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민간단체들, ‘대북 인도적 사업, 남북 긴장 해소 도움’


한국의 민간단체들이 중국 선양에서 북한 측 관계자들과 올해 대북 사업에 대해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와 관련해 한국 내 일각에서는 북한이 남북관계가 경색된 상황에서도 민간 교류를 계속 이어갈 의지를 밝히고 있는 만큼 이를 통해 남북관계를 풀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김은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대북 지원 활동을 펴고 있는 한국의 민간단체들은 북한이 최근 잇따른 성명을 통해 군사적 긴장을 높이는 등 남북관계가 악화되고 있지만 인도적 차원의 민간 교류는 별 어려움 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4일 밝혔습니다.

56개 대북 민간단체들의 연합체인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는 북한 조평통 성명이 발표된 지 이틀 뒤인 지난 1일부터 오는 8일까지 단체별로 순차적으로 중국 선양을 방문해, 북한 민족화해협의회 관계자들과 만나 올해 대북 사업들을 논의합니다.

북측과의 협의 뒤 먼저 한국으로 들어온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 권용찬 운영위원장은 “선양에서 북한이 최근의 남북관계에 대한 별도의 언급 없이 올해도 변함없이 사업을 추진하자고 얘기했다”며 “이는 최근의 상황과는 관계없이 민간 교류를 이어가려는 의지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선양에서 협의는 민화협과 북민협 단체들이 올해 대북 사업을 구체적으로 협의하기 위한 모임이었고, 남북 모두 회의에 적극적 역동적으로 임 했습니다. 당국 간 냉랭한 냉기에도 불구하고 북한 민화협 측에선 남측 민간단체들과의 사업을 적극적으로 확대하자는 입장으로 보입니다.”

권용찬 위원장은 "평양에 건립 중인 낙랑섬김병원의 준공식을 오는 하반기에 갖고, 함경북도 빵 공장 사업이나 지하수 개발 같은 사업도 꾸준히 이어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민간단체 관계자들에 따르면 북측은 민간단체들과의 교류 사업의 경우 정치적인 상황과는 별도로 추진하자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실제 북한 당국은 ‘전면적 군사 대결 태세’를 선언한 지난 달 17일의 총참모부 성명에 뒤이어 조평통 성명에서도 남북 합의 가운데 정치와 군사 부분만 무효화 한다고 밝히고 경제협력과 민간 교류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따라 북한이 민간단체와의 교류 사업은 이어가겠다는 입장인 만큼 민간단체들이 얼어붙은 당국 간 대화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의 이현희 부장은 “민간단체들의 방북이 지난해 말 조금 뜸했다가 올해 1,2월 들어 다시 활발해지고 있다”며 “북한에서도 민간 교류는 지속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는 만큼 민간 교류가 남북 당국 간에 긴장을 완충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북한은 기존에 해왔던 경제교류나 민간단체와의 교류협력 사업은 계속 이어가려는 의지가 있다고 봅니다. 한국 정부의 대북정책을 전환하려는 압박의 의도가 있는 거지 남북관계나 민간 부문까지 다 닫아버리려는 의도는 없는 것 같습니다. 현 상황에선 민간 부문이라도 계속 북한과 협력하면서 긴장을 완화해가는 역할을 최대한 해야 한다고 봅니다.”

이재정 전 통일부 장관도 지난 달 15일 남북평화재단이 주최한 한 강연에서 “남북관계가 완전히 실종되고 전혀 출구가 보이지 않는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민간단체들이 나서 한반도의 통일과 평화를 위해 적극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지금과 같은 남북관계가 장기화될 때 경우 북한이 ‘민간교류 전면 중단’이라는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남북한 당국의 결단 없이 민간의 역할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한 대북 지원단체 관계자는 “북측의 민족화해협의회 역시 북한 당국의 결정에 따라야 하므로 남북관계와 완전히 별개로 민간 교류만 이어갈 순 없을 것”이라며 “실제 민화협 관계자들도 민간 교류가 정치적인 상황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고 얘기하곤 한다”고 말했습니다.

현재 한국 정부는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뒤 남북관계가 급속히 나빠지면서 매년 보내던 쌀과 비료 지원을 중단한 상태입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경색된 남북관계를 풀기 위해 쌀이나 비료를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과 관련해 “대북 인도적 지원은 북 핵이나 남북관계 상황과 관계없이 한다는 원칙에는 변함이 없다”면서도 “현재로선 대북 지원은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