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인터뷰: 히펠 노틸러스 연구원] “북한 전력난 해결 위해 국제사회와 협력 해야”


지난 2005년 미 항공우주국에서 촬영한 한반도 주변 야간 위성사진. 북한 지역에서는 불빛을 찾아보기 어렵다.
지난 2005년 미 항공우주국에서 촬영한 한반도 주변 야간 위성사진. 북한 지역에서는 불빛을 찾아보기 어렵다.

북한이 열악한 전력 사정을 개선시키기 위해선 국제사회의 도움을 받아 전력망을 재구축하는 방법밖에 없다고 미국의 에너지 전문가가 밝혔습니다. 북한에서 전력 지원 사업을 벌였던 미국 노틸러스연구소의 데이비드 폰 히펠 연구원은 ‘VOA’와의 인터뷰에서 북한이 풍력 발전 등 재생가능 에너지 개발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지만, 전력망이 단절돼 다른 지역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없는 형편이라고 말했습니다. 히펠 연구원은 지난 1998년, 2000년, 그리고2009년, 세 차례 북한을 방문해 풍력 발전 전기 건설 사업에 참여했습니다, 히펠 연구원을 김현진 기자가 인터뷰했습니다.

기자) 최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경제 강국 건설을 위해 전력문제 해결이 절박하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북한의 전력 사정이 얼마나 안 좋은지, 또 이렇게 된 이유는 뭔가요?

[녹취:히펠 연구원] “Well, it’s been pretty bad for some time. It's much better in some areas than others notably in Pyongyang because Pyongyang gets priority for power distribution…”

히펠 연구원) 북한의 전력 상황은 꽤 오랫동안 좋지 않았습니다. 그나마 평양은 우선적으로 전기를 공급 받기 때문에 다른 지역에 비해서는 낫지만 그래도 예외는 아닙니다. 북한 전력 발전 시스템은 1990년대 구 소련이 붕괴하면서 같이 무너지기 시작했습니다. 경제적 고립으로 공장이나 발전소 운영에 필요한 부품이나 연료를 구하지 못해 제대로 작동되지 못했습니다. 북한의 대형 수력 발전소 대부분은 일제시대 지어졌는데, 시설이 오래되고 발전기 등도 낡아 제대로 작동되지 않고 있습니다. 또 전국적으로 통합돼 있던 전력망이 1990년대 들어 서로 단절되면서 일부 지역은 전기 공급을 원활히 받을 수 있는 반면 다른 지역은 전기 공급을 아주 받지 못하거나 매우 간헐적으로 받는 등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기자) 북한 전력망이 왜 단절된 건가요?

[녹취:히펠 연구원] “because of difficulties with their power plants and their a transmission distribution system they just can't move power from…”

히펠 연구원) 발전소와 송배전 시스템 문제로 전력을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공급하는 것이 쉽지 않았기 때문이죠. 또 송배전 시스템을 관리하는 기술도 부족했고요.

기자) 북한에 현재 몇 개의 발전소가 있습니까?

[녹취:히펠 연구원] “I'm not looking at a listing but there are probably less than a dozen….”

히펠 연구원) 발전소 목록을 갖고 있는 건 아니지만 12개 미만의 석탄을 이용한 화력 발전소와 대형 연소 발전소 두 개, 10 메가 와트 이상 규모의 수력발전소 수십 개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수력발전소를 포함해 상당수 발전소들은 일년 중 많은 기간 제대로 작동되지 않고 있습니다.

기자) 북한이 최근 새로운 발전소를 건설했다는 얘기도 있는데요.

[녹취: 히펠 연구원] “They’ve built. There are reports that construction of a number of new hydroelectric plants over the years and some of…”

히펠 연구원) 지난 몇 년 동안 다수의 수력 발전소를 건설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일부는 가동을 시작했고요. 하지만 전력 생산 규모는 10 메가 와트에서 50메가 와트 정도로 매우 작습니다. 북한 총 전력생산이 8천 메가 와트 정도 되니까 아주 미미한 수준이죠. 이 같은 소규모 수력 발전소는 지역 일부에는 도움이 될 지 몰라도 북한 전체 전력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죠.

기자) 북한 당국은 또 전력 문제 해결을 위해 재생 가능한 에너지에도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녹취: 히펠 연구원] “Yes. We’ve have hosted North Korean delegations in international events usually in Beijing and off and on the topic of energy ....”

