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유엔, ‘북한 인구 2천4백만 명’


지난 해 북한에서 실시된 인구조사 결과 북한의 인구는 총 2천 4백만 명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 중 남성은 1천 1백 70여만 명, 여성은 1천 2백 30만 명이었고, 북한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은 평안남도, 가장 적은 지역은 량강도로 조사됐습니다. 이진희 기자와 자세한 소식을 살펴보겠습니다.

문) 이진희 기자. 지난 해 유엔인구기금의 지원으로 북한에서 실시된 인구조사 결과가 거의 1년 만에 나왔군요?

답) 최종 결과는 아니고, 예비결과입니다. 저희 `미국의 소리’ 방송이 자료를 입수했는데요, 최종 결과는 다음 달 중순께 공개 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북한 내 인구조사는 지난 해 10월 1일부터 15일까지 실시됐습니다. 북한에서 마지막으로 인구조사가 시행된 것이 1993년이니까 16년 만의 일이죠. 유엔인구기금 UNFPA이 기술적, 재정적 지원을 하고 조사는 북한 당국이 직접 담당했습니다.

문) 인구조사 예비결과가 어떻게 나왔습니까.

답) 이번 예비결과는 북한의 총 인구 수와 지역별 인구, 성별 인구 수만 공개됐습니다. 우선, 평양을 포함한 북한 10개 도에 거주하는 북한 민간인과 군인을 합한 총 인구 수는 2천 4백만 여명 (24,051,218)으로 집계됐습니다. 이 중 남성은 약 1천1백 70만 명 (11,722,403), 여성은 1천 2백 30만 명 (12,328,815) 여성 인구가 조금 많습니다.

문) 북한 내 지역별로는 인구 분포가 어떻습니까?

답) 북한에서 인구가 가장 밀집된 지역은 평안남도로, 4백 만 여명 (4,051,706) 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으며, 가구 수도 1백만 (1,027,913)이 넘습니다. 평안남도에 이어 3백 25만 명 (3,255,388)이 거주하는 평양이 두 번 째, 3백만 명 (3,066,141) 명이 거주하는 함경남도가 세 번째로 북한에서 인구가 많은 지역으로 조사됐습니다.

인구 수가 가장 적은 지역은 량강도로, 약 72만 명 (717,677)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으며, 가구 수도 18만 (182,137)을 약간 넘었습니다.

문) 다른 지역은 어떻습니까?

답) 평안북도는 270만 명 (2,728,617), 자강도는 1백30만 명 (1,299,982), 황해남도는 2백30만 명 (2,310,462), 황해북도는 2백10만 명 (2,113,693), 강원도는 1백 48만 명 (1,477,793), 함경북도는 2백30만 명 (2,327,386) 이 거주합니다. 한 가지 눈에 띄는 사실은, 조사대상 10개 도 모두에서 남성보다 여성 인구가 더 많다는 점입니다. 최대 인구 밀집지역인 평안남도의 경우, 여성 인구가 남성보다 19만 명 정도 많았습니다.

문) 이번 인구조사는 북한에서 이번에 16년 만에 실시된 것인데, 그동안 북한 인구에 대한 정확한 통계가 부족했었지요?

답) 그렇습니다. 바로 이 때문에 유엔인구기금은 자체 추정치와 북한에서 제공한 정보 등을 토대로 해마다 북한의 인구현황을 예측해서 발표를 해왔는데요, 이번에 북한에서 실시한 인구조사처럼 북한의 지역별, 성별, 직업별 인구를 자세히 다루지는 않았지만, 기본적인 통계, 가령 총 인구 수 등이 이번 예비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실제 유엔인구기금은 올해 세계인구 현황 보고서에서 북한의 총 인구 수가 2천 3백 90만 명이라고 밝혔는데요, 북한 자체 인구조사 예비결과 수치인 2천4백만 명과 큰 차이가 없는 것입니다.

유엔인구기금의 아시아태평양 담당관인 얀밍 린 씨의 말을 들어보시죠.

린 씨는 유엔 추정치는 여러 가지 요소를 토대로 하며, 북한 뿐아니라 전세계 다른 나라의 인구현황에 있어서도 이들 나라에서 직접 시행한 인구조사만큼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린 씨는 북한의 이번 인구조사 결과도 유엔 추정치보다 정확하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앞서 말씀드린 대로 북한 당국이 직접 담당하고 유엔인구기금은 기술적, 재정적 지원을 했지만, 북한 당국의 조사 과정에서 국제기준을 따르도록 했기 때문에 조사 결과에 대해 확신을 하고 있다고 린 씨는 말했습니다.

문) 이번 인구조사는 지난 해 10월에 실시됐으니까 예비결과가 나오기까지 1년이 더 걸린 셈인데요, 왜 이렇게 더디게 진행되고 있는지요?

답) 유엔인구기금 측은 이에 대해 이렇다 할 설명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 기구의 아시아태평양 담당관인 얀밍 린씨는 다만 처음부터 올해 말께 최종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조사결과에 따른 보고서 작성이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으며, 지체는 없다는 것입니다. 린 씨는 북한 정부가 유엔인구기금 측에 다음 달 16일 인구조사 최종 결과를 발표한다고 통보해 왔다고 말했습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