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북한이 6자회담 복귀와 비핵화 의무 이행을 약속하지 않는 한 미-북 간 직접대화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고 커트 캠벨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가 말했습니다. 캠벨 차관보는 또 미국과 중국이 북 핵 문제 해결을 위해 전례 없이 긴밀한 공조체제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백성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핵 문제 협의를 위해 중국 베이징을 방문 중인 커트 캠벨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는 14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6자회담 복귀와 관련한 북한 측의 입장 표명에 강한 의구심을 나타냈습니다.
북한 측과는 직접 만나 대화를 해도 그들이 말하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를 정확히 알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캠벨 차관보의 발언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이달 초 평양에서 원자바오 중국 총리에게 `미-북 양자회담 결과를 보고 다자회담을 진행할 용의가 있으며, 다자회담에는 6자회담도 포함돼 있다’고 말한 것을 가리킨 것입니다. 김 위원장의 약속이 얼마나 확고한 것인지, 또 북한이 이 같은 약속을 지킬 것인지 여부가 분명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캠벨 차관보는 그러면서 미국은 북한이 6자회담 복귀와 핵 계획 폐기 약속을 지키기 전에는 북한과 직접대화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캠벨 차관보는 그러나 북한의 6자회담 복귀와 비핵화 의무 이행에 대한 동의가 미-북 간 양자대화의 전제조건인지에 대해서는 분명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습니다.
캠벨 차관보는 다만 앞으로 몇 개월 안에 북 핵 협상이 진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북한이 6자회담 합의 사안들을 이행해야 한다는 것이 미국 정부의 입장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캠벨 차관보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북 핵 문제 해결을 위한 중국 정부와의 공조가 매우 원만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미국과 중국 사이에는 원자바오 총리와 우다웨이 외교부 부부장이 평양을 방문했을 당시에도 긴밀하게 공조가 이뤄졌으며, 양측의 협력은 과거 어느 때보다 굳건하다는 것입니다.
캠벨 차관보는 특히 미국과 중국은 6자회담과 북한과의 협상에 관련한 기본목표에서 전례 없는 공감대를 이루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캠벨 차관보는 이어 자신의 이번 베이징 방문은 원자바오 총리와 함께 이달 초 평양을 방문했던 중국 정부 고위 당국자들로부터 북한 측과 가졌던 협의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캠벨 차관보는 중국 정부 관리들이 자신에게 김정일 위원장이 북한의 모든 대외정책에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밝혔습니다.
캠벨 차관보는 또 북한이 미-북 양자대화를 원하고 있다는 얘기를 중국 측으로부터 들었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미국 국무부의 필립 크롤리 공보 담당 차관보는 13일 정례브리핑에서 미-북 양자대화에 대해 아직 결정을 내리지 않은 상태라고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해 미 국무부의 고위 당국자는 미-북 양자대화에 참석할 양측 관계자를 누구로 할지, 또 양측이 어디서 만날지 등 실무적인 사안들이 검토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