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미 국방부, 미군 유해발굴 재개위한 부처간 협의 준비


미국 국방부가 지난 2005년 중단된 북한 내 한국전쟁 참전 미군 유해 발굴 작업을 재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국방부의 이같은 움직임은 최근 북한의 핵 신고서 제출과 미국의 대북 테러지원국 지정 해제 방침 발표로 미-북 관계에 진전이 예상되는 가운데 나온 것입니다. 유미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미국 국방부는 최근 이뤄진 북 핵 협상의 진전에 따라 북한 내 한국전쟁 참전 실종 미군 유해 발굴 작업 재개와 관련한 부처 간 협의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국방부의 찰스 레이 전쟁포로, 실종자 업무 담당 차관보는 10일 열린 미 하원 군사위원회(House Armed Services Committee) 소위원회 청문회에서, 북 핵 문제가 계속 긍정적인 방향으로 진전을 이룰 경우 부처 간 협의를 통해 미국 대통령에게 유해 발굴작업 재개와 관련해 어떤 제안을 할 것인지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국은 지난 1996년부터 2005년 북한의 핵 개발 사태가 심각해져 중단하기까지 모두 33 차례에 걸쳐 북한과 공동으로 미군 유해 발굴 작업을 실시했습니다. 이를 통해 미국은 한국전쟁에서 사망, 실종된 미군 유해 총 2백29구를 발굴하고, 이 중 지금까지 61구의 신원을 확인했습니다. 한국전쟁에서 실종된 미군의 수는 총 8천 1백여 명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최근 북한이 핵 신고서를 제출하고 미국도 이에 따른 상응 조치로 북한에 대한 테러지원국 지정 해제를 발표하는 등 북 핵 협상에 진전이 이뤄지면서 3년 전 중단됐던 북한 내 미군 유해 공동 발굴작업의 재개 여부에 큰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날 청문회에서 존 맥휴(John M. McHugh) 공화당 의원은 국방부가 제출한 2009년도에서 2013년까지의 전쟁포로, 실종자 업무 관련 예상 예산에 북한 부문이 포함돼 있지 않은 점을 지적하면서, 발굴 작업이 재개될 경우 비용 조달과 관련한 국방부의 계획을 물었습니다.

이에 대해 레이 차관보는 미군 유해 발굴을 위한 북한과의 공동작업이 재개될 경우 소요 비용은 의회를 통한 추가 예산이 아니라 국방부 예산에서 전용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레이 차관보는 2년 전 당시 북한 내 공동 발굴작업이 재개될 경우 1천 4백만 달러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추산됐었다며, 지금 그러한 결정이 내려진다면, 비용의 재산출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즉 미군 유해발굴과 신원확인을 담당하는 국방부 산하 합동 전쟁포로,실종자 확인사령부, JPAC이 북한을 방문해 3년 전 철수할 당시 북한에 남겨두었던 장비들의 상태를 점검하고 신규 장비의 추가 구매 여부 등을 결정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한편, 이날 청문회에 또 다른 증인으로 참석한 JPAC 사령관 다나 크리스프 해군 소장은 한국전쟁 참전 미군들의 유해 신원 확인에서 기술혁신이 이뤄져 신원 확인에 소요되는 시간이 크게 단축됐다고 말했습니다.

크리스프 사령관은 최근 탈염 공정(Demineralization Process)이라는 기술이 개발돼 하와이의 펀치볼 국립묘지에 집단매장된 무명의 한국전 참전 미군 유해의 신원이 확인 가능해졌다고 밝혔습니다. 이 공정은 발굴된 뼈의 양이 기존의 10분의 1 수준이라도 DNA 추출을 가능하도록 해 유해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고 크리스프 사령관은 설명했습니다.

하와이의 펀치볼 국립묘지에는 한국전쟁 직후인 1956년 미 해군 함정 맨체스터 호에 실려 일본에서 이송된 8백 67구의 미확인 미군 전사자 유해가 안장돼 있습니다.

미국 의회가 미군 전쟁포로,실종자와 관련한 청문회를 개최한 것은 지난 1998년 이래 이번이 10년만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