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SLBM 시험장·무수단 발사장, 언제든 발사 가능...동창리 폐기 진전 없어”


구글 어스에 공개된 '국립우주연구원(CNES)'과 '에어버스'가 촬영한 8월27일자 신포 조선소 일대 위성사진.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사출 시험대(원 안)가 그대로 있는 모습이 보인다. 사진제공=CNES/Airbus (via Google Earth)
구글 어스에 공개된 '국립우주연구원(CNES)'과 '에어버스'가 촬영한 8월27일자 신포 조선소 일대 위성사진.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사출 시험대(원 안)가 그대로 있는 모습이 보인다. 사진제공=CNES/Airbus (via Google Earth)

북한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시험장과 무수단리 미사일 발사장 등이 건재한 상황에서 서해 발사장 폐기 약속은 무의미하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기존 시설에선 언제든 미사일 발사와 엔진 실험이 가능하다는 사실이 VOA의 위성 사진 분석을 통해 확인됐고, 그나마 해체 움직임을 보였던 서해 발사장에서도 한달 가까이 특별한 동향이 관측되지 않고 있습니다. 함지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과 관련된 활동이 왕성하게 벌어졌던 신포 조선소에는 어떤 변화도 감지되지 않았습니다.

VOA가 구글 어스에 공개된 '국립우주연구원(CNES)'과 '에어버스'의 6월1일과 7월25일, 8월27일자 위성사진을 살펴본 결과 이곳에 세워진 SLBM 사출 시험대는 이 기간 동일한 모양과 형태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북한이 풍계리 핵실험장과 서해위성발사장에 대한 폐기 수순에 돌입한 것과 달리 SLBM과 관련된 시설에 대해선 해체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는 겁니다.

원통 형태로 만들어진 이 시험대는 고압증기를 사용해 미사일을 공중으로 밀어 올린 뒤 엔진 점화로 발사하는 미사일 `콜드 런치' 체계를 점검하기 위한 것입니다.

북한은 지난해까지만 해도 관련 실험을 여러 차례 실시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전문가들은 북한이 잠수함 발사 역량을 키우고 있다고 주장했었습니다.

군사전문가이자 위성사진 분석가인 닉 한센 스탠포드대학 국제안보협력센터 객원연구원도 해당 시험장이 여전히 운용 가능한 상태라고 분석했습니다.

[녹취: 한센 연구원] “...remember one of the things that when Kim...”

그러면서 지난해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국방과학원을 시찰할 당시 ‘북극성 3형’과 관련된 내용이 노출됐었는데, 만약 북극성 3형이 실제 존재한다면 이 장소에서 사출 시험을 거칠 수 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시설이 여전히 건재한 곳은 또 있습니다.

북한이 1990년대 말부터 2000년대 말까지 대포동 미사일을 발사하는 데 이용했던 무수단리 미사일 발사장입니다.

이곳은 동창리보다는 규모가 작지만 미사일 발사대는 물론 엔진 시험장과 미사일 조립과 통제 시설 등이 마련돼 있습니다.

한센 연구원은 자체적으로 확보한 7월21일자 위성사진을 근거로 이 시설 주변으로 나무들이 정리되는 등 관리된 정황이 있지만, 어떤 해체 조짐도 없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한센 연구원] “There is anything going on...”

따라서 이 시설은 다시 이용될 수 있는 상태로 관측되며, (동창리) 서해 발사장을 대체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앞서 지난 5일 특사 자격으로 북한을 방문한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비핵화 조치의 일환으로 풍계리 핵실험장과 더불어 동창리 미사일 엔진실험장도 사실상 폐기했다는 사실을 언급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정의용 실장] “동창리 미사일 엔진실험장도 북한의 유일한 실험장일 뿐 아니라 이것은 향후 장거리 탄도미사일 실험을 완전히 중지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매우 실질적이고 의미있는 조치들인데, 이러한 조치들에 대한 국제사회의 평가가 인색한 데 대한 어려움을 토로했습니다.”

그러나 북한은 국제사회 우려로 남아있던 SLBM과 한 때 장거리 미사일이 발사되고, 엔진 시험이 실시됐던 동해 미사일 발사장에는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는 게 이번 위성사진을 통해 확인됐습니다.

이런 가운데 김 위원장이 언급한 동창리 서해 미사일 엔진실험장도 지난 8월 중순 이후 특별한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VOA가 일일 단위로 위성사진을 보여주는 ‘플래닛 랩스(Planet Labs)’를 살펴본 결과 서해 미사일 발사장은 지난달 16일부터 이달 10일까지 사실상 아무런 변화가 없었습니다.

서해 미사일 발사장의 8월16일부터 9월10일 사이의 모습. 특별한 변화가 관측되지 않았다. 사진제공=Planet Labs Inc.
서해 미사일 발사장의 8월16일부터 9월10일 사이의 모습. 특별한 변화가 관측되지 않았다. 사진제공=Planet Labs Inc.

아울러 서해 발사장 인근에 위치한 엔진 실험장도 이 기간 특별히 달라진 점을 찾기 어려웠습니다.

앞서 북한은 7월 중순부터 서해 발사장 내 발사체를 조립하는 궤도식(rail-mounted) 구조물에 대한 해체 작업에 착수했었습니다.

서해 미사일 발사장 인근 엔진 실험장을 촬영한 위성사진. 왼쪽부터 8월16일, 9월1일, 9월10일. 사진제공=Planet Labs Inc.
서해 미사일 발사장 인근 엔진 실험장을 촬영한 위성사진. 왼쪽부터 8월16일, 9월1일, 9월10일. 사진제공=Planet Labs Inc.

그러나 북한 전문 매체 ‘38노스’는 이후 촬영된 고화질 위성사진을 근거로 지난달 3일과 16일 사이 서해 발사장 내 특별한 변화가 없었다고 밝혀, 해체 작업이 중단된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았습니다.

한센 연구원도 해체 작업이 중단된 분석에 동의했습니다.

그러나 당초 북한이 해체를 했던 시설들은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막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지 못한다며, 아직까지 서해 미사일 발사장은 사용이 가능한 상태라고 지적했습니다.

[녹취: 한센 연구원] “If they are going to basically make it...”

한센 연구원은 어떤 것도 발사하지 않으려면 발사대를 해체하면 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나 10일 촬영된 위성사진에서도 서해 미사일 발사장 내 발사대는 긴 그림자를 보이는 등 여전히 건재한 것으로 보인다고 한센 연구원은 밝혔습니다.

이와 더불어 발사대 옆으로 연결된 연료주입 건물도 그대로 남아 있다며, 과거 북한이 궤도식 구조물이 없을 때에도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한 전력이 있는 만큼 현 상태에선 내일이라도 발사가 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엔진 실험장도 구조 내에 설치된 연료탱크와 엔진을 탑재할 수 있는 시설 등이 사라졌지만, 여전히 건물과 여러 시설들이 남아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엔진 실험장을 무용지물로 만들고자 한다면 콘크리트로 된 구조물과 엔진실험용 타워를 무너뜨려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VOA 뉴스 함지하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