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한국, 실질적인 태도 지켜본 뒤 북한의 위협에 대응할 것


한국 정부가 북한 국방위원회의 ‘보복 성전’ 위협에 대해 실질적인 북한의 태도를 지켜본 뒤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런 가운데 한국과 일본 외무장관은 16일 북한의 비핵화에 진전이 없는 한 제재를 해제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관한 자세한 소식입니다.

한국 정부가 북한 국방위원회의 위협에 대해 실질적인 태도를 지켜본 뒤 대응기조를 정하기로 했습니다.

한국의 ‘연합뉴스’는 16일 정부 당국자의 말을 인용해 북한의 성명이 위협이 그칠지, 어떤 행동으로 이어질지 정부가 주시하고 있으며, 차분하게 대응하는 것이 정부의 입장이라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이 당국자는 오는 19일 개성에서 열릴 예정인 남북 해외공단사찰 합동 평가회의에서 북한의 태도나 입장이 명확히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북한 국방위원회는 앞서 15일 한국 정부가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비한 일부 행정계획을 재정비했다는 일부 한국 언론들의 보도를 지적하며 거족적 보복 성전이 개시될 것이라고 위협했습니다.

국방위원회 대변인은 이날 성명을 통해 한국의 대북 비상계획은 반공화국 체제 전복 계획이라며 통일부와 국정원을 즉각 해체하라고 주장했습니다.

한국의 일부 언론들은 앞서 한국 정부가 북한의 급변사태 유형을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급작스런 사망 등 사고형과 군부 쿠데타형, 주민 저항형 등 몇 가지로 나눠 급변사태에 대비토록 하는 계획을 재정비했다고 전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그러나 15일 확인되지 않은 일부 언론보도를 근거로 북한 국방위원회가 위협적인 언동을 한 데 대해 심히 유감스럽다고 밝혔습니다.

정부 당국자는 그러나 16일 북한이 제의한 금강산. 개성관광 실무접촉 내용을 계속 검토하고, 강냉이(옥수수)를 인도적 차원에서 북한에 지원하겠다는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북한 정부는 국방위원회의 위협 성명을 나라 밖으로만 보도할 뿐 북한 주민들에게는 알리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해외로 보내는 ‘조선중앙통신’과 대남방송인 ‘평양방송’을 통해서만 위협을 밝혔을 뿐 국내 모든 언론은 잠잠하다는 것입니다.

이에 대해 한국 언론은 북한의 급변사태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안위 등 체제문제와 직결돼 있기 때문에 주민들에게 알리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습니다.

한편 한국과 일본 외교 수장들이 16일 도쿄에서 만나 북한 정부가 요구한 대북 재제해제와 평화협정 등에 대한 대응책을 논의했습니다.

한국의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과 오카다 가쓰야 일본 외상은 이날 회담에서 북한 정부가 요구하는 제재 해제는 북한의 비핵화에 진전이 이뤄져야 유엔안전보장이사회가 검토할 수 있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고 두 나라 정부가 밝혔습니다.

김영선 한국 외교부 대변인의 말입니다. “한일 외교장관은 6자회담이 조속히 재개돼서 북한의 비핵화가 실현되도록 외교노력을 지속해 나가기로 합의했습니다.”

일본 외무성 관리는 두 장관이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을 결코 용인할 수 없다는 데 뜻을 같이하며, 6자회담이 재개돼 구체적인 비핵화 진전이 이뤄지지 않는 한 제재를 즉각 해제하는 어떤 계획도 받아들이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습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