 경우 북한에 대한 식량 지원 재개를 고려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국무부는 또 북한과의 양자대화 가능성은 계속 열려있지만, 북한의 6자회담 복귀가 전제조건이라고 다시 한번 확인했습니다. 보도에 김근삼 기자입니다.
미국 국무부의 필립 크롤리 공보 담당 차관보는 23일 정례브리핑에서 대북 식량 지원 재개에 관한 입장을 밝혔습니다.
크롤리 차관보는 미국이 과거 세계식량계획, WFP를 통해 북한에 식량을 지원했지만 북한 당국의 결정으로 중단됐다며, 북한에 지원이 필요하고 북한이 미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지원을 원한다면, 지원 재개를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크롤리 대변인은 이어 식량 지원이 재개된다면 과거와 마찬 가지로, 가장 필요한 주민에게 전달되고 군대 등으로 전용되지 않도록 확인하는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크롤리 차관보는 미국이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재개해야 한다는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한 질문에 이같이 답했습니다.
카터 전 대통령은 23일 서울에서, 미국 정부가 북 핵 문제 해결을 위해 6자회담 외에 북한과의 직접 대화에도 나설 것을 촉구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크롤리 차관보는 미국은 북한과의 대화 가능성을 계속 열어놓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크롤리 차관보는 정례브리핑에서, 미국은 북한과 폭넓은 양자대화의 가능성을 계속 열어놓고 있다면서, 하지만 북한의6자회담 복귀가 전제조건이라고 말했습니다.
크롤리 차관보는 북한 핵은 미국만의 문제가 아니며 국제사회와 지역 차원의 문제라면서, 북한이 6자회담에 복귀하고 앞서 약속한 비핵화 의무를 이행한다면 양자대화의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국의 소리, 김근삼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