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뉴스 인사이드] 6.15 남북공동행사 9년 만에 열릴까?


지난 2006년 6월 한국 광주 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6.15 공동선언 기념 남북공동행사에서 한국 참가자(왼쪽)가 북한에서 온 참가자의 얼굴에 묻은 빗물을 닦아주고 있다.
지난 2006년 6월 한국 광주 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6.15 공동선언 기념 남북공동행사에서 한국 참가자(왼쪽)가 북한에서 온 참가자의 얼굴에 묻은 빗물을 닦아주고 있다.

매주 주요 뉴스의 배경을 살펴보는 ‘뉴스 인사이드’ 입니다. 한국 정부가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의 대북 접촉 신청을 승인했습니다. 만일 6.15 공동행사가 열린다면 9년 만에 열리는 것인데요. 남북한 간 첫 정상회담을 기념하고 민족 화합을 도모하기 위한 6.15 공동행사가 그동안 어떤 우여곡절을 겪어왔는지, 최원기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17년 전인 2000년 6월15일, 한국의 김대중 대통령은 평양을 방문해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이 회담에서 김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합의한 6.15 공동선언은 냉전 구도 속에 있던 남북관계를 화해와 협력 관계로 바꿔놓기 위한 내용을 담고 있었습니다. 김대중 대통령입니다.

[녹취: 김대중] "이번 저의 방북이 한반도의 평화, 남북 교류협력, 그리고 조국의 통일이 되는 길을 닦는데 조그마한 보탬이 된다면 그 이상 다행이 없겠습니다.”

6.15 공동선언을 계기로 남북 간에는 화해와 협력의 분위기가 고조됐습니다. 장관급 회담과 국방장관 회담이 열렸고, 금강산관광, 남북 도로와 철도 연결, 그리고 개성공단이 추진됐습니다. 또 12 차례에 걸쳐 1만2천여 명의 이산가족이 상봉했습니다.

이와 함께 남북한에는 6.15 공동선언을 실천해 민족의 화해와 단합, 통일을 이루기 위한 위원회가 각각 꾸려졌습니다.

남한에는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 북한에는 ‘6·15공동선언실천 북측위원회’ 가 만들어졌습니다. 한국현대사연구소 정창현 소장입니다.

[녹취: 정창현]”2001년부터는 평양과 서울을 오가며 공동행사가 열렸습니다. 그런데 2004년까지는 공동행사준비위원회 형태로 열렸고, 남측위원회, 북측위원회, 해외위원회가 3자 연대 형식으로 6.15 공동위원회가 결성, 합의된 것은 2005년도입니다.”

6·15선언 실천을 위한 두 위원회는 남북한을 오가며 6.15 기념행사와 8.15 행사를 번갈아 열었습니다.

2002년 6월에는 금강산에서, 그리고 2004년 6월에는 인천에서 공동행사가 열렸습니다. 또 2005년 6월 평양에서 처음으로 6.15공동위원회 명의로 행사가 열렸고, 이 때는 한국 정부 대표단도 참가했습니다.

이어 2006년 6월에는 광주, 2007년에는 평양. 이어 2008년에는 금강산에서 행사가 열렸습니다.

그러나 2008년 한국에서 보수적인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데 이어 북한의 잇따른 핵실험과 천안함 폭침, 연평도 포격 사건 등으로 남북관계는 하나 둘씩 단절되거나 중단됐습니다.

특히 2008년 7월 금강산관광에 나선 한국인 관광객이 북한 군 병사의 총에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남북관계는 냉각되기 시작했습니다.

이어 북한 당국은 2010년 4월 금강산에 있던 한국 측 건물과 시설을 몰수했습니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방송'입니다.

[녹취: 조선중앙TV] "몰수된 부동산들은 법적 절차에 따라 공화국이 소유하거나 새 사업자들에게 넘겨지게 될 것이다."

특히 2010년 발생한 북한의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사건은 냉각된 남북관계를 아예 얼어붙게 만들었습니다. 북한은 그 해 3월 잠수함을 동원해 서해 백령도 부근에서 한국의 천안함을 공격해 한국 해군 장병 46 명이 숨졌습니다.

그러자 한국의 이명박 대통령은 모든 남북 교역과 인적 교류를 중단하는 5.24 제재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녹취: 이명박 전 한국 대통령] “천안함 침몰은 대한민국을 공격한 북한의 군사 도발입니다. 북한은 자신의 행위에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게 될 것입니다. 남북한 교류와 교역도 중단될 것입니다.”

이렇듯 남북 관계가 악화되자 남북한의 6·15공동선언실천 위원회는 2009년부터 공동행사를 열지 못했습니다.

또 남측이 중국에서 만나 6.15선언 공동기념 행사를 열자고 제의하면 북측은 이런저런 이유를 들며 공동행사를 무산시켰습니다.

2015년 북한 6.15공동선언실천 북측위원회 대변인의 발표 내용입니다.

[녹취:KCNA] “북과 남, 해외 민간단체들 사이의 실무협의조차 더 이상 진행될 수 없게 되었으며 6.15 행사는 북과 남, 해외에서 각기 개최되지 않으면 안 되게 되었다.”

이처럼 2000년 남북정상회담으로 시작된 남북 화해의 흐름은 북한의 연이은 핵과 미사일, 그리고 대남 도발로 원점으로 돌아가고 말았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달 새로 출범한 한국의 문재인 정부는 민간 차원의 남북 접촉을 하나 둘씩 허용하고 있습니다.

한국 통일부는 대북 인도적 단체인 ‘우리민족 서로돕기운동’의 대북 접촉 신청을 승인한데 이어 지난달 31일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의 신청도 승인했습니다.

한국 청와대는 대북 제재의 틀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남북 민간 교류를 유연하게 적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청와대 박수현 대변인입니다.

[녹취: 박수현] “민간 교류에 대해 대북 제재의 틀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유연하게 검토한다는 기본입장을 견지하고 이 방북 신청에 대해선 사업 목적, 남북관계 개선 기여 여부, 그리고 국제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고려할 것으로 보고되고 토론했습니다.”
남북 간 화해와 협력을 적극 모색하는 한국 문재인 정부에 북한 당국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 주목됩니다.

VOA뉴스 최원기입니다.

XS
SM
MD
LG