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대북 의료 지원 한국 정부가 나서야


한국의 남북의료협력재단 등은 오늘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IT 센터에서 ‘북한의 의료실태와 남북의료협력 방안’을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습니다. 토론회 참석자들은 북한주민들이 겪고 있는 열악한 보건의료 실태를 전하면서, 대북 의료 지원을 위한 방안들을 제시했습니다. 자세한 소식 서울 VOA 김환용 기자를 전화로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문] 오늘 토론회에서 북한주민들의 의료와 보건 실태에 대해 어떤 이야기들이 나왔나요?

북한주민들이 겪고 있는 의료 상황에 대해선 주제발표자로 나선 세브란스 병원 인요한 박사가 비교적 상세하게 설명했습니다. 유진벨 재단에 소속돼 대북 의료 지원 활동을 펴 온 인 박사는 북한의 곳곳을 다니면서 찍은 의료시설 사진들을 공개하기도 했습니다.

인 박사는 의약품 절약을 위해 환자 목에 구멍을 뚫어 투약을 하는 이른바 도관법 등 북한 의사들이 궁여지책으로 비정상적인 치료방법들을 쓰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상한 치료들을 해요, 이 건 결핵을 치료하는 건데요, 목을 뚫어서 관을 넣어서 이것을 도관이라고 해요, 왜 약이 부족해서 보통 먹어야 할 사람의 15분의 1, 그러니까 이 방법을 쓰면 약을 한 명 줄 것을 20 명을 줄 수 있어요, 의사들은 엑스레이 기계에 몸을 던져서 방사능을 맞아 가면서 환자를 봐요, 그래서 백혈병으로 죽어요, 제가 눈으로 확인했습니다”

인 박사는 현재 북한의 결핵환자 수는 전 인구의 5% 즉 1백만 명 정도로 추산했습니다.

문] 보건 의료분야의 지원은 한국에서는 그동안 민간단체들을 중심으로 이뤄져 왔는데요, 이 때문에 열악한 북한의 보건의료 실태에 비춰볼 때 지원 규모가 너무 부족하지 않았느냐 하는 지적이 나오지 않았습니까, 이에 대한 이야기는 없었나요?

네, 대북 의료 지원 활동을 펴 온 우리민족서로돕기 운동의 손종도 부장은 오늘 토론자로 나와 현재 민간단체 60-70 곳에서 대북 지원활동을 하고 있지만 한계가 있다며 정부와의 협력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우리민족 같은 경우엔 12년 정도 민간단체 지원사업은 대단히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런 측면에서 정부와 민간이 역할구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구요 민간은 처음에 소규모로 협의를 하고 사업을 벌이고, 이후 이를 체계화하고 대규모화하는 것은 정부의 역할이 아닐까 생각하구요”

손 부장은 일례로 우리민족서로돕기 운동에서 설립을 지원했던 북한 정성의학 종합센터의 의약품 제조공장이 원료의약품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던 일을 소개했습니다. 손 부장은 이 문제를 풀기 위해 남한의 한 업체와 북한당국이 개성에 건강식품공장을 세우도록 주선해 여기서 나오는 수익의 일부분을 원료의약품 구입비로 사용하는 방법을 쓰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성공 사례로 말한 것이지만 그만큼 민간단체 차원의 사업이 어렵다는 것을 시사하는 얘기였습니다.

문] 그렇다면 오늘 토론회에서 어떤 대안들이 나왔습니까?

네, 오늘 토론자들은 의약품 공급 등 북한에 대한 일회성 지원보다는 예방을 중심으로 보건 의료분야에서 북한이 자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 대체로 동의하는 분위기였습니다.

특히 세브란스 병원 인 박사가 ‘3단계 지원’이라는 보다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는데요, 첫 단계는 예방접종에 필요한 시설 도입, 2단계는 엑스레이기, 혈청검사기기 등 병원 기반시설의 구축, 그리고 마지막 3단계는 수술실 현대화였습니다.

인 박사는 예방접종을 위해선 약을 보관하는 냉동시설이 시급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북한 병원 시설 현대화는 240개 군 단위 병원과 9개 도단위 병원에 대한 2단계 사업은 규모가 큰 만큼 남한 정부의 결단이 필요하다고 촉구했습니다.

문] 식량 지원과 관련해 문제가 되고 있는 분배 투명성 검증 문제가 의약품 분야에선 없는지 궁금한데요, 이에 대한 논의는 없었습니까?

인 박사는 분배 투명성에 대해 자신이 회령의 한 병원을 들렀을 때 병원장이 자신에게 “자주 찾아달라”고 말한 일을 소개했습니다. 인 박사는 “병원장으로부터 내가 자주 병원을 찾아와야 중앙에서 의약품 지급이 이뤄진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전했습니다. 이날 토론회 방청객으로 나온 탈북자 여성도 “북한에서 병원에서 근무했었다”고 자신을 소개한 뒤 국제구호 단체가 공급한 의약품 지급이 제대로 되지 않다가 단체 사람들이 찾아오면 급하게 지원되곤 했던 경험담을 이야기했습니다.

문] 의료보건 분야에서의 대북 지원에 대한 한국 정부의 입장이 어떤지 궁금한데요.

네, 오늘 토론자로 참석한 보건복지가족부 최종균 국제협력 담당관은 “지난해 남북정상회담 이후 남북한 당국이 보건 의료분야에서 백신 의약품 전달, 제약공장 원료의약품 지원, 약솜공장 건립, 사리원 인민 병원 현대화 등을 합의한 바 있지만 진척이 안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협력 사업을 위해서 지난 2월에 저희 복지부와 북한측합동조사단이 북한을 들어갔다 왔습니다. 그래서 실태조사를 거쳐서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통일부와 합의 해서 100억정도 규모로 연내에 실시하려 잡았었는데 아시다시피 이런 저런 사정으로 인해 진척이 안되고 있습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