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오늘(4일) 한국 정부가 금강산과 개성 관광을 계속 가로막을 경우 관광사업 관련 합의와 계약들을 모두 파기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최근 남북 간 실무 접촉에서 자신들이 밝힌 대로 개성은 이 달, 그리고 금강산은 다음 달부터 관광할 수 있도록 개방하겠다고 일방적으로 통보했습니다.
북한의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는 4일 한국 당국이 금강산과 개성 관광을 가로막고 있다면서, 이런 조치가 계속되면 관광사업과 관련한 모든 합의와 계약을 파기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북한 관영매체인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아태평화위 대변인은 담화를 통해 "남조선 당국이 생트집을 부리며 관광 길을 계속 가로막는 경우 부득불 특단의 조치를 취하지 않을 수 없게 될 것"이라며 "특단의 조치에는 남측에 특혜로 주었던 관광사업과 관련한 모든 합의와 계약의 파기, 관광지역 내 남측 부동산 동결 등의 문제들이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담화는 또 "국내외에서 이들 지역의 관광 요청이 증대되고 있는 조건에서 세계적인 관광 명승지들을 방치해 둘 수 없다"며 "이미 천명한대로 3월부터 개성지구 관광, 4월부터는 금강산 관광의 문을 열어놓을 것이며 관광을 오는 남녘 동포들의 편의와 신변안전은 완벽히 보장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에 대해 한국 정부는 관광객 신변안전 문제가 해결된 이후 관광을 재개한다는 입장에 변화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한국 통일부의 이종주 부대변인입니다.
"남북 간의 모든 현안 문제는 대화와 협력을 통해 해결돼야 합니다. 금강산, 개성 관광 문제는 우리 국민의 신변안전과 직결된 사안인 만큼 신변안전이 해결된 이후에 재개해야 한다는 정부 입장엔 변함이 없습니다."
금강산 관광은 지난 2008년 7월 북한 군 초병에 의한 한국인 관광객 피격 사망 사건 이후 중단됐으며, 개성관광은 같은 해 12월 북한의 결정으로 중단됐었습니다.
북한은 이후 지난 해 8월 현대아산과 두 관광사업을 재개하는 데 합의했지만 한국 정부는 관광객 피격 사건 진상규명과 재발방지책 마련, 신변안전 보장 제도화 등 3대 조건이 우선 해결돼야 관광을 재개할 수 있다는 입장을 고수해 왔습니다.
남북한은 지난 달 8일 개성 남북경제협력협의사무소에서 금강산, 개성 관광 관련 실무회담을 열고 관광 재개 문제를 논의했지만 합의에 실패했습니다.
당시 북한은 개성관광은 3월1일부터, 금강산 관광은 4월1일부터 재개하자는 내용이 담긴 실무 접촉 합의서안까지 제시했었습니다. 하지만 한국 측은 기존의 3대 조건이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