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이란과 대화, 핵 관련 현안 설명 기회’ – 미 국무부 이언 켈리 대변인


이란과 유엔 안전보장 이사회 5개 상임 이사국들과 독일 등 세계 6개 강국은 오는 10월 1일 이란과 직접 대화를 위해 만나기로 합의했습니다. 이란과의 직접대화에 미 국무부의 윌리엄 번스 정무담당 차관이 미국 대표로 참석합니다.

개 강국은 지난 4월에 이란이 문제의 핵개발 계획을 둘러싼 국제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논의에 참석하면 새로운 보상과 미국과의 직접협상을 포함하는 제안을 내놓았고 이란은 다섯 달이 지난뒤 6개국 제안에 동의했습니다. 이란은 9월 9일, 6개국 대표들에게 광범위한 국제 안보문제에 관해 협상하기를 원한다는 내용의 이란측 제안을 제시했습니다. 그러나 이란의 제안은 이란의 핵개발 계획 문제나 국제원자력기구, IAEA와의 투명하고 전면적인 협력을 포함한 유엔 안전보장 이사회의 결의 요구사항 등을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미 국무부의 이언 켈리 대변인은 6개 국가들은 이란이 자체의 핵개발 계획과 관련된 국제적 의무를 준수하지 않은 것을 정면으로 거론할 의도로 있다고 말했습니다.

켈리 대변인은 이란과의 10월 1일 회담에서 이란의 핵개발 계획관련 문제가 우선적이고 중점적인 의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미국은 지금의 시점에서 전반적인 새 과정을 시작하려는게 아니라 이란 대표들과 마주 앉아 그들의 선택에 관해 직접 설명하는 기회를 설명하려 한다는 것입니다.

켈리 대변인은 이란의 선택은 이란이 국제사회에 통합되는 길을 가던가 아니면 고립되는 길을 계속해서 가느냐 둘 중 한 가지라고 지적합니다. 그리고 6개국은 이란이 국제 사회에 대한 책무를 이행하지 않는 가운데 고립되는 길을 가고 있음을 우려하고 있다고 켈리 대변인은 말합니다.

미국과 동반국가들은 이란이 민간용 핵개발 계획을 추진할 권리를 갖고 있음을 누누이 말해왔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권리에는 책임이 따르며 이란은 자체 핵개발 계획이 전적으로 평화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라고 믿을 수 있도록 국제사회의 신뢰를 회복해야 합니다.

이언 켈리 미 국무부 대변인은 이란과 다른 나라들간의 직접대화는 모두가 공통의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최선의 방안을 모색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합니다.

이란이 권리와 함께 책무를 지닌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이란이 준수해야 할 책무란 이란이 착수한 핵개발 계획을 투명하게 밝히는 것이라고 켈리 대변인은 강조합니다.

켈리 대변인은 6개 당사국들은 다가오는 이란과의 회동에서 이란이 택할 선택을 이란 지도자들에게 아주 분명하게 제시할 것이라고 말합니다. 이들은 이번 회동이 이란과 마주 앉아 국제사회의 우려를 직접 밝히는 기회가 되기를 원한다고 켈리 대변인은 강조합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