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일본이 워싱턴에서 북한 핵 문제와 관련한 이틀 일정의 협의를 벌이고 있습니다. 두 나라는 이 자리에서 일본인 납치 문제와 6자회담 재개 문제 등을 논의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는데요, 최원기 기자가 자세한 소식 전해드립니다.
일본의 6자회담 수석대표인 사이키 아키타가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이 15일과 16일 이틀 간 워싱턴에서 커트 캠벨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스티븐 보즈워스 대북 특사, 성 김 6자회담 수석대표, 필립 골드버그 대북제재 조정관 등과 만나 북한 문제를 집중 논의합니다.
로버트 우드 국무부 부대변인은 15일 정례브리핑에서 사이키 국장의 워싱턴 방문에 대해, “되돌릴 수 없는 조치를 통한 완전하고 검증가능한 비핵화의 길을 가도록 한 2005년 (9.19) 공동성명에 따른 국제적 의무를 북한이 준수하도록 설득하기 위한 동맹국 간에 계속되는 협의의 일환”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우드 부대변인은 또 캠벨 차관보의 일본 방문 직후 양국이 북한 문제를 놓고 재협의를 벌이는 특별한 이유가 있느냐는 질문에 “특별히 새로운 것은 없다”면서 “여러 차례 논의를 갖는 것이 드문 것은 아니다”고 답했습니다.
관측통들은 미국과 일본이 미-북 양자대화와 6자회담 재개 방안, 일본인 납치 문제 등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특히 일본은 미국을 통해 북한 측의 납치 문제 재조사를 요청하기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일본의 `니혼게이자이 신문’은 15일 “일본은 미-북 대화의 추이를 주시하면서 납치 문제 진전을 조건으로 일-북 간 대화 재개를 꾀하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보도했습니다.
북한의 일본인 납치 문제 재조사는 2008년 후쿠다 정권 당시 일-북 양측이 합의했지만 지난 해 9월 아소 다로 정권이 들어선 이후 추가 논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는 망명한 북한 공작원 등의 진술 등을 토대로 1991년 이후 북한에 대해 납치 문제를 제기했으나 북한은 이 문제의 존재 자체를 부인해 왔습니다.
그러나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지난 2002년 9월 평양에서 고이즈미 준이치로 당시 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 납치 문제를 인정하고 사과했습니다. 그 후 5명의 납치 피해자가 일본으로 돌아왔습니다.
이어 2004년 5월 고이즈미 총리의 2차 방북을 계기로 이미 귀국했던 피해자의 남편과 자녀도 일본으로 귀국했습니다.
현재 북한은 일본 정부가 납치 피해자로 규정한 19명 중 귀국자들을 제외한 12명에 대해 “이미 해결된 사안”이라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습니다. 반면 일본 측은 “이들의 소재를 재조사해서 귀국시켜야 한다”고 맞서면서 양측 간 관계 개선에 최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