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인터뷰] 한국국방연구원 김태우 박사 - 북 핵실험 '성공으로 봐야' (오디오 첨부)


북한의 핵실험을 성공한 것으로 봐야 한다는 견해도 있습니다. 한국국방연구원 김태우 연구위원은 미국의 소리방송과 인터뷰에서 핵실험이 실패했으면 폭발이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며 소규모 폭발이기는 하지만 결과적으로 북한의 핵실험은 성공한 것으로 봐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습니다.

인터뷰에 서울의 VOA 박세경 기자입니다.

문) 북한의 이번 핵실험 발표를 어떻게 평가하고 계십니까?

답) 일단은 북한의 발표를 그대로 믿고 있는 편이고 북한의 핵실험이 앞으로 미칠 파장을 생각하면 대단히 엄중한 사태라고 봅니다. 이것이 핵실험인 것인지 확인이 된다면 이것은 앞으로 NPT체제(핵비확산체제)에 엄중한 영향을 미칠 것이며 미국이 주도하는 세계질서에 대한 정면 도전이 됩니다.

또 동북아시아에서는 여러가지 핵확산 도미노까지 일으킬 수 있는 파급력을 가진 사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한반도에서는 남북한의 군사균형의 변질을 포함해 남북한관계의 왜곡 등 다양한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대단히 엄중한 사태라고 봅니다.

문)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 따르면 문제의 지진파가 “인공적이기는 하지만 핵실험인지 여부는 판단할 수 없다”고 밝혔는데 이점은 어떻게 봐야 되겠습니까?

답) 과학적인 근거를 가지고 얘기를 하기 때문에 우리로서는 최종 판단이 나올 때까지 기다려 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통상 지하 핵실험을 하더라도 방사성 물질들이 대기권에 방출되고 때문에 이것을 탐지해 보면 핵실험인지 아닌지를 판정할 수 있습니다. 그런 상태에서 북한이 핵실험을 하지 않고 핵실험을 했다고 발표했을 가능성은 비교적 적다고 봅니다. 때문에 일단 저로서는 북한의 말을 믿고 핵실험을 한 것이다. 그리고 성공한 것이다 그렇게 믿고 있습니다.

문) 핵실험시에는 반드시 방사능이 검출된다고 말씀하셨는데 그러나 아직까지 방사능이 검출되었다는 소식은 없지 않습니까?

답) 그 부분이 좀 미묘한데요 통상 핵실험 후 방사성 물질들이 하늘로 올라가기까지는 시간이 좀 걸립니다. 지표를 뚫고 하늘로 올라가게 되구요 그 양이 미세한 양이기 때문에 탐지하고 분석해서 판정까지 하는데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지금 미국에서도 이미 탐지비행기를 띄웠고 중국 러시아 한국 등이 대기권의 방사성 추정을 위해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은 조금만 기다려보면 판정이 나올 것 같습니다.

문) 그런데 북한은 지난 9일 핵실험 발표시 “방사능이 전혀 없다”라는 얘기를 했지 않습니까?

답) 그렇습니다. 그런데 북한의 발표는 북한식 발표로 북한 중심적 생각이라고 저는 봅니다. 그것은 곧 대기권 핵실험의 경우 버섯구름과 함께 막대한 대기권 오염을 초래하지만 지하 핵실험일 경우 그런 현상이 없다 그러니까 걱정하지 말아라 우리가(북한이) 하는 것을 내버려둬라 그런 차원에서 한 얘기라고 보구요 엄밀히 말해 어떤 지하 핵실험도 미량이기는 하지만 땅속으로 방사성물질이 스며나가고 또 대기권으로 유독성 물질들이 방출되게 됩니다. 따라서 환경오염이 전혀 없다는 말은 맞지 않습니다.

문) 일각에서는 북한의 미사일 핵탄두 탑재 기술이 부족하다는 얘기도 있는데요?

답) 그 부분은 어차피 추정 할 수 밖에 없습니다.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닙니다. 그러나 북한이 지난 반세기 동안 핵개발에 심혈을 기울여 왔다는 것을 종합해야 하며 또한 30년 이상 미사일 개발에 매진해 왔습니다.

이런 것을 볼 때 그 많은 세월 동안 북한이 소형화와 미사일 탑재에 얼마나 많은 공을 들였겠느냐 그런 점을 판단한다면 지금쯤은 미사일 탑재에 접근하고 있거나 적어도 그런 능력을 확보하고 있는 중일 것으로 추정하는 것이 옳다고 봅니다.

파키스탄에서 얼마 전에 ‘가오리 미사일’에 탑재할 핵무기를 개발했고 실제로 탑재를 한 상태에 있습니다. 그렇다면 북한이 파키스탄과 굉장히 긴밀한 중요 거래를 해왔는데 파키스탄으로부터 이 핵탄두 노하우나 핵실험 노하우를 전수 받았을 가능성도 상당히 있습니다. 이런 것들도 북한의 미사일 탑재능력을 과소 평가해서는 안 되는 하나의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문) 그러니까 외신과 한국언론의 핵실험 발표에 대한 의구심에 불구하고 김 박사께서는 핵실험이 현실화 되었다(사실이라고)고 보시는군요?

답) 최종 판단을 저희들도 기다리고 있습니다만 일단 저는 성공한 핵실험이라고 보구요 항간에서는 플루토늄 중 일부만이 연쇄반응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다는 얘기를 합니다만 일단 그랬다고 하더라도 역시 연쇄반응에 의한 핵폭발을 일으켰으면 그것은 성공한 핵실험이라고 봐야 됩니다.

왜냐하면 나가사키에 투하한 핵폭탄의 경우에도 사용된 플루토늄 일부만이 연쇄반응을 일으켰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폭탄은 22Kt의 위력을 발휘했고 무수한 인명을 살상했습니다. 이 나가사키 핵폭탄을 놓고 실패한 핵폭탄이라고 얘기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문) 북한이 2차 핵실험을 감행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시는지요?

답) 장기적으로 볼 때 북한의 추가적인 핵실험 가능성은 매우 농후합니다. 북한이 강력한 핵보유의 의지를 가지고 지금까지 핵개발을 해온 나라이고 앞으로도 6자회담이 정치적 타결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계속해서 핵무기를 만들고 관리를 하려고 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 핵실험은 핵무기를 관리하고 개선하고 양산하는데 굉장히 긴요한 과정이기 때문에 당연히 추가적인 핵실험을 원할 것으로 봅니다. 그러나 단계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핵실험이라고 하는 것은 좁은 국토에서 연속 실시하기에는 부담이 있는 큰일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북한이 이러한 것은 쉽사리 사용할 것 같지는 않습니다.

북한으로서는 유엔안보리가 결의문을 채택하고 미국이나 국제사회가 북한을 압박해 북한체제가 진실로 위험에 처해 있다고 판단할 때 정면돌파를 하기 위해서 핵실험을 감행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북한으로서는 이렇듯 소중한 정치적 카드이기도 한 핵실험이기 때문에 북한이 섣불리 이 카드를 소진할 것으로는 보지 않습니다.

관련 뉴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