히펠 연구원) 네. 저희가 몇 년 전 베이징에서 에너지를 주제로 국제 학술 토론회를 열었는데요, 북한 대표단도 참석했습니다. 이들은 에너지 효율 정책과 재생 가능한 에너지 전력 공급에 매우 큰 관심을 보였습니다. 북한 건물들은 절연 처리가 잘 돼있지 않아서 에너지 손실이 매우 큰데요,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는 방법에 큰 관심을 보였습니다. 또 풍력발전, 태양광 발전, 바이오 메스 에너지, 바이오 가스 등 재생 가능한 에너지 생산에 매우 큰 관심을 보였습니다. 저희는 또 북한 시골 지역에 풍력 발전용 터빈을 설치해주는 작업을 한 적도 있었는데요, 북한 사람들이 매우 큰 관심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기자) 언제, 어느 지역에서 그런 작업을 했습니까?

[녹취: 히펠 연구원] “1998 we installed 7 small wind power turbines and I think they very interested in. We had engineers helping us install the wind windmills themselves and also the power systems that went with it….”

히펠 연구원) 1998년 남포 인근 지역에 7개의 소규모 풍력 발전용 터빈을 이용한 전력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전력 생산량은 터빈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500와트에서 5000 와트 정도 생산할 수 있는 규모였습니다. 원래는 이 풍력 발전용 터빈으로 생산된 전력을 20 가구에 공급하려고 했었는데요, 북한 당국이 60 가구로 늘렸습니다. 당시 이 지역에는 전력 공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었는데요, 하루에 몇 시간밖에 전기가 안 들어오거나 며칠 동안 전기가 안 들어오기도 했습니다. 저희가 설치한 풍력 발전 시스템으로 밤에 불을 켜거나 라디오, TV를 이용할 수 있게 돼 주민들이 매우 좋아했습니다. 저희는 2년 뒤인 2000년에 다시 돌아가 고장난 터빈을 수리, 보수하는 작업을 했습니다. 2년 후에도 주민들이 여전히 저희가 설치한 풍력 발전용 터빈에서 생산된 전기를 사용하는 것을 목격했습니다. 2000년에는 풍력을 이용한 물 펌프를 설치하기도 했습니다. 북한 당국자들은 이 같은 기술에도 큰 관심을 보였습니다.

기자) 당시 북한에는 풍력 발전을 이용한 터빈이나 풍력을 이용한 물 펌프 같은 것이 없었나요?

[녹취: 히펠 연구원] “Windmill was available. We did visit a factory where they were manufacturing very small windmills…”

히펠 연구원) 당시 북한에도 소규모 (풍력 발전용) 풍차 터빈이 있었습니다. 작은 풍차 터빈 하나가 10에서 100 와트 정도 전력을 생산할 수 있었습니다. 당시 북한 풍차 터빈 공장을 방문했었는데요, 저희 기술자가 살펴본 후 별로 효과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저희가 가져간 풍력을 이용한 물 펌프는 북한 환경에 적합한 모델이었는데요, 북한 당국자들이 매우 큰 관심을 보였습니다. 북한이 자체적으로 만들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이었는데, 제가 알기로 북한이 공장에서 이를 자체적으로 제작해서 주민들에게 보급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기자) 이 같은 풍력 발전용 터빈은 북한 모든 곳에서 사용할 수 있는 건가요? 지형적 조건이 맞아야 하지 않나요?

[녹취: 히펠 연구원] “Anywhere that has reasonable amount of wind and actually the place that we installed the system has only moderate..."

히펠 연구원) 적정한 정도의 바람만 불면 풍력 발전용 터빈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저희가 터빈을 설치했던 지역도 바람이 그렇게 강하게 부는 지역이 아니었습니다. 북한 산간 지역이나 중국과 러시아 국경 지역 등 바람이 많이 부는 지역과 비교하면 정말 바람이 불지 않는 곳이었죠.

기자) 그럼 북한에서 바람이 강하게 부는 지역에 풍력 발전소를 많이 세워 전력 문제를 해결 할 수도 있지 않나요?

[녹취: 히펠 연구원] “They've been interested in doing that for some time but even so, they still have to if they built a lot of windmills..."


히펠 연구원) 한 때 북한 당국도 풍력 발전소 건설에 큰 관심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북동쪽에 풍력 발전소를 많이 세운다고 해도 거기서 생산된 전력을 다른 곳으로 공급하는 것이 문제죠. 이를 위해 송배전 체제를 다시 구축해야 하니까요.

기자) 북한이 전력 문제 해결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요? 김정은 위원장에게 조언을 한다면요?

[녹취: 히펠 연구원] “It's not a problem it's going to be solved with one project or or with 1 technology..."

히펠 연구원) 한 가지 기술이나 사업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닙니다. 장기적으로 북한은 국제사회와 협력해 지원을 받아 전력 체계를 재구축 해야 합니다. 하지만 북한 핵 문제가 해결되기 전까지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아웃트로: 지금까지 오랫동안 북한 에너지 분야를 연구해온 히펠 연구원으로부터 북한 전력난 문제 해결방안에 대해 들어봤습니다. 대담에 김현진 기자였습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